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톨릭 교회 안에서 청소년의 문화로서 또래관계

        조발그니(Balkeuni Cho)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8 종교문화학보 Vol.5 No.-

        이 연구는 가톨릭 교회 안에서의 청소년 또래관계를 통해 가톨릭교회 내 청소년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밝혀내고 그들의 종교생활과 종교교육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있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광주·전남 지역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청소년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 내 청소년의 또래관계는 중요하다. 연구에서 청소년들은 자신들과 공감대를 이루는 또래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그 관계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톨릭교회내에서 청소년들은 또래관계가 형성될 때 종교적으로 성숙되지만 그 만남이 단지 교제와 같은 친교의 수단일 때 종교적인 성숙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톨릭교회 내 또래관계 안에서 청소년의 도덕성 형성을 위한 사회봉사와 같은 친사회적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톨릭교회 내 청소년의 또래관계 형성이 중요하고 이를 통해 종교적 성숙은 물론 도덕성 형성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가톨릭교회 내 청소년의 또래관계 형성이 바람직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관심, 배려, 그리고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회의 정기적인 모임이 필요하고 청소년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 활동을 꼼꼼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er relationship as culture of adolescents in the Catholic Church. This is to study importance of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making program of their religion life and religion education. To explain results of this study, we performed ths depth interview in nine participants, secondary students of Gwang Ju and Jeon N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 is very important. The adolescents formed relationship with friends who consist in their consensus. They verify their identity in this relationship. Second, in Catholic Church, adolescents maturity religiously when their relationship is formed in church. But the religion development is not progressed in the time of simple meeting. Third, it is necessary for adolescents’ morality building to prepare the prosocial program like social service. In conclusion, we suggest for adolesents’ peer relationship, religion develolpment and morality building as follow. First, Interest, care and effort are necessary for forming positively adolescents’ relationship in church. We require to organize an regular meeting to examine programs that adolescents participate in voltai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의 조절효과 검증 : 천주교 광주대교구를 중심으로

        조발그니(Cho, Balkeuni),김병욱(Kim, Byoung-uk)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 No.17

        이 연구는 가톨릭 청년의 종교성과, 종교대처, 안녕감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가 일관되지 않게 나타난 이유가 조절변수인 종교대처의 작용이라고 보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천주교 광주대교구 내 13개 성당의 청년 252명을 대상으로 종교성 척도, 종교대처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사회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상관분석, 동시 회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대처의 세 가지 양식은 종교성, 안녕감과 다른 상관을 보였다. 종교대처 양식 중 공협형과 책임전가형은 종교성 하위 요소인 신경에 대한 동의, 경건성, 교회 출석, 조직 활동, 종교 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종교성의 하위 요소 중 조직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 예언변수였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교회 출석이었다. 셋째, 공협형은 종교성의 모든 하위요소에 대해서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보인 반면, 자기주도형은 종교성의 하위요소 중 신경에 대한 동의와 경건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종교대처 양식 중 공협형은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적예언변수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교성과 안녕감의 관계에서 종교대처 양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공협형과 자기주도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서 작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볼 때, 공협형의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종교성이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종교기관은 청년들을 위한 활동이나 교육을 계획할 때 종교성의 증진 뿐 아니라, 청년들의 종교대처 방식에 대한 관심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religiosity, religious coping, and well-being. Especially, special concern was given to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religiosity, religious coping and well-being were administered to 252 youngsters belonging to 13 churches in Gwangju City.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youngsters' religiosity and their well-being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categories of religiosity and those of well-be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sity and well-being differs according to religious coping. If youngsters have deferring and collaborative types in religious coping,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sters' religiosity and their well-being is positive. The attendance at the church is important to improve youngsters' well-being. Second, only the attendance at church activities affects youngsters' positive well-being. In conclusion, religious coping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religiosity and youngsters' well-being. This means that religious institutions should pay attention to youngsters' involvement and activities at the church. That is, positive attendance at church activitie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youngsters' religiosity and improving well-being. Further research with in-depth interview is needed to explore richer data on youngsters' religiosity.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발달과 신앙교육

