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 평활근 육종에 대한 단순자궁적출후 화학치료 및 Second-Look Operation 1예

        조삼현(SH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12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에서 자궁근종으로 진단된 24세 경산부에서 복식 단순 전자궁 적출술 후 생검 검사에서 자궁평활근육종으로 진단된 1예에 대하여 1981년 2월 24일부터 1981년 9월까지 만 7개월 간 7회의 Cis-platinum, Adriamycin,및 Vincristine으로 부가적 복합 항암 화학 요법후 Second-Look operation 및 기타 정밀 검사로 자궁근육족의 전이 흔적없이 근치를 추정한 1예를 보고한다. A 24-year old primipara with initial diagnosis of myoma unteri had undergone a simple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he histopathology of which was reported to be uterine leiomyosarcoma. During the next 7 months 7 courses of adjuvant anticancer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cis-platinum 50mg/m2, adriamycin 50mg/m2 and vincristine 2.0mg every 3 weeks were administered. Three weeks later the completion of last course of chemotherapy Second-Look operation confirmed no evidence of disease. Therafter, the patient has been alive with good health for 12 months.

      • KCI등재

        임신과 동반된 거대점액성 난소낭종, borderline malignancy 1 예

        조삼현(SH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8

        본 교실에서는 임신 36주에 약 25kg의 우측 점액성 낭종 borderline malignancy를 동반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huge mucinous cystadenoma of borderline malignancy during pregnancy is presented. This 27 year-old multigravid woman in 36 gestational weeks was admitted for an enormous size of abdomen and premature labor under the diagnosis of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an ovarian tumor. After vaginal delivery of a dead fetus, an exploratory laborotomy disclosed a huge ovarian mucinous cystadenoma of bordeline malignancy. Salpingooophorectomy on the affected side and partial omentectomy were performed and followed by intraperitoneal infusion of cis-platinum 100mg. She has been in good health during 1.5 year of follow-up.

      • KCI등재

        부수적 충수절제술 295예에 대한 고찰

        조삼현(SH Cho),문형(H Moon)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3

        Tow hundred ninety patients who had incidental appendectomies from June 1, 1972 to 1977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lology were studied to observe the impact of incidental appendectomy on the patient postoperative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1. the patients with total hysterectomy, 2. the ptients with adnexal surgery due to ectopic pregnancy, and 3. the patients with adnexal surgery other than ectopic pregnancy, analysed.

      • KCI등재

        35 세 이하에서 발생된 자궁경부암조직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16 형 및 18 형에 의한 종양억제 유전인자 p53 의 동태변화

        신정환(JH Shin),조삼현(SH Cho),황윤영(YY Hwang),조수(SH Cho),유중배(JB Yoo),문형(H Moon),이재억(JA Lee),조율희(YH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3

