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aluation of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Types and the Sex of Growing Children

        조선경,김병화,이제우,라지영,Jo, Seon-Gyeong,Kim, Byounghwa,Lee, Jewoo,Ra, Jiyoung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2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8 No.4

        이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장기 아동의 수직적인 안모 형태와 성별에 따라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184명의 8 - 14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하악평면각을 기준으로 3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성별 간 비교를 위해 3개의 군을 각각 남아와 여아의 하위 군으로 나누었다. 골격적 성숙도와 치아 성숙도는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으로 평가하였다. 수직적 성장군은 수평적 성장군보다 경추골 및 수완부 골의 높은 성숙도를 보였다. 치아 성숙도는 수직적 성장군에서 가장 높았다. 남아보다 여아에서 골격적 성숙도가 더 높았으며 치아 성숙도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의 수직적 안모 형태 분석은 교정치료 시작 시기 결정에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직적 안모 형태를 보이는 환자의 경우 교정치료를 조기에 시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according to the vertical facial type and sex in Korean children in the developmental stage. In total, 184 participants aged 8 - 14 year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mandibular plane angle.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sexes, the three groups were each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subgroups. The skeletal and dental maturity were assessed using lateral cephalograms, hand-wrist radiographs and panoramic radiographs. The vertical growth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ervical vertebral and hand-wrist maturity than that in the horizontal growth group. Dental maturity was the highest in the vertical growth group. Girls showed greater skeletal maturity than boys, and no distinc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dental maturity of the sexes. Analysis of the vertical facial type in children can provide ancillary indicators that may help determine the optimal timing for orthodontic treatment initiation. Earlier initia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considered for patients with vertical facial growth patterns.

      • KCI등재

        소아의 수직적 안모 형테에 따른 상기도 폭경 평가

        조선경(Seon-gyeong Jo),김병화(Byoung-hwa Kim),이제우(Je-woo Lee),라지영(Ji-young Ra) 대한치과의사협회 2021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9 No.11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pharyngeal airway width according to the vertical facial type in Korean children in the developmental stage. In total, 101 participants aged 7 –11 year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mandibular plane angle. The size of pharyngeal airway width was assessed using lateral cephalogram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vertical growth group showed significantly narrower nasopharyngeal and upper oropharyngeal airway width than that in the normal and horizontal growth groups. Lower airway width was the widest in the horizontal growth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vertical opopharyngeal airway space was significantly smaller in girls when compared to boys, and no distinc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horizontal airway width of the sex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patients with vertical facial growth pattern had less pharyngeal airway width than the patients with normal and horizontal facial growth patterns.

      • KCI등재후보

        뉴 뮤지올로지 개념을 적용한 서부산 지역 문화자원 활성화 방안

        조선경 ( Jo Seon-gyeong ) 동아문화재단 2019 文物硏究 Vol.- No.36

        오늘날 도시의 패러다임은 성장 위주의 개발 정책에서 문화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발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물리적인 환경 정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지역문화의 근원인 문화자원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사례로 선정한 서부산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강 문화권으로 지역민들의 독특한 삶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역사·자연·산업자원이 풍부한 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정부 주도의 대규모 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문화자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이루어지기도 전에 문화자원이 파괴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으로 주목 받는 ‘뉴 뮤지올로지(New Museology)’ 개념을 서부산 지역에 적용하여 문화자원을 보존 및 활용하고 지역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oday's urban paradigm is shifting from growth-oriented development policies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takes into account culture.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ideration for cultural resources, the source of regional culture, with focus on physical environment maintenance. West Busan, selected as the research case, is a river culture area located at the mouth of the Nakdong River that maintains the unique lifestyle of the local people and is full of historical, natural, and industrial resources. However, due to the recent government-led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cultural resources are being destroyed bef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m is achiev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serve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and seek ways to revitalize the region by applying the concept of ‘New museology’,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to the West Bus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