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역사사회학』의 탐구논리에 대한 이해

        조상식 韓國敎育史學會 2005 한국교육사학 Vol.27 No.2

        This article is an understanding of research logic of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which Professor Dr. Kim, Ki-Seok wrote in order to see the educational dimension of "Historical Sociology". From a viewpoint of scientific theoretical history, this book must be a milestone that presents a new investigation domain of educational sociology. To understand its research logic, the present writer uses the following conceptual instruments as "finding tools". Firstly, a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Sociology and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This is connected with the fact, in which way the author, Kim received the epistemological scheme or method of Abram's Historical Sociology as research example of educational soci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books lies not simply in logical subsumption, but in a creative application. Secondly, this article shows that the orientation of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is not to open up a new lower research field of educational science, but to present a methodological or epistemological character in order that we can research the existing states or occurrences of education. In short,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contains an other research methodology with the realistic scientific philosophy for itself. Thirdly, this article relates the research logical features of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to the investigation tendency in the historical science since several decades. In conclusion,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reflects the stream of historical science in the 1980's like Abram's Historical Sociology. In this sense, the two books mentioned above are closed to the 'modern discourse'. But we must pay attention to an indication that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also takes into account the 'linguistic turn' to show the research methodological pluralism.

      • KCI등재

        ‘보이텔스바흐(Beutelsbach) 협약’과 그 쟁점에 대한 교육 이론적 검토

        조상식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issues of the Beutelsbach Consensus, a minimum condition for political education(politische Bildung) and religious education as determined by several meetings in Baden-Würtemberg, Germany. This paper, then, examines the consensus in the educational theoretical way. The three main principles of the consensus include a) the prohibition against overwhelming students, b) the imperative to present controversy, and c) the consideration of student interest. First, the prohibition against overwhelming the student indicates that it is not permissible to hider students from forming an independent judgement for the sake of imparting desirable opinions by any means. Second, the controversial issues in academic and political affairs should be presented as controversial in the classroom. Third, students should be able to consider their political situation with their own interests and influence the present political situ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sensus typically shows the Western model of social development based on Karl Popper's view of avoiding extreme situations that may result the complete destruction. This model is not easily applicable to the society like South Korea due to its different social, poli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It also bears educational shortcomings that are to be considered in this paper. It discusses issues on the three principles of the Beutelsbach Consensus and sugges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ies in educ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독일의 바덴-뷔르템베르크 주(州)에서 각 정파(政派)가 수차례에 걸친 회의 결과 확정된 정치교육 분야에서의 최소조건인 ‘보이텔스바흐(Beutelsbach)’ 협약의 쟁점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를 교육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이 협약의 세 가지 주요 원칙은, 어떤 수단을 사용하든 정치적 견해를 강압적으로 주입함으로써 학생들이 ‘독립적인 판단을 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는 강제성의 금지, 학문과 정치에서 논쟁이 등장하는 것처럼 수업 상황에서도 그러한 논쟁적 상황이 드러나야 한다는 논쟁성의 유지, 학생은 정치적 상황과 자신의 이해관계를 함께 고려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이해관계에 따라 당면한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정치적 행위능력의 강화 원칙이다. 이러한 협약은 공동체 공멸적인 극단 상황을 피하려는 칼 포퍼(Karl Popper)적 사회관에 기초해 있는 전형적인 서구의 사회 발전 모형을 반영하고 있어서 우리가 적용하기에 그리 간단하지도 않을뿐더러 교육 이론적으로 난점들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논문은 보이텔스바흐 협약의 세 원칙이 안고 있는 교육 이론적 및 실천적 가능성과 쟁점을 다루고 있다.

      • KCI등재

        독일 통일과 정치교육의 문제 - 구(舊)동독 주민들의 정체성 위기와 관련하여

        조상식 한국교육학회 2006 敎育學硏究 Vol.44 No.1

        When we evaluate the process of german re-unification in the light of the theoretical criteria which Habermas requests in his 'action theory of communication', it is certain that a equal relationship and order of democratic communication was blocked. In the circumstance to which the former eastern German were forced to accommodate themselves after losing their nation, they experienced a crisis of identity seriously. The identity conception has been treat importantly in the field of pedagogy and in the domain of adult education. It is also one of weighty categories in the political education.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results of biographical researches which aimed at the experience structure and identity form of each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o examine the factor and mechanism of identity crisis, and to investigate several suggestions of political education. The form of political education the former eastern German experienced in the 'experimental social model' has dual, fragmental and regional features. The basic orientation of political education is also to include the critical emancipatory consciousness they have kept in their own way in the past. Habermas의 ‘의사소통행위이론’에서 요구하는 이론적 규준에 입각하여 지난 독일 통일의 과정을 평가해 본다면, 분명히 평등적인 관계와 민주적인 소통질서가 상실되었다. 이 과정에서 동독 주민들은 자신들이 속한 집단을 상실하게 되면서 자아 및 집단 정체성의 위기를 심각히 겪었다. 정체성 개념은 교육학 일반뿐만 아니라 성인교육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정치교육 및 시민교육의 중요한 범주이다. 이에 논문은 독일 통일과정에서 각 세대들의 경험구조와 정체성 형성방식에 주목하는 생애사 연구물들을 검토하면서, 그들이 겪고 있는 정체성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과 기제를 밝히고, 그것을 극복해 줄 수 있는 정치교육의 과제에 대한 여러 제안들을 살펴본다. 동독 주민들이 과거 동독이라는 ‘실험적인 사회모형’에서 경험했던 정치교육의 형태는 이원성, 단편성, 지방주의의 특징을 보인다. 이렇게 급조된 정치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했던 동독 주민들이 통일된 독일 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게 도와주기 위해, 정치교육은 다원주의에 적응력을 키우면서 동시에 과거 그들 나름대로 터득하여 간직하고 있는 ‘비판적인 해방의식’을 발전적으로 담아내는 방향을 설정하였다. 한편 다원화된 사회에서 정치교육과 같은 의도적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을 실현시키는 데에 적지 않은 장애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념하면서 종래 정치교육의 형식을 과감히 탈피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