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읍 줄풍류와 대풍류의 사회적·공간적 연관성

        조석연 한국공연문화학회 2019 공연문화연구 Vol.0 No.39

        Jeongeup Pungnyu, which can be regarded as a foundation of Hyangje Julpungryu(;string ensemble in Honam Area) best reflects social-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Pungryu cultur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aepungryu(wind ensemble) and Julpungryu can be inferred from three points of view. First, Jeongeumun who participated as a musician in the beginning of Hyangje Julpungryu was good at not only performing musical instrument but also dancing. Jeongeumun did not stay in specific musical field. He performed Hyangje Julpungryu, made Daepungryu and used it as dancing music with musicians that participated in Julpungryu. That is why Julpungryu and Daepungryu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music. Secondly, according to <Chosan-yulgye Genealogy>, Jung Hyungin, who followed the dance of Jeong Jae-Sun with Kim So-Ran, was the first Piri player who learned from Jeongeumun and played Yeongsanhoesang and Samhyeon-yukkak(;wind ensemble). That is, Jeongeup Julpungryu was formed by Jeongeumun and dancer Jung Hyung-in followed Julpungryu and Daepungryu.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inferred that Jeongeup’s Daepungryu is fundamentally closely related to Jungeup Julpungryu. 향제줄풍류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정읍줄풍류는 풍류음악 형성에 있어 지방풍류문화의 사회적· 공간적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 이에 정읍풍류음악의 줄풍류와 대풍류의 형성과 연행의 관련 기록을 통해 두 음악 간의 연관성을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살펴보았다. 또한 정읍풍류의 사회적 · 공간적 특수성에 따른 두 음악의 관련성을 가늠해 보았다. 시대적인 흐름은 풍류방에 변화를 가져왔다. 향제줄풍류는 경제줄풍류와 달리 가락이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 전승계보나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전계문과 같은 지역 전문연주가들에 의해 재해석된 가락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재인청에 소속되어 있던 무계출신의 전계문과 같은 전문연주자들이 향제줄풍류에 참여하면서 변화무쌍한 무속 형식이 자연스럽게 줄풍류에 이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춤반주인 대풍류와 향제줄풍류의 밀접한 관계는 두 가지 관점에서 그 연관성을 유추할 수 있다. 첫째, 향제줄풍류의 태동에 음악적 주체로 참여한 전계문은 악기연주 뿐 아니라 춤에도 능한 인물이다. 전계문을 포함한 세습무계 재인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게 된 ‘향제줄풍류’는 춤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던 대풍류 가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는 재인들에 의해 형성된 정읍 줄풍류의 사회적〮 ·공간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초산율계 계보도>에 의하면 전계문으로부터 영산회상과 삼현육각을 배운 정형인이 향제줄풍류 피리 연주자로서 피리 계보 맨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정형인은 무계출신 춤꾼 정자선의 아들이다. 전계문과 정형인 모두 춤꾼인 동시에 전계문은 줄풍류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정형인은 줄풍류 수석 피리연주자로 활동하였다. 이들이 향유하던 대풍류 선율은 정읍향제줄풍류 형성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정읍 줄풍류는 재인들의 대풍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백제금동대향로 주악상을 통해 보는 백제의 음악

        조석연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4 무형문화연구 Vol.0 No.12

        This paper looked at the shapes of the five musicians in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e first instrument is the ‘round-shaped Pippa(圓形琵琶)’, a non-wave instrument from Northeast Asia. The second musician’s instrument is the "long, vertically blowing flute(長簫)", which is an instrument introduced from Western and Central Asia. The third musician’s instrument is an ancient Chinese instrument called the "So(簫)." The fourth instrument is the drum. It is a musical instrument from the same period as the drum drawn on Goguryeo’s Anak No. 3 and the drum made from Goguryeo’s soil excavated in 2009. It also suggested the connection between Kagaku’s Haerugo in Japan. The fifth instrument was named ‘Baekje’s String Instrument’ and was defined as a unique string instrument unique to Baekje. In other words, the five musicians of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show the music world of the Baekje people by using the instruments that lead the international trend centered on Northeast Asia and Baekje’s unique string instruments.The five musicians of Great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do not miss the ideal Buddhist world expression.The five musical instruments show the symbolism and culture combined with Buddhism of Baekje’s five-part system of the five elements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of Baekje. The five instruments reveal not only Baekje’s overseas cultural exchanges in Northeast Asia, but also Baekje’s own unique culture.