        소의 약년층(35세이하)에 발생된자궁경부암 환자들의 치료 및 예후에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관계되는지, 관계된다면 항암인자로 악성종양 연구의 최근 목표가 되고있는 p53의 동태와 어떠한 연관이 되어 있는지를 구명하고자 35세 이하의 자궁경부암 환자 20예를 연구군으로, 45세 이상의 환자 10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인유두종 바이러스 16형 및 18형의 발현도를 Southern 핵산 교접법과 type specific primers와 L1 consensus primer를 이용한 2 step nested protocol의 핵산 증폭방법으로 구하였으며 p53 종양 억제 유전자의 exon별 핵산증폭과 single 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에 이은 직접 분자배열법으로 p53의 돌연변이 유무를 검증하여 임상상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5세 이하에서 발생한 자궁경부암 20예의 임상 병기는 대조군보다 조기이나 임파절 전이빈도는 7예(35%)로 대조군의 3예(30%)보다 상회하였으며 사망예는 20예중 3예로 3년 생존율이 85%이었다. 2. 35세 이하에서 발생한 자궁경부암 20예중 인유두종 발현빈도는 16예(80%)로 16형이 14예(87.5%), 18형이 2예(12.5%)이었으며 45세 이상군에서는 10예 중 9예에서 검출되었으며 그 유형은 공히 16형이었다. 3. 연구군 20예중 1예에서 P53유전자의 codon 189의 2변째 base에 위치한 C가 T로 전환된 transition의 돌연변이가 관찰되었을뿐 19예에서는 정상이었고 대조군 10예중 1예에서 변이가 관찰되었는데 intron 5와 exon 6의 경계부위의 splicing mutation으로 51 bases가 소실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들의 인유두종 감염형은 공히 16형 이었다. 4. p53돌연변이가 관찰된 2예의 임상특성은 병기가 IVa, IIa로 모두 골반임파절에 전이가 관찰되어 부수적 치료를 추가하였으나 각기 1년만에 재발하여 연구군(IIa)은 사먕하였으나 대조군의 경우는 지금까지 40개월간 건강하게 생존하고 있다. 따라서 약년층에 발생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따른 항암인자 p53의 동태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자궁경부암 세포중 p53 wild type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어떤 특수 물질이 분비되어서인지, 유식세포분석 방법에 의한 세포분열기의 상태연구는 계속되어야 하며 아울러 방향을 전환하여 retinoblastoma와의 관계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uman papillomavirus to the modulation of p53 in younger ptients with the uterine carvical carcinoma, comparative analysis was undertaken with the clinical variants. The prevalence and types of human papillomavirus was obtained by means of 2 steps polymerase chain reactions with the primers of HPV L1 consensus, type 16 and 18 E6specific primers and confirmed by southern blot hybridization. The status of p53 was evaluated with the 2 steps nested ploymerase chain reation-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direct sequencing with the primers of p53 exon 4,5-6,7,8-9, and their nested primers of exon 4,5,6,7,8 and 9 from the biopsy specimens of the 20 patients less than 36 years lod(study group) and 10 patients over 45 years old(control group). The incidence of lymph node metastases in the stud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35% in study group vs. 30% in control group) in spite of less advanced FIGO stage and 85% in 3-year survival in the study group. The prevalence rate and types of human papillomavirus were 16/20(80%), 14/16(87.5%) with type 16, 2 with type 18 in the former, and 9/10, type 16 only in the latter. There was one missense mutation in the younger patient group and one splicing mutation in the older patient group B ; the missense mutation revealed a transition from C to T of the 2nd base in the codon 189 of exon 4, and splicing mutation was found to delete 51 bases at the junction between intron 5 and 6. The clinical end results of the two cases with mutation of p53 were all recurrence within a year following the combined modalities with the induction chemotherapy and subseqint radical hysterectomy and paraaortic,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These suggest that the HPV could not modulate tumor suppressor gene p53 universally in patient with cervical carcinoma with no relation to the age factor. However, the sequential research whether the products in cancer cell to induce stabilization of p53 is present or not, and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for

      • KCI등재

        자궁종양조직의 DNA , 단백질 함량 및 DNA 합성 속도에 관한 연구

        김두상(DS Kim),조삼현(SH Cho),고재경(JK K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9

        자궁선근증, 자궁근종, 융모상피암 및 자궁경암에서 핵산 및 단백질 함량, 그리고 DNA 합성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선근중에서 자궁조직 DNA 및 단백질 함량은 약 30% 저하하였는데 DNA 함량의 저하는 이때 관찰되는 DNase 활성의 증가에 기인되는 것 같다. 2) 자궁근종에서 자궁조직 DNA 함량은 증가하고 단백질 함량은 변동되지 않은데 반하여 자궁경암에서는 자궁조직 DNA 및 단백질 함량이 모두 의의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자궁경암에서는 증가된 DNA의 gene expression을 통하여 단백질 함량이 증가된다는 것을 뜻하며 자궁근종에서는 gene expression이 부분적으로 억제되어 단백질 함량이 변동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3) 자궁경암에서는 DNA 함량의 증가도에 비하여 DNA 합성속도의 증가도가 더욱 큰 것으로 미루어 보아 DNA 합성 뿐만 아니라 DNA 분해도 항진되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DAN and protein metabolism in human uterine tumor tissues, uterine DNA and protein contents and the rate of DNA biosynthesis were determined in adenomyosis, leiomyoma, leiomyoma associated with adenomyosis, choriocarcinoma and cervical cancer. The results a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Uterine DNA and contents were decreased by approximately 30% in adenomyosis. The decrease in DNA concentration may result in the increased DNase activity abserved in such tissue. 2) While uterine DNA contents were increased in both leiomyoma and cervical cancer, protein concentration remained unchanged in leiomyoma and was increased in cervical cancer. The results suggest that gene expression through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may be enhanced in cervical cancer. The results suggest that gene expression through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may be enhanced in cervical cancer, but repressed in leiomyoma. 3) The findings that the degree of increase in the rate of DNA synthesi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concentration of DNA indicate that not only DNA synthesis but also DNA degradation was enhanced in cervical cancer.

