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풍력발전기가 연계된 배전계통에서 사고위치 변화에 따른 사고전류 특성 분석

        조성훈(Seonghoon Cho),차한주(Hanju Cha)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11

        최근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풍력발전 시장은 2008년 말 이미 120GW 용량의 풍력발전기가 전 세계에 설치되었으며, 이는 2004년말 48GW의 두배 이상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특히, 여러 신재생에너지원 중 풍력발전기는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고, 발전 단가가 싸기 때문에, 앞으로도 다른 신재생에너지원보다 더욱 큰 발전이 기대된다.<SUP>[1]</SUP> 본 논문에서는 PSCAD/EMTDC를 이용하여 2㎿급 이중여자 풍력발전 시스템(DFIG,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과 배전계통을 모델링하고 배전계통에서 사고위치 변화에 따른 다양한 고장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 KCI등재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조성훈(Seonghoon Cho)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노인 관련 시설에 거주하는 65세부터 94세까지의 노인 254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일부터 같은 해 11월 30일까지 설문을 시행하였고, 측정도구로는 죽음불안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자아통합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Baron·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적용한 결과,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자아통합감 문제를 효과적이고 긍정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노인의 죽음불안과 함께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역시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eath anxiety on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in the elderly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20 to November 30, 2020, targeting 254 elderly people aged 65 to 94 who live in elderly-related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As measurement tools, the death anxiety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self-integration scale were used, and Baron·Kenny (1986) s three-step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influence of death anxiety on self-integ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f using the three-stag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and positively deal with the elderly s self-integration problem, the elderly s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elderly s death anxiety must not be overlooked.

      • SCOPUS

        자연이자율, 잠재성장률과 장기 통화정책기조

        조성훈(Seonghoon Cho) 한국계량경제학회 2020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31 No.2

        자연이자율은 거시경제가 장기 균형상태에 있을 때 적용되는 실질이자율로서 잠재성장률이 실질 성장률의 추세를 나타내는 것처럼 실질이자율의 장기적 균형을 반영하고, 이론적으로 자연이자율은 잠재성장률과 추세적으로 유사해야 한다. 또한 통화정책당국이 실질이자율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질이자율과 자연이자율의 차이는 통화정책당국의 실물부문에 대한 장기적 정책기조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Holston et al. (2017)의 모형에 근거하여 한국과 미국의 잠재성장률과 자연이자율을 추정한다. 그러나 경제주체가 직면하는 실질이자율은 실질시장이자율로서 전통적인 실질기준금리와 다를 수 있고 또한 인구증가가 있을 때 1인당 총생산이 이론적으로 더 적절한 변수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위와 같은 대안으로 제시된 변수들과 모형의 조정을 통해 실질기준금리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분석한다. 추정결과 실질시장이자율을 사용한 경우가 전통적인 실질기준금리를 사용한 경우보다 자연이자율의 특성을 더 잘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한국은 실질기준금리가 추정된 자연이자율보다 매우 낮아 통화정책당국의 장기적 기조가 매우 완화적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natural rate of interest is the real interest rate that would prevail when the macro economy is in its natural, long-term equilibrium at which the actual GDP growth rate equals its potential rate. The natural rate of interest should therefore comove with the long-term trend of the potential GDP growth. In addition, since monetary policy author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al interest rates, the difference between real and natural interest rates can b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long-term policy stance for the real sector of the economy. This study estimates potential growth rates and natural interest rat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Holston et al. (2017) model with important adjustments. We use the real market interest rate faced by economic agents, which may b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eal rate computed using the policy rate. Also, GDP per capita is considered, which is theoretically more suitable when population growth is taken into account. The estimation results using these new measures and the associated adjustment in the model reveal that the estimated natural rate of interest captures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interest rate better than the estimate using standard real interest rate. In addition, since the 2000s, Korea’s real rate was much lower than the estimated natural interest rate, suggesting that the long-term monetary policy stance in Korea might have been strongly accommodating.

      • KCI등재

        마코프 스위칭을 고려한 DSGE모형의 이론분석 및 한국경제에서의 적용 가능성

        유병학 ( Byoung Hark Yoo ),조성훈 ( Seonghoon Cho ) 한국금융연구원 2015 韓國經濟의 分析 Vol.21 No.2

        이 논문은 마코프 스위칭을 고려한 소규모 개방경제 DSGE 모형을 이용하여 1999년 이후 한국의 통화정책변화를 베이지안 방법을 통해 실증분석한다. MSRE(Markovswitching rational expectations) 모형이라고 알려진 DSGE 모형은 민간경제주체 및 정책당국의 행태가 마코프 과정을 따라 반복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이 이자율 준칙에 따라 통화정책을 시행할 때 이자율이 인플레이션, 산출갭, 환율변화, 그리고 과거 이자율에 반응하는 계수가 마코프 과정을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이자율이 어떤 변수에 중요하게 의존하고, 또한 1999∼2013년 기간 동안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MSRE 모형을 이용하여 최초로 실증분석을 했다는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한국의 이자율 준칙에 있어서 마코프 과정을 따르는 변수는 인플레이션으로서 2000년대 초반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적극적인(active) 인플레이션 안정화 정책을 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반적으로 모형은 안정적인 유일한 균형을 가지는 결정성(determinacy)의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통화정책을 경제상황에 맞게 신축적으로 시행하였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안정화 기조를 전반적으로 유지해 왔음을 의미한다. This paper estimates and studies changes in monetary policy regimes using a Bayesian estimation technique in the context of a small open economy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DSGE) model subject to Markov-switching. A DSGE model known as Markov-switching rational expectations(MSRE) model is suitable in study of recurrent regime changes in monetary policy stance or preferences and technologies of private agents following a Markov-process. In this paper, we allow the coefficients of inflation, the output gap, changes in exchange rate and the lagged interest rate to follow a Markov-process in a standard interest rate feedback rule of the Bank of Korea. We let the data reveal which variable the short-term interest rate is more responsive to and how the policy stance has been changed for the period of 1999-2013.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for the Korean economy using a MSRE model. The empirical evidences are as follows. Firts, the monetary policy stance has been overal active, stabilizing inflation variability except for the early 2000 and the US financial crisis era around 2006. This implies that the model exhibits determinacy, i.e., a property of unique stable equilibrium in the mean-square stability, thereby leading to an active policy stance overal with periodic deviation to a passive reg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