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팀 학습에서의 학습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 지속적인 사용의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한호(Han ho J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otivati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n students’ continuous use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for team based learning. To examine the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for team based learning. And, we proposed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In this study, utilitarian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Also, students’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for their team based learning wa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taking team based learning with social media. 315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Amos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we proposed a ultimate model to predict the students’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for their team based learning. The findings showed that utilitaria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students’ continuous behavior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for their team based learning and yet,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discovered from the social motivation, hedonic motivation, and perceived value. In particular, utilitaria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closely related to the intent to use continuously.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educational use of social media for team based learning in college. 본 연구는 팀 학습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대학생의 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 등이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팀 학습에서 활용되는 소셜미디에 대한 대학생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도출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최적화된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용적 동기,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등 세 가지 동기유형을 외생변인,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변인, 지속적인 사용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팀 학습을 수행하는 대학생 31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팀 학습에서 활용되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사용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실용적 동기와 만족도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지각된 가치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용적 동기와 만족도는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팀 학습을 위한 소셜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대학 강의를 중심으로

        정한호 ( Han Ho Jeo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앱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대학생의 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도 등이 강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강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도출하고 각 변인들(동기, 참여, 지각된 가치, 만족감, 충성도) 간의 관계성에 대한 최적의 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용적 동기,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등 세 가지 동기유형을 외생변인,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변인, 기능적 참여,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 등 세 가지 참여 유형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대학 강의에 대한 충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모바일 메신저 앱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 39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 및 강의 충성도에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 대학 강의에서 활용되는 모바일 메신저 앱에 대한 학생들의 충성도를 예측할 수 있는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최종모형을 통해, 만족도, 실용적 동기, 기능적 참여 등이 강의 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동기, 유희적 동기, 정서적 참여, 공감적 참여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용적 동기와 충성도는 직.간접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대학 강의 수강을 위한 모바일 메신저 앱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otivation, engagement,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n students’ loyalty to use mobile messenger apps for their learning use. To examine the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loyalty to to use mobile messenger apps. And, we proposed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engagement,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is study, utilitarian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were adopted as exogenous variables. Also, functional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and communal engagement were adopted as moderating variables, and students’ loyalty to their online courses wa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taking mobile messenger apps based off-line courses. 398 students(male 187, female 211) participate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Amos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we proposed a ultimate model to predict the students’ loyalty to continue using mobile messenger apps for learning within off-line courses. The findings showed that satisfaction, utilitarian motivation, and functional engagement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students’ loyalty and yet, no significant influence was discovered from the social motivation, hedonic motivation, emotional engagement, or communal engagement. Especially, directly or indirectly, there was high relationship between utilitarian motivation and students’ loyalty. This study produced additional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messenger apps for educational purpose in university courses.

      • KCI등재

        학교 예술강사의 수업실태에 대한 연구

        정한호(Hanho J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敎育問題硏究 Vol.0 No.41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예술교육에 대한 예술강사들의 경험과 느낌을 탐색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예술교육이 활성화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자료는 예술 강사 64명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 강사들은 학교 분위기와 교실 환경 등으로 가르치는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환경의 ‘폐쇄성’과 ‘예술수업에 대한 무관심’은 예술 강사들의 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예술 강사들은 자신의 수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술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학교당국 의 올바른 이해 및 현직교사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현행 예술교육의 긍정적인 면은 극대화시키면서 부정적인 면을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예술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예술 강사들의 수업방법의 신장 방향과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rt lectures‘ teaching experiences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in order to improve the art education in right direction. In this study, data were open questionnaires and in-deep interviews. Open questionnaires were from sixty-four art lecturers and in-deep interviews were from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rt lectures had trouble teaching students in the school climate and classroom environment. In additions, ’closeness‘ of school environment and’indifference to art education in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rt lecturers’ lesson and teaching method. The art lecturers felt that it is difficult to embody their lesson idea. According to the results, we need a sound understanding of school authorities and teachers’ correct 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rt education in the right direction. We found that education officials should design and develop arts the education systems in a way to maximiz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urrent arts education systems and to minimize the negative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for art lecturer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수업의 질, 만족도, 학습동기,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정한호 ( Jeong Han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의 질에 초점을 두고 대학교육에 대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안모형과 대안모형1, 2, 3을 수립하고 대학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 제시할 수 있는 최적의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최적의 모형을 바탕으로 대학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충성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설명하는 최적의 모형을 구안하였다. 둘째, 수업의 질은 대학교육의 충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의 질은 대학교육의 충성도에 간접적으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가 대학교육에 대한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ac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loyalty of college education and to establish an optimum model for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we have developed a proposal model and alternative model 1, 2 and 3, and derived an optimal model that can effectively re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variabl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students’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based on the optimal model.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19 students who were taking courses at four-year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an optimal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Second, we found that quality of instruc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In addition, the quality of instruction has the greatest indirect effect on the loyalty of college education. Third, we found that satisfc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indirectly on loyalty to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both for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the loyalty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에 따른 대학에서의 비대면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 탐색

        정한호 ( Jeong Han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로 인한 원격기반 팀학습에서의 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가 대학생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기반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설정하고 변인 간의 관계성에 관한 최적화된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원격기반 팀학습 관련 실용적, 사회적, 유희적 동기를 외생변인, 원격기반 팀학습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0학년도 1, 2학기 연속으로 100% 원격기반 팀학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연구대상 21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가치가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희적 동기가 팀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두 번째로 큰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적 동기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를 매개로 팀학습의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원격상황에서의 팀학습의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motivati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distance-based team learning COVID-19. To this end, the study derived variables that had influenced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in distance-based team learning and formed an optimized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in this study, the utilitarian, social, and hedonic motives related to distance-based team learning were set as exogenous variables, and the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of distance-based team learning were set as mediators. Furthermore, the study structurally explored the influ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Due to the COVID-19 outbreak, the selected research participants were predominantly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complete distance-based team learning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Accordingly, first, the study found that perceived value had the greates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eam activities. Second, the study found that hedonic motivation had the second-largest influence, directly or indirectly, on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team activities. Third, the indirect influence of utilitarian motivation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toward distance-based team learning could be structurally grasped through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presented effective plans and implications for online distance team learning performed in a remote situation.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탐색

