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라돈 자연저감

        조병욱,윤욱,추창오,Cho, Byong-Wook,Yun, Uk,Choo, Chang-Oh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gree of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of small-scale water supply systems. Six sit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data on well characteristics (depth, pumping rate, water tank capacity, distance from well to tap water) were obtained. Water samples both from raw water and three tap waters at each sit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radon concentration. Average radon removal efficiency of the five sites (A-E) in Nov. 2006 was 26.0% while that of the same sites in Dec. 2006 was 45.6% indicating seasonal difference in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Meanwhile short-term (April 23, April 30, May 8, 2007) radon removal efficiency from the site F was 44.1-49.0%, implying only a little difference in natural radon removal efficiency. The degree of radon removal at tap water was influenced mainly by pumping rate rather than distance from the well and water tank capacity. 마을상수도 지하수의 라돈의 자연저감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6개 지점을 대상으로 지하수공의 제원, 저수조의 크기, 지하수 사용량, 원수로부터 꼭지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원수와 3개 꼭지수의 라돈함량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5개 마을상수도 지하수(A-E)에서 2회에 걸친 원수와 꼭지수의 라돈 자연저감은 2006년 11월에는 26.0%, 2006년 12월에는 45.6%로 나타나 계절별 지하수 사용량에 따른 자연저감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마을상수도 F에서 2007년 4월 일주일 간격으로 3회 분석된 꼭지수의 라돈함량은 원수의 44.1-49.0%로 나타나 단기간에 걸친 라돈 자연저감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꼭지수에서의 라돈의 저감은 원수로부터의 거리, 저수조의 크기보다는 지하수의 사용량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괴산지역 지하수의 라돈 함량

        조병욱,Cho, Byong-Wook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7 지하수토양환경 Vol.22 No.5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250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Goesan area where uraniferous black slate and granites abundantly occur in the formations. The measured radon levels ranged from 0.90 to 7,218.7 Bq/L with the median value of 54.3 Bq/L, similar to the value measured in the nationwide survey in 4,853 wells (52.1 Bq/L). The median value was highest in the Cretaceous granite area (390.0 Bq/L) while it was as low as 20.0~58.8 Bq/L in the Ogcheon meta-sedimentary rock areas. About 23.6% of the total samples exceeded the WHO guideline value of 100 Bq/L established in 2011. The exceeding rate was 69.0, 39.4, and 7.0~13.7% in the Cretaceous granite area, Jurassic granite area, and Ogcheon meta-sedimentary rock areas, respectively.

      • KCI등재

        밀양지방 토종개의 형태학적 특징 및 유전적 다양성 연구

        조병욱,조길재,Cho, Byung-Wook,Cho, Gil-Ja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4

        밀양 토종개의 일반적인 특징을 구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밀양 토종개 44두를 대상으로 형태학적 특징 및 microsatellite DNA형의 유전적 다양성의 출현빈도에 기초한 유전적인 특징을 조사한 결과 밀양 토종개의 체고는 43-55 cm(평균 49.5 cm)로서 수캐는 44-55 cm(평균 50.3 cm), 암캐는 43-52 cm(평균 48.1 cm)로 나타났고 체장은 45-60 cm(평균 54.3 cm)로서 수캐는 45-60 cm(평균 55.9 cm), 암캐는 45-57 cm(평균 52.6 cm)였다. 또한 가슴둘레는 수캐가 51-64 cm(평균 59.2 cm), 암캐는 50-62 cm(평균 56.3 cm)로 측정되었다. 머리의 형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44두 모두에서 역삼각형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눈의 모양은 삼각형 형태가 40두(90.9%)였고 초승달 모양이 4두(9.1%)로 관찰되었다. 모색은 백색이 41두(93.2%), 황색이 3두(6.8%)로 나타나 두 색깔을 가지고 있었다. 혀와 발톱의 색깔은 전 두수에서 각각 연분홍색과 분홍색이 관찰되었고 항문의 색깔은 연한 흑색이 40두(90.9%), 연분홍색이 4두(9.1%)로 나타났다. 그리고 귀의 형태는 전 두수가삼각형의 곧게 서 있는 형태였으며, 꼬리의 형태는 반말린 꼬리가 25두(56.8%)로 가장 많았고 선꼬리(장대꼬리)가 15두(34.1%), 말린 꼬리가 4두(9.1%)로 나타났다. 15개의 marker로 분석한 microsatellite DNA 다형의 유전자 빈도에 기초하여 heterozygosity, PIC 그리고 PE를 분석한 결과 대립유전자의 수는 $2{\sim}14$개(평균 6.13개)로 검출되었으며 expected heterozygosity와 PIC는 각각 $0.455{\sim}0.863$ (평균 0.635), $0.348{\sim}\;0.837$(평균 0.570)으로 나타났고 PEZ 10, PEZ 13, PEZ 17, FHC 2054의 marker는 PIC 0.7이상으로 관찰되었다. PE 1은 $0.101{\sim}\;0.548$으로서 15개 marker를 조합시 0.9895, PE 2는 $0.174{\sim}\;0.710$으로서 전체 조합시 0.9996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height, body lenght, chest depth, head type, ear type, body color, eye type and tail type) and genetic diversity using 15 microsatellite DNA markers (PEZ 1, 5, 8, 10, 11, 12, 13, 15, 16, 17, 20, 21, FHC 2010, FHC 2054 and FHC 2079) in 44 random Miryang native dogs(6 months${\sim}$12 years old). The height, body lenght, and chest depth of Miryang native dogs were 43-55 cm(mean 49.5 cm), 45-60 cm(mean 54.3 cm), and 50-64 cm(mean 57.9 cm), respectively. Miryang native dog was medium sized. The head and eye type were reverse-triangle(100%), triangle (90.9%) and newborn moon(9.1%), respectively. Most of body color had white coat color(93.2%), light pink tongue color(100%), light black anal color(90,9%) and pink claw color(100%). The ear type showed erect ear(100%), and half-curled(56.8%), upward(34.1%), curled(9.1%) in tail type, respectively. Number of alleles observed at a single locus ranged from 2 (PEZ 21 and FHC 2010) to 14 (PEZ 13), with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of 6.13. The expected heterozygosities of 15 microsatellite loci were estimated based on gene frequencies. The highest expected heterozygosity, 0.863 was estimated in PEZ 13 locus and the lowest, 0.455 in PEZ 21 and FHC 2010 locus. And the mean expected heterozygosity of 15 microsatellite markers was calculated as 0.635.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were ranged from 0.348 (PEZ 21 and FHC 2010) to 0.837 (PEZ 13), and the mean PIC value was calculated as 0.570. Of the 15 markers, PEZ 10, PEZ 13, PEZ 17 and FHC 2054 loci have relatively high PIC value (> 0.7) in Miryang native dog.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icieney of parentage control, exclusion probabilities (PE) were calculated for each allele. The highest PE 1 and PE 2 in PEZ 13 locus was caculated to 0.548 and 0.710, respectively. And the total exclusion power in PE 1 and PE 2 was calculated to 0.9895 and 0.9996, respectively. These results can give basic information for perservation and research in Miryang native dog,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Korean native dog and Asian dog breeds.