        조발그니(CHO, Balkeun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5

        본고에서는 발달이론을 통해 청소년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신앙교육의 방법과 과정 그리고 청소년 신앙교육의 주체인 부모와 교리 교사의 역할을 제언하면서 다음과 같이 일곱 가지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피아제는 청소년 시기를 형식적 조작기로 보며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고 여겼다. 따라서 나눔과 묵상과 같은 추상적 사고를 통한 신앙교육을 해야 한다. 둘째, 콜버그는 도덕발달이론을 주장하면서 청소년 시기가 착한 소년 착한 소녀 지향 단계(3단계), 사회질서 도덕성이 발달한 단계(4단계)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시기는 독립적 도덕적 신념이 없고 강압적 신앙교육을 거부하며 의미 있는 타인이 중요하다. 셋째, 에릭슨은 청소년 시기를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로 본다. 그래서 청소년이 자신의 문제를 살펴보고 고민을 나눌 수 있도록 교회가 노력을 해야 한다. 넷째, 골드만에 의하면 청소년은 추상적 종교적 사고단계이다. 청소년은 성경을 자구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신학적이며 신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따라서 주입식 신앙교육은 청소년 신앙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섯째, 파울러에 의하면 청소년은 종합적-인습적 신앙단계로서 신앙은 아직 견고하지 않고 교회의 권위를 따른다. 그럼에도 청소년은 또래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여섯째, 오저에 의하면 청소년 시기는 받기 위해 주는 단계이다. 이 시기에 신(神)은 청소년들에게 분리되어 있지 않고 상호적 관계를 지닌다. 일곱째, 다양한 종교교육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할 때, 청소년은 성인의 신앙과 달리 아직 성숙되지 않아 적절한 신앙교육의 개입이 필요하다. 위의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아 필자는 청소년의 신앙교육에서 다양한 나눔 중심 교리방법을 제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신앙교육은 주제중심과 신약 성경을 토대로 되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그리고 나눔은 개방적이어야 하며 자기주도적 체험중심 신앙교육을 제언하였다. 청소년 신앙교육을 위해서는 부모의 신앙심이 선행되어야 하며 교리교사들이 교육학적 심리학적 지식을 갖추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dolescents in light of developmental theory. In addition, it proposes methods and curricula for faith education of adolescents and roles that might be played by both parents and catechists within this process. The claims set ou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iaget, adolescents at the formal operational level of development are capable of thinking hypothetically and deductively. Thus, abstract thinking, such as sharing, meditation and faith should be part of their education. Second, Kohlberg protests that adolescents ar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steps of development: promoting good boy/good girl models. But he proposes that they are moving towards a fourth step of social order and morality. Since they have no independent moral beliefs, young people can reject imposed faith education thus making the role of significant others important. Third, Erikson claims that for adolescents, identity issues are extremely confusing. Recognizing these difficulties the church is endeavoring to engage with these problems. Fourth, according to Goldman, young people are at the stage of having religiously abstract ideas. They have the ability to theologically interpret the Bible as opposed to literal interpretation. This realization raises serious difficulties regarding the use of ‘cramming’ methods in faith education for the young. Fifth, according to Fowler young people are at a synthetic-conventional stage of faith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s not firm and they may simply comply with church authority. Also, many teenagers are subject to the influence of peers. Sixth, Oser states, there is a stage for adolescents where giving is in order to receive (Do ut Des). During this stage, God is not sensed as separate from them but has a mutual and reciprocal relationship. Seventh, in the opinion of various religious education scholars, the faith of teenagers is not mature like the faith of adults and it is thus necessary to have proper faith education in place for them. In line with the views of the above scholars, this study proposes that for youth faith education a method of education centered on sharing is needed. In addition, such a method of faith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New Testament. Such sharing ought to be open and faith education should be a self-directed experience. Finally two additional elements are considered: for faith education to successfully take place the parents’ religious beliefs ought to precede that of their children and catechists involved in religious education should have a sound pedagogical and psychological knowledge of educational methods.