      • KCI등재

        임신중 심부전증의 임상적 고찰

        황윤영(YY Hwang),조삼현(SH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8

        여러 학자들의 부단한 연구업적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발생기전이 불명하고 모성사망 원인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임신중 심부전에 관한 임상적 고찰을 하고자 1972년 8월부터 1976년 7월까지 저자는 한양대학교 부속병원 산과병동에 입원한 환자 4,270명 중 심부전 증세로 입원한 환자 21예를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심부전 발생빈도는 21예(0.47%)이었으며 이중 분만전 발병 5예(23.8%), 분만중 발병예 2예(9.14%), 산욕기 발병 14예(66.7%)이었다. 2) 대부분인 18예(85.71%)에서 기질적 병변이 없고 원인 불명이었으며 기질적 병변이 있는 오직 3예에서 진단이 되었다. 3) 증세발현의 연령은 25세내지 30세인 예가 12예(57.14%)였으며 30세미만이 14예 (66.66%)나 되었다. 4) 쌍태임신의 경우는 전체 94예중 2예로 2.13%의 빈도를 보여 전체 발생빈도 0.47% 보다 4배 더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5) 21예중 17예(80.95%)에서 임신중독증이 수반되었으며 과반수에서 빈혈이 수반되었다. The congestive heart failure could be developed during late antepatum, intrapartum and early postpartum, and it has been in medical interests and one of causes of maternal death. A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21 case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related with pregnancy, and it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Overall incidence was 0.47%. 2. Three out of 21 congestive heart failure cases were demonstrated organic disease in electrocardiogram. 3. Twelve out of 21 cases were in age 25 to 30. 4. In 13 out of 21 congestive heart failure cases were developed within first week following childbirth. 5. The congestive heart failure had close relationship with anemia, hypertension, multiple pregnancy and lower socioeconomic status.

      • KCI등재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에 의한 유도분만 효과에 관한 임상적 고찰