      • KCI등재

        국내 지하수의 라돈 함량 예비조사

        조병욱,성익환,조수영,박선구,Cho, Byong-Wook,Sung, Ig-Hwan,Cho, Soo-Young,Park, Sun-Ku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7 지하수토양환경 Vol.12 No.5

        국내 지하수의 라돈 함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에 걸쳐서 615개 지하수 시료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조사된 농도범위는 4 pCi/L에서 40,010 pCi/L까지로 나타났으며, 평균값과 중간값은 각각 1,862 pCi/L와 920 pCi/L이었다. 조사한 지하수시료를 지질조건에 따라 5개의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평균 라돈함량은 화강암 지역 지하수에서 2,595 pCi/L로 가장 높았으며, 제주화산암 지하수에서는 238 pCi/L로 가장 낮았다. 또한, 풍화대와 암반지하수에서 2,298 pCi/L로 가장 높았으며, 충적층지하수에서는 672 pCi/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국내 지하수중 라돈의 평균 함량과 최고 함량은 유사한 지질환경을 가지는 외국의 경우와 비교하면 낮은 편이나 보다 확실한 결론을 위해서는 추가 분석자료가 필요하다. A surve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f South Korea. Groundwaters of 615 wells were sampled for this study during the four years from 1999 to 2002. The results showed radon values ranging from 4 pCi/L to 40,010 pCi/L with a mean and a median of 1,862 pCi/L and 920 pCi/L, respectively. The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rock types; granite, sedimentary rocks, metamorphic rocks, Ogcheon metamorphic rocks, and Cheju volcanics. Mean radon concentrations were highest (2,595 pCi/L) in granites and lowest (238 pCi/L) in Cheju volcanic rocks. The groundwaters generally showed the highest radon content (2,298 pCi/L) in the weathered and the fractured bedrock complex and the lowest level (672 pCi/L) in the alluvi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don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are low relative to those reported from other countries. But further investigations are suggested to confirm our results.

      • KCI등재

        14 비트 분해능을 갖는 2차 Sigma-Delta 변조기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의 최대에러 허용 범위 조사

        조병욱,최평,손병기,Cho, Byung-Woog,Choi, Pyung,Sohn, Byung-Ki 한국통신학회 1998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3 No.5