      • KCI등재

        1930년대 이후 공후 제작 및 활용에 대한 고찰

        조석연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Vol.37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cognition,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gonghu “harps” in Korea since the 1930’s. Gonghu, first mentioned in written texts during the Chinese Spring and Autumn period (770–476 BC), wer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Korea constantly from the Old Joseon era (Unknown–108 BC) to the Goryeo era (918–1392). In particular, gonghu were important to the music of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and were spread to Japan under the name “Baekje geum,” (kudara koto) or “stringed instrument of Baekje.” Although gonghu disappeared during the Goryeo era, interest in gonghu has been constant. After the 1930s, mentions of gonghu were published by the well-known scholars An Hwak, Choi Nam-Seon(1890–1957), and Ham Hwan-Jin, who actually bought a gonghu. In 1930, An Hwak recorded documents and drawings of gonghu in Joseon , which he quoted selectively on the basis of Hanseo and Akseo, to which he added his own opinion. In 1936-37, Ham Hwa-Jin purchased three kinds of gonghu in China and played them publicly. However, their names and forms were wrong. In 1941, Choi Nam-Seon wrote in his “Joseon's Common Knowledge: Continued Questions and Answers” (朝鮮常識問答續編 Joseon Sangsik Mundap Sokpyeon) very precisely and accurately about the influx and transmission processes of the gonghu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ekje geum (and its form) and the gonghu in Kyoto’s Shosoin museum. Since then, efforts have been made to remake gonghu in Korea. The process and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oduction of Korean gonghu was modeled on the gonghu in the National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 (now called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the early 1960s. The National High School of Traditional Korean Arts made three kinds of gonghu, all similar to the one at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mong them, the Su-gonghu (the name of the gonghu at the National Korean Traditional Music Center) was made using the famous haegeum and sinawi player Ji Young-Hee’s idea and was later used in a performance by his wife, the famous gayageum player Seong Gum-Yeon, with orchestra. The Su-gonghu was used from 1962 to 1978. At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oth the Su-gonghu and the Wa-gonghu were produced in 1967, based on the three kinds of gonghu. The newly produced Su-gonghu and Wa-gonghu both exhibited new forms, but they could not be played. In 2002, the Institute for Ancient Musical Instrument Studies (The Go akki yeonguhoe) began to study and produce Su-gonghu. The gonghu that was produced based on the Baekje geum and the icons inscribed on the Sangwon Temple Bell is still played. 이 논문은 1930년 이후 한국에서 공후에 관한 인식과 제작과 활용에 관하여 고찰한 글이다. 공후는 고조선부터 고려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에서 끊임없이 사용된 악기이다. 특히 백제악에서는 중심악기로 존재하였으며 일본에 ‘백제금’을 전파하기도 하였다. 비록 고려시대 이후 공후는 맥이 끊어졌으나 공후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은 이어졌다. 1930년 이후 공후에 대한 글이 발표되었는데 대표적인 인물로 안확과 최남선을 들 수 있으며, 실제 공후를 사들인 함화진을 꼽을 수 있다. 1930년 안확은 『조선』에 공후에 대한 기록과 그림을 기록해놓았다. 『한서』와 『악서』를 중심으로 선별적으로 인용하였고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였다. 1936~7년경 함화진은 3종류의 공후를 중국으로부터 구입하여 연주와 전시를 하였으나 그 명칭과 형태가 잘못된 공후였다. 최남선은 1941년 『조선상식문답속편』에 공후의 유입과 전파과정, 그리고 백제악기로서의 ‘백제금’의 존재와 쇼소인과의 관계, 백제금의 형태까지 매우 상세하고 정확하게 기록해 놓았다. 이후 국내에서 공후를 제작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그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후 제작은 1960년대 초반 국립국악원 소장 공후를 모델로 하여 국악예술학교에 의해 유사한 형태의 3종류 공후가 처음으로 제작되었다. 이 중 지영희의 시안으로 만들어진 틀을 가진 형태를 가진 수공후(국립국악원 명칭)가 성금연의 연주로 관현악단에서 활용되었다. 학생들에게 부전공으로 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으며 1962년 연주를 시작으로 1978년까지 사용되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1967년 기존에 소장하고 있던 3종류의 공후를 토대로 수공후와 와공후를 제작하였다. 제작 수공후는 양면으로 현을 배치하여 48현으로 늘였고, 제작 와공후는 C자형 형태로 변모하였다. 제작 와공후와 제작 수공후는 새로운 형태의 공후를 보여줬다는 의미를 가졌으나 안타깝게도 연주되지는 못했다. 공후 제작과 관련해서는 2002년 사단법인 고악기연구회가 공후 연구를 시작으로 L자 형태수공후 제작을 시작하였다. 백제금과 상원사 범종의 도상을 토대로 제작된 공후는 현재까지 연주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음양오행(陰陽五行) 비교 연구