      • KCI등재후보

        해외 유학생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 내용 분석

        조발그니(Balkeuni Cho)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35 No.-

        이 연구는 해외유학생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후속연구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85년부터 2008년까지 이뤄진 논문 43편을 내용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국내 학술 DB를 통해 수집된 학술논문을 7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주제어를 시기별로 교차비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생의 연구는 시기에 따라 점점 더 늘어나고 있고, 그 연구 영역에 있어서도 다양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지역은 영어권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중국이었다. 둘째, 연구지역은 영어권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중국이었다. 셋째, 적응은 유학생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주제이었다. 넷째, 최근 연구 특히 2000년 이후 연구에서 조기유학은 가장 중요한 주제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학생은 최근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특히 조기유학은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유학생의 적응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적절한 정책이 부족한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여 후속 연구의 개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ccomplished the contents analyse to understand a trend of studies about the student studying abroad(SSA) in Korea and to offer the data for further research studies. 43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academic DB, from 1985 to 2008. For it, this study categorized data in 7 items and cross contrasted the key words according period.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ies of SSA were expanded gradually ant varied in the study sphere. Second, in the zones of studies, the English-speaking world was most occupied and secondly China. Third, Adjustment of studies, the English-speaking world was most occupied and secondly China. Third, Adjustment was a principal subject to study SSA. Forth, in the recent studies, above all, after 2000, early studying abroad was the most important key word to understand SSA,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information and the policy for SSA`s adjustment. Finally, the 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 사목에서 또래연대 가능성 모색

        조발그니(Cho, Balkeun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91

        본고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변화된 사목의 개념에 따라 청소년 사목을 청소년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청소년 사목의 한 방향으로 또래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고는 청소년 사목에서 청소년 또래연대를 제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기점으로 사목개념의 변환을 설명하였다. 곧 평신도가 사목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이며, 또한 사목은 교회 내적 문제만이 아니라 교회 외적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시대의 표징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청소년 사목 주체 역시 청소년임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청소년 사목의 방향이 교회의 외적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청소년을 이해하기 위해 청소년 또래문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더불어 교회 내에서 청소년들은 또래를 통해 신앙과 소속감을 형성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따라서 청소년 또래사목 역시 청소년이 주체이며 대상인 사목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청소년 사목에서 또래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또래들이 청소년 문제의 해결자이며 주체임을 또래멘토링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청소년 또래사목을 위한 방향으로 로젠버그가 소개한 손잡고 나아가기 모형인 또래연대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사목에서 또래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괴롭힘에서 주변인 연구와 청소년 사회참여운동 사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교회 안에서 청소년 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고는 청소년사목의 다양한 접근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의 개진 가능성을 위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on the basis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s teachings on ministry, the potential of peer solidarity for youth ministry based on the viewpoints of young people. This study looks at the following suggestions on peer solidarity for youth ministry. First, we deal with the concept of ministry that changed after Vatican Ⅱ allowing the laity to participate in the leadership of ministry and that ministry should take an active role not only with the internal issues but also with the external issues of the Church. Based on this, we believe that young people should participate in the leadership of youth ministry. Also, we stress that youth ministry should reach out to the external issues of the Church as well. Second, we look at youth peer culture in order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people. In particular, South Korean adolescents have formed a unique peer culture that involves the emotional and economic commitment of parents, which develops a specific kind of peer relationships that are not easily seen in other countries. In addition, we explain that youth in the Church build faith and group spirit through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we argue that youth ministry should center on peer relationships. The task of youth ministry is to help young people face their problems through their interactions. Third, we explore previous research to examine the potential of nurturing peer solidarity in youth ministry when young people are the subjects of that ministry. Furthermore, we present Rogenberg’s concept of ‘peer solidarity in club joining’ as a model that can be used in youth ministry. Here, we present youth issues and state that the Church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to rely on each other and share their issues. Finally, concerning research on the potential of youth solidarity, we explore similarly-related studies, youth social movements and youth groups within the churc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attempt to suggest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youth minis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주일학교 교리교육의 교회론적 성찰과 교육적 패러다임