        저주파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sigma-delta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이용이 용이하다. 이 변환기는 변조기와 디지털 필터로 구성되는데 여기에서는 변조기에 대해 언급한다. 14비트 분해능을 갖는 2차 sigma-delta 변조기를 설계하기 위한 변조기의 구성요소 즉 연산 증폭기, 적분기, 내부 ADC 및 DAC의 최대 허용 에러 범위를 규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상적인 변조기를 모델링하고 다음으로 변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여러 가지 에러 요인 즉 연산증폭기의 최대 출력 제한, DC 이득, slew rate, 축전기의 불일치에 의한 적분기 이득 에러와 내부 ADC 및 DAC의 에러 등을 이상적인 모델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에러 허용 범위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sigma-delta 변조기 설계 시 요구되는 구성 요소의 사양을 결정 할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나타나는 에러 성분에 대한 한계를 규정하여 최종 제작될 변조기의 성능을 확신 할 수 있다. Sigma-delta converter is frequently used for conyerting low-frequency anglog to digital signal. The converter consists of a modulator and a digital filer, but our work is concentrated on the modulator. In this works, to design second-order sigma-dalta modulator with 14bit resolution, we define maximumerror limits of each components (operational smplifier, integrator, internal ADC, and DAC) of modulator. It is first performed modeling of an ideal second-order sigma-delta modulator. This is then modified by adding the non-ideal factors such as limit of op-amp output swing, the finit DC gain of op-amp slew rate, the integrator gian error by the capacitor mismatch, the ADC error by the cmparator offset and the mismatch of resistor string, and the non-linear of DAC. From this modeling, as it is determined the specification of each devices requeired in design and the fabrication error limits, we can see the final performance of modulator.

      • 14 비트 분해능을 갖는 2차 Sigma-Delta 변조기 설계 및 검증

        조병욱,최평,손병기,Cho, Byung-Woog,Choi, Pyung,Sohn, Byung-Ki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6 No.5

        저주파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sigma-delta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이용이 용이하다. 이 변환기는 변조기와 디지털 필터로 구성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변조기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모델링을 통해 14비트 분해능을 갖는 2차 sigma-delta 변조기를 설계하기 위한 변조기의 구성요소 즉 연산 증폭기, 적분기, 내부 ADC 및 DAC의 최대 허용 에러 범위를 규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산증폭기, 2비트 ADC 및 DAC 등을 설계·검증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2차 sigma-delta 변조기를 구성하였다. 3비트 ADC의 기준전압을 조절하여 변조기 성능 향상을 도모하였으며, 내부 DAC를 축전기 및 간단한 제어회로로 구성하여 비선형성 에러를 최소화하였다. 설계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모델링에서 정의된 에러 범위를 모두 만족하였으며, 전체 변조기는87㏈의 입력범위와 87㏈의 최대 신호 대 잡음 비를 가졌다.

      • KCI등재

        괴산지역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조병욱,Cho, Byong-Wo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5

        괴산지역은 우라늄 함량이 높은 탄질점판암이 국부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화강암의 분포비율이 절반 정도나 되어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250개 지하수에서 우라늄 함량을 분석하였고 250개 지하수 중 200 개 지점에서 암석내 우라늄 함량을 측정하였다. 연구지역의 지질을 5개 (옥천 변성사질암대 (Og1), 옥천 하부천매암대 (Og2), 옥천 함력천매암대 (Og3), 쥬라기화강암(Jgr), 백악기화강암(Kgr))으로 대분하면 암석의 우라늄 함량 중앙값은 Kgr에서 8.2 mg/kg으로 가장 높았으며 Og2의 우라늄 함량은 나머지 Jgr, Og1, Og3 (3.05~3.90 mg/kg)의 범위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250개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 범위는 $0.01{\sim}293.0{\mu}g/L$(중앙값 $0.87{\mu}g/L$)으로 국내 전체 지하수의 우라늄 중앙값 $0.74{\mu}g/L$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별 지하수의 우라늄 함량은 Kgr이 $4.74{\mu}g/L$으로 높고 Og1, Og2, Og3는 $0.35{\sim}0.74{\mu}g/L$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체 지하수의 WHO의 음용수 가이드라인 $30{\mu}g/L$ 초과율은 국내 전체와 비슷한 2.8%이나 Kgr 지역의 초과율은 20.7%나 되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Uranium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of the Goesan area was anticipated high because the area contains Ogcheon metamorphic rock zone which partly includes coal bed bearing high uranium content and nearly half of the area is covered by granitic rocks.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from 250 wells in five 5 lithology (Ogcheon meta-sandy rock zone (Og1), Ogcheon lower phyllite zone (Og2), Ogcheon pebble bearing phyllite zone (Og3), Jurassic granite (Jgr), Cretaceous granite (Kgr)), of the area were analyzed and equivalent uranium concentrations (e(U)) from 200 rocks near sampled wells were measured using portable gamma spectrometry. Higher median value of e(U) (8.2 mg/kg) was found on Kgr outcrops. The median e(U) value of Og2 was not as high as that of Kgr and similar to those of Jgr, Og1, and Og3 (3.05~3.90 mg/kg). The uranium level in groundwater of the area ranged from 0.01 to $293.0{\mu}g/L$ with a median value of $0.87{\mu}g/L$ which is similar to the national median uranium level of $0.74{\mu}g/L$. The uranium concentration was high in the samples from the Kgr (median $4.74{\mu}g/L$) and low samples from the Og1, Og2, and Og3 (median $0.35{\sim}0.74{\mu}g/L$). The percentage of total samples having uranium level above $30{\mu}g/L$ was 2.8%, on the other hand, that of Kgr is 20.7%, reflecting additional survey on the Kgr area is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