        조석연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49 No.49

        Yin-Yang and Five Elements School(陰陽五行說) is the basic and major ancient theory of Eastern philosophy, which explains all phenomena of the universe and human world through the principles of Yin-Yang Forces. It is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theory in Traditional Korean and Oriental Medicine. And it is applied as the frame of reference in treatment and therapy of Oriental Medicine, regarding the five viscera (of heart, liver, spleen, lungs and kidneys, 五臟), the five bodies(五體), the five cardinal colors(blue, yellow, red, white, black, 五色), the five direction(五方) etc. Also the five sounds(五聲, 五音: 宮, 商, 角, 徵, 羽) hold a key position in the Yin-Yang Theory. And this paper has researched the interrelation consistenc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Yellow Emperor's Inner Classic(黃帝內經)』 and 『Illustrated Text on Traditional Music(樂學軌範)』. 음양오행설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을 음양의 원리를 통해 사물을 설명하고 우주만물을 형성하는 원기로 동양철학의 기본이 되고 있다. 특히 음양오행설은 한방의학에서 중요한 기초이론이며 오장, 오체, 오색, 오방 등과 결부되어 한방 진료 및 진단에 중요한 준거이론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중 오성(五聲)과 오음(五音) 역시 음양오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를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통해 음양과 오행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황제내경』의 음양이론과 마찬가지로 『악학궤범』에서는 12율명의 탄생이 상서로운 동물의 음양의 조합에 의해 정해졌으며, 양률과 음려의 음양 합성에 의해 만들어졌다. 또한 상생과 하생의 삼분손익법에 의해 음과 양의 6률과 6려로 12율이 결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황제내경』의 다섯 5가지 물질의 상호 발생관계를 설명하는 오행설은 음악체계인 궁상각치우에 잘 나타나 있다. 소리가 비장(脾臟)에서 나와 입을 다물고(合口) 통한 것을 궁(宮)이라 하고, 폐에서 나와 입을 벌리고 토(吐)하는 것을 상(商)이라 하고, 간에서 나와 이를 벌리고 입을 솟구치는 것을 각(角)이라 하고, 심장에서 나와 이를 다물고 입술을 연 것을 치(緻)라 하고, 신(腎)에서 나와 이를 벌리고 입술을 모은 것을 우(羽)라 하라 한다. 조선시대 때 이제마가 중국의 『황제내경』에 기록된 바와 같은 음양철학과 역리(易理)에 기초해 우리나라 고유의 체질의학인 사상의학(四象醫學)을 만든 것과 같이, 『악학궤범』에 기록된 시용궁상각치우(時用宮商各緻羽) 역시 중국 오성의 음양이론을 바탕으로 기록된 실용적이고 한국적인 음악체계라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한국 고유의 사상의학과 같이 『악학궤범(樂學軌範)』에서도 시용궁상각치우(時用宮商各緻羽)는 동양 음양오행설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국인이 사용하는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를 중국 치조(徵調)와 우조(羽調)를 이용하여 사용한 흔적을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생황의 이중적 상징 의미에 대한 고찰