        박진익(JI Park),박성철(SC Park),조삼현(SH Cho),황윤영(YY Hwang),문형(H Moon),이재억(JA Lee),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산모 312예를 자연적으로 분만한 113예를 대조 군,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을 투여한 99예를 연구 1군, 옥시토신 정맥내 점적투여한 100예 를 연구 2군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군을 Bishop score <=4 와 =>5그리고 초산모와 경산모를 분류하여 이들의 임상적 양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의 효용성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Bishop score 에 따른 분만 제 1기의 소요기간 1) bishop score 4점 이하 ; (1) 초산모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 (p=0.000)과 연구 2군 (p=0.005)에서 유의한 분만시 간 단축이 잇었으나 두 연구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따. (2) 경산모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p=0.046)과 연구 2군(p=0.000)에서 유의한 분만시 간 단축이있었으나 두 연구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Bishop score 5점이상; (1) 초산모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P=0.002) 과 연구 2군(p=0.033)에서 유의한 분만시 간 단축이 있었다. (2) 경산모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연구 1군에서는 대조군과 유의한차이가 없었으나 연구 2 군(p=0.003)에서는 유의한 분만시간 단축이있었다. 2. Friedman curve에 의한 비교관찰 연구1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시간적 단축은 있었으나 그 양상이 대조군과 유사한 반면 연구 2군은 시간적 단축뿐 아니라 그 양상도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다. 즉 옥시토신 투여군에 비 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 투여군에서 자연진통 과 유사한 분만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유도분만을 위하여 프로스타글란딘 E2질정 투여는 비교적 간편하여 큰 부작 용이 없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din E2 vaginal suppositories offers the advantage of inducing further cervical ripening as well as promoting myometrial contractility . A retrospective randomized study was undertaken comparing the efficacy of a 3mg prostagladin E2 vaginal suppository (study group1 , n=99) with intravenous oxytocin for the elective induction of labor (study group 2, n=100) between May 1986 and April 1988. the results of above two study group were also compared with normal spontaneous labor group (control group n=113) as a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significantly shortened in the group 1 and 2 parturient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p=0.000 p=0.033, respectively, for nulliparous) who had a Bishop`s score of 5 or more. And the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also shortened in the group 2 among the parous parturients (p=0.003). 3. The pattern of Friedman`s curve in the group 1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 Above results show that local prostagladin E2 administration by means of vaginal suppositories was a simple, nonivasive method , and may be a useful alternative to oxytocin for induction of labor.

      • KCI등재

        초음파검사에 의한 정상임부의 자궁경부 측정

        박성철(SC Park),이경구(KK Lee),유중배(JB Yoo),조삼현(SH Cho),김경태(KT Kim),황윤영(YY Hwang),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저자는 정상임부의 자궁경부 길이 및 내경구 개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987년 3월1일부 터 1987년 8월 31일까지 정상임부 162명과 대조군으로 비임신 여성 68명을 대상으로 비교분 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가임 연령의 비임신 여성에서 평균 자궁경부 길이는 2.8+-0.6cm이었으며 연령별 평균치 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0.05), 임부에서의 평균 자궁경부 길이 3.6+-0.9cm 에 비교하여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68) 2. 자궁경부 길이는 초임부에서 1.8-5.9cm이었고 그평균은 3.5+-0.9cm이었으며 경산부에서 는 2.0-5.9cm이엇고 그 평균은 3.8+-0.8cm이었다. 임신 전 기간(5주-41주)에서 초임부와 경산 부 간의 자궁경부 길이의 비교는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임신주수 에 따른 자궁경부 길이의 변화도 초임부와 경산부 각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 었다. 3.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는 초임부에서 0-1.2 cm이었고 그평균은 0.10+-0.0cm이었으며 경산 부에서 0.-1.4cm이었고, 그 평균은 0.02+-0.05cm이었다. 임신 제 5주-36주에서 초임부와 경산부 간의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의 비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임신 37주-41주에서 초임부보다 경산부에서 유의하게 길었다. 또한 임신주수에 따른 자궁경부 내경구 개대의 변화도 초임부와 경산부 각각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ultrasonographic measurements of the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in normal pregnancy can provide an objective assessment of anatomical shortening associated with premature labor and delivery. One hundred sixty-two uncomplicated pregnant women underwent serial ultrasonographic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mesurements by gestational age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School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st, 1987 to August 31st 1987. In this group , 97 were nulliparas and the remainders (n=65) were multiparas. As a control group , sixty-eight normal non-pregnant women (20-40years old) were also studied by the same method. The mean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were compared between nulliparas and multiparas, and between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mograms of cervical length and dilatation by gestational age were illustrated. 2. The mean cervical length of nulliparas were similar to those of multiparas from 5 to 41 weeks of gestation (3.5+-0.9 cm vs 3.8+-0.8cm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f cervical length between the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3.6+-0.9cm vs 2.8+-0.6 cm p>0.05). 3. the mean cervical dilatation of nulliparas were similar to those of multiparas from 5 to 36 weeks of gestation (0.10+-0.0cm vs 0.20+-0.5 cm p>0.05).