        조발그니(CHO, Balkeun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1

        본고는 주일학교 교리교육의 침체 요인과 청소년 교리교육의 교회론적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리교육의 교육적 패러다임 전환을 재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 신앙교육의 사목적 관심과 신학적 연구를 촉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일학교 침체 요인을 외부적요인과 내부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외부적 요인은 산업화를 들었다. 곧 산업화가 되면서 물질만이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사람들은 신앙보다는 물질에, 또 이성으로 확인 가능하고 증명할 수 있는 것에 관심을 갖는다. 또 입시 위주 교육을 들었다. 한국사회에서 교육열이 높은 이유는 고학력일수록 소득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주5일제 수업으로 인해 방학이 줄고 주중학습이 늘게 되어 학부모들이 불안심리로 인해 사교육에 더 의존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해결책을 제시하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교회 내부의 요인을 찾아야 하는데 내부적 요인으로 교리교사의 자질을 들 수 있다. 이는 주일학교 교리교육 침체 현상의 요인이다. 그러나 현재 주일학교의 교리교사들은 단기적으로 봉사활동을 하다가 소진되어 주일학교를 떠나는 상황이므로 교사들에게 자질과 전문성을 요구하기 전에 주일학교가 교회의 본질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둘째, 주일학교 신앙교육이 교회의 본질적인 역할이며,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이어오는 사명임을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교회는 예수가 그리스도임을 믿고 고백하는 사람들이 모여 이룬 공동체이고, 복음선포는 교회의 존재 이유이며 교회 제정부터 교회 본연의 역할이라는 것을 선행연구와 교회문헌을 통해 밝혀냈다. 곧 복음선포는 교회의 본질적 사명이고, 교회 구성원 모두가 복음선포를 말로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전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교리교육임을 주장하였다. 셋째, 주일학교 교리교육에 인간적 복음선포의 기반아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청소년이 사목의 주체가 되는 청소년 교회를 제안하였다. 본고는 주일학교 신앙교육이 교회의 본질적 역할임을 주장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한 교회론적 변환을 주장한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여 후속연구의 개진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urch’s need to rethink the educational paradigm underlying the stagnation of Sunday school catechises and the faith formation of young people. Through this there will be a call for more pastoral involvement in and theological reflection about the religious formation of young people. This study makes three claims. First, there are both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affecting the stagnation of Sunday school catechises. External: industrialization and entrance-exam orientated education. Internal: problems concerning the quality of Sunday school teachers and the lack of interest demonstrated by the church. On the part of the church there seems to be a lack of interest in the faith formation of young people. Second, Sunday school plays a fundamental role in the church and through an examination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e see that mission arises from Jesus Christ. Third, Sunday school catechises needs to change so that it is based on a new paradigm: human proclamation of the gospel, an educational church, and a church of the youth. To have a Church of the youth there has to be a theme of pastoral work for the young people. This study proposes that faith formation in Sunday school catechises is the fundamental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new paradigm this can be accomplished. Finally,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ossibility of further studies should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종교공동체의 사회적지지 역할과 영국, 프랑스, 독일 유학생의 적응

        조발그니(Cho, Balkeuni) 한국종교학회 2011 宗敎硏究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the Korean religious community as an agent of social support for Korean students in England, France and German. Data was collected from 127 Korean students living overseas for quantitative purposes and 11 students for qualitative purpose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and focus interview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127 Korean students living in France, Germany and England shows that all subcategories of the religious community’s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Korean cultural adjustment. Second, in the area of Korean cultural adjustment the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for Korean students overseas was emotional support. However, material support was the significant negative predictor of this adjustment. Third, in the focus groups made up of eleven students and held in both Paris and Essen,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the most difficult factor for studying in France and German was a lack of language fluency. Also, Korean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integrate with European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may be concluded that: one, Korean religious communities might offer to stage meetings and social occasions in order to encourage the adjustment of Korean students living overseas; two, above all else,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and programs aimed at pastors who are ministering overseas; three, the Korean religious community has to take a profound interest in the cultural and academic adjustment of Korean students living overs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