        조석연 국립국악원 2014 국악원논문집 Vol.30 No.-

        Saengwhang is a musical instrument, which was imported from China already before the epoch of the Three Kingdoms and ever afterward had shared rise and fall with Korean nation. Especially, it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usical instruments, which had played an indispensable role in the transmission of court music. However, phrases and expressions that show directly-opposed symbolic meanings about Saengwhang were strangely often found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ereat first, I had researched Saengwhang's ancient original symbolic meaning. And then, I had examined closely the positive and negative real exampl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get to the root of such directly-opposed symbolic meanings. First, the original symbolic meaning of Saengwhang as a ancient musical instrument is the sanctity. In the theory of the origin of Saengwhang appears Nuwa, the goddess of Chinese creation mythology. And according to this, it is said that the shape of Saengwhang is modeled on the Bonghwang, the god of music. Besides, in Saengwhang the theory of yin and yang is connoted too. Therefore, we can say that Saengwhang's positive awareness is originated in its sanctity. Furthermore, the symbolic meaning of Saengwhang was harmonized with Yeack ideology of Confucius. And Joseon Dynasty which put emphasis on Yeack ideology had accepted Saengwhang positively and always took care of it. On the other hand, negative expressions about Saengwhang were also often found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s illustrations of such negative meaning about Saengwhang we may take the metaphors like ‘the words of disloyal subject’ and ‘fine words’ etc. In this connect we can take note of historical materials like as The Book of Songs(詩經), Han Fei Tzu(韓非子). One point which claims our attention here is that Confucius had even recognized Saengwhang in two ways, in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Eventually, we can say tha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bolic meaning of Saengwhang was originated rather in Yeack ideology of Confucius, than in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Saengwhang. Confucius had realized and adopted the both sides of positive and negative symbolic meaning of Saengwhang. And therefore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also could freely adopt and express both symbolic meanings of Saengwhang. 본고는 고대 악기 생황에 대한 본연적 상징 의미와 조선 시대 이중적 상징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고대악기로서의 생황의 원시적인 상징은 신성함이다. 생황의 기원설에는 중국 창세신화의 여와가 등장하며, 그에 따르면 생황의 형상은 악(樂)의 신인 봉황을 본떠 만들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생황은 생동하는 정월의 악기이며, 동양사상인 고대 음양설도 이 악기 안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생황이 긍정적인 인식을 누릴 수 있었던 이유는 이러한 생황의 근원적 의미인 신성함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동양사상에 입각한 생황의 등장은 공자의 예악사상과 맞아 떨어졌고, 예악사상을 중시했던 조선시대는 공자가 아꼈던 생황을 더욱 소중히 다뤘다. 특히 생황의 소리는 ‘아름다운 소리’와 ‘조화로운 소리’로 묘사되었는데, 이는『시경』의 기록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반면, 이러한 생황의 긍정적인 표현 외에도 다수의 부정적인 표현 또한 발견된다. 생황에 대한 부정적 표현의 예로는 대부분 ‘간신의 말’, ‘교묘한 소리’ 등과 관계된 비유들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부정적 표현과 관련해 주목해야 할 사료는『시경』과 『한비자』의 기록이다. 『시경』의 교언여황(巧言如簧)이라는 문구와 『한비자』의 우(竽)와 관련된 사건에 대한 기록은 생황을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이기 때문이다. 결국 생황의 긍정적, 부정적 표현 모두 단순히 악기의 특성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예악사상에서 비롯된 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나 악(樂)을 이풍역속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교화적 원리로 받아들였던 공자는 생황의 인식과 관련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취하였고, 따라서 조선시대 관료들 또한 생황과 관련된 이중적 상징 의미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양금(덜시머)의 유형과 기원에 관한 연구