      • KCI등재

        골밀도치에 따른 우리나라 여성의 골다공증 빈도

        조삼현,황윤영,이재억,조석신,조수,최윤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골다골증은 골밀도치에 따라 진단된다.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나이에 따른 골밀도치의 변화에 대한 보고는 있으나 골밀도치를 기준으로 골다공증, 골감소증의 빈도에 관한 보고가 아직 없기 때문에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골밀도는 측정 부의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측정 부위에 따른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양대학 병원 갱년기 크리닉을 방문하여 호르몬대체요법을 시행받지 않은 827명의 여 성[40대 338명, 50대 393명, 60대 114명, 70대 27명]을 대상으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QDR 4500 A, Hologic] 를 이용하여 요추와 대퇴골 경의 골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측정된 골밀도치를 이용하여 WHO의 기준에 따라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진단 하였다. 결과: 여성의 연령이 증가 할수록 요추골밀도, 대퇴골 경 골밀도, 체중, 신장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체 대상 여성에서 요추 골다공증은 93명[10.7%], 대퇴골 경 골다공증은 55명[6.3%]이었다. 40데 여성의 1.8%, 0.6%에서 각각 요추와 대퇴골 경의 골다공증을 그리고 20.4%, 27.8%에서 골감소증이 동반되었다. 50세 이상 여성에서 요추 골감소증은 42.5%, 대퇴골 경 골감소증은 45.1%, 골다공증은 각각 10.0%에서 관찰되었다. 골다공증의 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며 70세 이상 여성에서는 요추와 대퇴골 경에서 각각 66.7%이었다. 요추와 대퇴골 경에서 각각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동일하게 진단되는 일치도는 통게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요추가 정상인 여성 482명중 98명[20.3%]는 대퇴골 경의 골감소증, 7명[1.4%]는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었다. 대퇴골 경 골밀도가 정상인 여성 483명중 105명[21.7%]는 요추 골감소증으로 1명[0.2%]는 골다공증으로 잘못 진단 되었다. 결론: 40대 이상 여성의 27.8%는 골감소증에 이환 되었으며 70세 이상 여성의 11.1%망이 정상이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측정부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Obje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based on the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women and compare the misclassification of diagnosis according to two different skeletal sites. Methods: Spinal and femur neck bone mineral density[BMD]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QDR 4500 A, Hologic ] in 872 women over age 40 years old. The mean age, height and weight were 52.8 13.8 years, 156.4 13.3cm, 58.6 10.4kg, respectively. Results: The spinal and femur neck BM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increase. 10.7% of all women had spinal osteoporosis, and 6.3% had femoral osteoporosis. Of women in their forties, the prevalence of spinal and femoral osteoporosis were 1.8%, 0.6% and osteopenia were 20.4%, 27.8%, respectively. 16.3% and 10.0% of women older than 50 had spinal and femoral neck osteoporosis and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crease according to age increase and 66.7% of women over 70 years of age had osteoporosis. The incidence of misclassification was low. Only 1.8%[1/55] of the women with osteoporosis determined by the spine measurement had a normal femur neck BMD and 7.5% of women with femur neck osteoporosis were diagnosed as normal in spinal BMD measurement. The greatest discrepancy occurred among women intheir fifti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27.8% of women in their forties had osteopenia and only 11.1% of women age 70 and older had normal bone mineral density. The prevalence was similar at two measurement sites and the incidence of misclassification was low.

      • KCI등재

        비특이적인 β-HCG 상승과 초음파소견을 보인 자궁외임신 1 례

        조삼현,문형,조수,김기성,김대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5

        저자들은 비특이적으로 높은 β-HCG 상승과 초음파소견을 보인 자궁외임신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간략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cent improvements in the sonographic depiction and radioimmunoassay of the beta subunit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β-HCG) have markedly enhanced the ability to diagnose ectopic pregnancy. Especially, a $quot;discriminating zone$quot; has been defined for discerning normal intrauterine pregnancies from ectopic pregnancy by means of ultrasonography and β-HCG titration. We have recently experienced a patient of ectopic pregnancy which showed unusual high β-HCG titer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and we report a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