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육계의 사료내 황토 첨가가 계육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옥자,양철주,김정빈,문승태,정현숙,심기훈,채영기,Choi, O.J.,Yang, C.J.,Kim, C.B.,Moon, S.T.,Jung, H.S.,Shim, K.H.,Chae, Y.K. 한국가금학회 2007 韓國家禽學會誌 Vol.34 No.2

        육계 사료내 황토의 첨가가 계육의 조리시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동물은 Ross Broiler 216수로 6처리 6반복 반복당 6수씩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1) 대조구, 2) 황토 0.5% 첨가구, 3) 황토 1.0% 첨가구, 4) 황토 2.0% 첨가구, 5) 황토 4.0% 첨가구, 6) 황토 8.0% 첨가구로 총 6처리로 나누어 급여한 후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황토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조리 전에는 L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리 후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조리 전보다 조리 후에 L값이 더 높았다. a값은 조리 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구는 더 낮게 나타난 반면, 조리 후에는 대조구보다 황토 첨가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b값은 조리 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4.0 및 8.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리 전보다 조리 후 b값은 높게 나타났다.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조리 전과 후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졌다(P<0.05). 조리 후 육수의 탁도는 사료내 황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 평가에서 육질과 육수의 색, 향미, 맛, 질감 등은 대조구보다 황토 첨가구의 기호도가 높았으며(P<0.05), 전체적인 선호도는 4.0% 황토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육계의 사료 황토를 첨가하여 생산한 계육은 관능 평가 결과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effects of Yellow Clay(YC)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meat in broiler chicks. A total of 216 one day old broiler chicks were divided into 6 groups at random. The six groups are consisted of one control group, to which no YC was added, and 5 groups to which an amount of YC was differently added. Diets contained 0.5, 1.0, 2.0, 4.0 and 8.0% of YC and fed to the 5 group broilers for 6 weeks. The lightness of meat in the broilers treated with Y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after-cooking(P<0.05). Besides, the lightness of meat was higher after-cooking than before-cooking. The properties of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Yellow Clay, as the amount of Yellow Clay increased at before-cooking and after-cooking(P<0.05). The turbidity of stock was higher in the groups treated with Yellow Clay as the percentage level of Yellow Cla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 The acceptability of color, flavor, and texture of meat and stock was higher in the groups treated with Yellow Clay,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In total, the group treated with the 4 percentage of Yellow Clay was the highest in the overall preference(P<0.05).

      • 임의의 속도분포 생성을 위한 불균일한 공극률을 가지는 배플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조민기(Min Ki Cho),최문경(Mun Kyoung Choi),이해완(H.W. Lee),정현숙(H. Jung),이진원(Jin Won Lee)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11

        Design method of a Baffle for transforming any inlet velocity profile to another outlet velocity profile based on a non-uniform porosity profile was proposed. Effectiveness of the baffle was confirmed through a numerical analysis over a wide range of parameter conditions and experiment performed in a wind tunnel. The proposed design method for the non-uniform porosity distribution gave satisfactory results for a wide variety of velocity profiles at the channel inlet and the outlet, and an empirical equation was found between the number of holes in the baffle and the accuracy of the generated profile.

      • 효과적인 통계처리를 위한 요약테이블 생성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성백균(B. G SUNG),김유정(Y J KIM),정현숙(H. S. JUNG),권미영(M. Y KWON),박영자(Y J PARK),송운호(W H. SONG)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는 효과적인 통계처리를 위한 요약테이블 생성시스템 STPS(Summary Table Product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 메타데이타를 이용하여 요약테이블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병무행정의 통계요구에 적합하도록 설계하고 구현한다. STPS는 요약 데이타베이스를 관리하여 보다 신속하게 통계요구를 처리하고, 복잡한 통계요구를 화면을 통하여 쉽고 명확하게 질의할 수 있으며, 통계질의를 저장관리함으로써 반복적인 통계처리와 통계질의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