        조석연 한국음악사학회 2008 한국음악사학보 Vol.41 No.-

        Korean yanggŭm 洋琴 (dulcimer) was accommodated from China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had been used in string-based music. It has been undergoing active change and development as is shown by the establishment of the Yanggŭm Research Society 洋琴硏究會 in 1998. Particularly, as it has been drawing attention with its clear and clean tone in newly created original music, the size and the volume of the instrument have been expanded and showy both hands playing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and thus it is positioning itself as a new musical instrument.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yanggŭm that is being used in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origin of Korean yanggŭm. First, yanggŭm is a guitar-like stringed instrument with trapezoid- shape resonance body. But it cannot be classified only in terms of shape since it can produce sound by hitting the strings with a hammer. Second, Korean yanggŭm is a musical instrument imported from the Western dulcimer which has a stick-like fixed bridge rather than a small moving bridge. Judging from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is certain that the instrument had been transmitted by the Italian missionary Matteo Ricci and then it was imported to Korea to become the Korean yanggŭm. The possibility that Persian santur was transmitted along the Silk Road path to Korea is slim, in view of the structures of the Korean yanggŭm. Third, yanggŭm originated from a harp-type instrument. According to archeological data, diverse harp-type instruments played with hammer have become the origin of yanggŭm. The evidence is the fact that both harp and santur are called ‘ch'ang’ in the countries such as Iran and Uzbekistan. 양금은 한국에 18세기경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 하지만 양금은 한국에 유입된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악기로서보다 기물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영산회상, 가곡 등 줄풍류 중심의 음악에 사용되었으며 궁중 잔치나 관료층의 잔치에 널리 연주되었다. 그러나 20세기에 이르러서까지 양금은 한손으로 연주하는 단순한 연주법과 한정된 실내악곡에 사용되는 한계점으로 보였다. 최근 21세기에 이르러 양금은 1998년 양금연구회가 결성되는 등 활발한 변화· 발전을 꾀하고 있는 악기로 변모하였다. 특히 새롭게 창작되는 창작곡에 맑고 깨끗한 음색이 주목받으면서, 악기의 크기와 음량이 커지고 화려한 양손 연주법이 도입되는 등 새로운 악기로서 발돋움하고 있다. 이에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양금의 구조적특징과 한국양금의 특징 그리고 양금의 기원을 살펴보았다. 첫째, 양금은 사다리꼴 공명통을 가진 지터류의 악기이다. 그러나 그 형태만으로 분류될 수 없고 반드시 해머(채)를 이용하여 현을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둘째, 한국 양금은 작은 이동식 브리지가 아닌 긴 막대형태의 고정식 브리지를 가지고 있는 서양 덜시머에서 유입된 악기이다. 구조상의 특징으로 보아 한국 양금은 유럽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Matteo Ricchi)가 중국에 전해준 것이 다시 한국으로 전해진 것이 확실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는 실크로드 경로를 통해 페르시아 산투르가 전승되었다는 이론은 한국양금의 구조상 가능성이 적다. 셋째, 양금은 하프류의 악기에서 기원되었다. 고고학자료에 의하면 다양한 하프류의 악기를 해머로 치는 연주형태는 양금의 기원이 된다. 이러한 증거로 이란,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는 하프와 산투르 두 악기를 모두 ‘창(Chang)'이라 부르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마약법 제정 이후 한국의 마약문제와 국가통제(1957∼1976)

        조석연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5 No.-

        This thesis is the narcotic problems at a nation building proces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at researches outline is as the following.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Morphia refined from opium was used for a medicine to people as well. Furthermore Japan employed a generous policy on opium, so a lot of people were addicted by opim. But they were regarded as a criminal, a social evil, in a special situation of nation building after liberalization. they also were treated as a group disturbing nation building in a time of establishing a united nation of people. Therefore, they did not offer a social opportunity to protection. At this era, even though state had a social conscience of drug problem from the liberalization through 1950s, she could not deal with the drug problem specifically and positively, because of the war and the struggle of ideology between south and north, because of a historical matter like a nation reconstruction after war, because of a trouble building up the basic health problem. Therefore, emphasized to duty of human’s conscience and social moral principle problem that do not take narcotic. After this in 1961, Soldier’s a coup d’État government moved more actively by target of ‘Produce healthy people’ for the first time. And problem of narcotism was obstacle to inflect man power of the country by maximum in the side of an economic policy. Therefore, that was opposed to ‘Nation’ in country’s necessary. With the advent of Methadone crisis causing a social problem, park’ administration enforced the control of state about the drug abuse of common people in the name of a sound citizen. The narcotic control policy of park administration showed an increasing role of state about the production and usage of narcotic. It also showed a decreasing role of self regulation of society. Citizens gave state a right of use of drug. Instead a right to enjoy the high level public healthy and medical system state supplies was given to citizens. But narcotic addicts refused to give up using narcotic as a duty of a citizen. As a result of that, they could not get any protection of state. State made a social role and status of everyone, regardless of the controlled or the controller, about drug control, enlarging the power of drug control step by step. So to speak, state began to warn the narcotic addicts socially and ethically in a time of liberalization. In the end, after the war came to an end, she treated them as a social evil. On the one hand, in a institutional point of view, state made a narcotic act in 1957 to support span of state control. And began to enforce the control with the beginning of a law of punishment of a special crime established in 1961. After that time, state expanded the span of its control with the act of habitually used medicine management, made because of so called a Methadone crisis, with the act of Marijuana management, made because of a result of increase of hemp. In this process, a narcotic problem was made and treated after the style and necessity of state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