        정한호 ( Han Ho Jeo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 형성 및 발전 과정의 실테를 탐색하고 교육실습이 올바른 방향으로 활성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생 42명의 일지와 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과 학생들 간의 관계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그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실습생들은 대학과 다른 교육실습하교의 조직문화와 지도교사와의 관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지니고 교육실습에 임하지만 학생들의 경계심이나 무관심으로 당황하게 되거나 예의 없고 버릇없는 행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의 무관심과 예의 없는 태도에도 불구하고 이들과 친해지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으며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고민, 불안, 또는 방황에 대해 이해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학생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학생이 처한 환경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기항력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헌신적인 자세로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교육실습생도 있었다. 이 같은 교육실습생의 노력으로 인해, 학생들도 점차 “마음의 문”을 열게 되었으며 이전과 다른 “인사하기, 먼저 말 걸기, 먹을 것 주기, 장난걸기, 농담하기”등과 같은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교육실습생들은 자신을 “선생님”으로 부르고 따르는 학생들의 모습을 통해 드디어 자신이 “교사가 되었다”라는 “성취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과의 관계를 기반으로 나타나는 교육실습생의 “교사되기”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교육실습생들은 학생들과의 관계를 통해 부여된 “교사라는 지위”에 감격하고 희열을 느끼게 되지만 이것이 도리어 교사라는 업무를 올바로 수행하는데 예상치 못한 한계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탐색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and help activate the pre-service internship in right direc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presenting accurat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teacher and students in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and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practice journals of forty-two student teachers and in-deep interviews with five student teachers.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organizational culture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universiti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In particular,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performed the internship with positive expectations for students, but they were perplexed by wariness and apathy or were suffering from naughty and rude. However, student teachers continued to try to make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 in spite of their wariness and rude, understood a much more appreciation of distress, anxiety, or wandering that they had in schools. In addition, some student teachers recognized problems with student behavior as a matter of “impossibility of the situation” from their environment rather than as their own problems, and then they showed their dedication to the students. As a result of student teachers` efforts, students opened their heart at last, and they showed student teachers their transformation such as “bowing, talking, giving snack, playing around, and joking”. In particular, when student called and followed student teacher as a real teacher, student teacher displayed a sense of accomplishment “became. a teacher”. However, in this study, there was a limit to the “becoming teach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In addition, student teachers were overjoyed at “status of teacher” grant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s, but this worked as an unexpected limitation to perform their duties properly.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지각된 관계성, 온라인자기조절학습, 인지된 학업성취,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정한호(Jeong, Han Ho)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2 Global Creative Leader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수업에서의 지각된 관계성, 온라인자기조절학습, 인지된 학업성취, 만족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으로 과제전략, 자기평가, 학습환경구조화, 시간 관리 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관계성, 온라인자기조절학습, 인지된 학업성취, 만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이루어진 대학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의 온라인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편의표집을 하였으며 총 21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학습자의 인지된 학업성취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둘째, 지각된 관계성이 과제전략, 자기평가, 학습환경구조화 등 온라인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과 인지된 학업성취에 각각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온라인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인 과제전략이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자기조절학습의 또 다른 하위변인인 자기평가가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비대면 수업 관련 교수자, 대학 관계자, 시스템 개발자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elatedness,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perceived learning gains, and satisfac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established task strategy, self-evaluation, learning environment structuring, and time management as sub-variable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lso,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elatedness,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perceived learning gains, and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 variables,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a previous study that structurall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and other variables in a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ed a convenient sampling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a total of 216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rough this study,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students’ perceived learning gains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perceived relatedness exerts a direct influence on perceived learning gains and sub-variables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such as task strategy, self-evalu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structuring. Third, the impact of task strategy, a sub-variable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on satisf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could be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rect influence of self-evaluation, another sub-variable of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on satisfaction. Based o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stakeholders related to non-face-to-face classes, such as professors, university officials, and system developers.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온라인 대체 강의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교수서비스, 비교수서비스, 지각된 교육품질, 만족도, 지속적인 참여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한호(Jeong, Han Ho)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2020학년도 1학기에 수행된 대학에서의 온라인 대체 강의 관련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의도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안하고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와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개설된 온라인 강좌를 통해, 2020학년도 1학기 수업을 이수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A대학에서는 COVID-19로 인한 교육부 지침에 따라, 2020학년도 1학기에 개설된 모든 대면 수업을 100% 비대면으로 전환하여 개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지각된 교육품질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간접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만족도가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두 번째로 높은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강의서비스는 지각된 교육품질과 만족도를 매개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학습도구 편의성, 행정서비스와 같은 비교수적인 측면이 지각된 교육품질과 만족도를 매개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devised a model to explai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in online classes related to online alternative lectures at universities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e also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ir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the 1st semester class in 2020 through an online course established at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due to COVID-19, University A converted all face-to-face classes to 100%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1st semester of 2020. Through this study, we were first able to find out that the perceived education service quality has the greatest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the students’ continuing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Second, we found that satisfaction has the second greatest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continuou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Third,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the lecture service influences the continuing intention of students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through the perceived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Fourth,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non-instructional aspects such as user interface and administrative services influence the continuing intention of students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through perceived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