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변동에 따른 정책변동의 사례분석 : 고용노동부의 일자리창출 정책을 중심으로

        이시원(Lee, See Won),정준금(Jung, Joon Keum)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요한 정책의제가 되고 있는 일자리 창출정책을 사례로 삼아 정권의 변동에 따른 정책의 변동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정부가 집권하였던 2003년부터 2012년의 10년간을 대상으로 일자리 창출의 핵심부서인 고용노동부의 일자리 창출정책의 변동을 분석하였다. 이념이 상이한 정권의 교체로 기존 정책이 중단되거나 대폭 변화했을 것이라는 일반적 인식과는 달리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바뀐 후에도 기존의 일자리 창출 정책이 중단되거나 대폭 수정되는 변화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이유는 첫째, 어느 정부를 막론하고 일자리 창출을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둘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일자리 창출정책이 중요하긴 하나 정권의 특징을 표상하는 ‘브랜드 정책’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전 정부의 정책을 수용하거나 확대하는데 별다른 저항이 없었다는 점이다. 셋째, 일자리 창출정책은 배분정책적인 성격을 띤 것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반대하는 집단의 활동이 별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권의 변동에 따른 정책의 변화가 그리 크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government and Job-creation policy over Rho Moo-hyun government and Lee Myung-bak government. The job creation policy has become major policy agenda regardless of government change because the employment situation has deteriorated drastically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since 1998. However we expected that the contents and the type of policy means are little bit different according to the shift of relatively liberal government to conservative government. During past ten years(from 2003 to 2012), we have experienced the changes in government relatively liberal government(Rho Moo-hyun government) to relatively conservative government(Lee Myung-bak gover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how big difference in job creation policy between two governments. We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Rho Moo-hyun government and Lee Myung-bak government on job creation policy was not severe. It was not the results that we expected to start this study. Then why there were no big difference between change in government and jov creation policy. We could suggest a number of factors that brought about such results. First, in spite of government change the job creation agenda was top priority, but policy alternatives were very limited. Second, since job creation policy wsa not so ideological issues that there was no special against continuing and expanding the prior government’s policies. Last, there were no resistant groups in making and implementing the policie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job creation policies were distributive polic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방농정 거버넌스 구축 요인들 간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문유석(Moon, Yuseok),이시원(Lee, See-won),정준금(Jung, Joon Keum),최상한(Choi, Sangh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4

        그동안 우리나라 농정은 전문가들의 참여가 어느 정도 있긴 하였지만 정부주도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나 근래 들어 우리 농정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실질적 참여가 보장되는 거버넌스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특히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의 농정 거버넌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시ㆍ군 등 기초자치단체는 농정이 이루어지는 최일선으로서 자체농정을 실현할 수 있는 최소단위의 정부이기 때문이다.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농정 관련 이해관계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협력체제의 구축을 통해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의 결정과 집행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 수준의 수평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요인들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보았다. 선행연구의 검토와 농어업회의소 사무국장들과의 면담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농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요인들을 추출하여, 그 요인들을 상위요인과 세부요인으로 나눈 후 지방농정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층화분석(AHP)을 실시하였다. 총 28명의 전문가 조사에서 파악된 지방농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 5개의 상위 요인 중에서는 농민(단체포함)의 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역량 및 태도개선의 중요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지방정부(단체장 및 공무원)의 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역량 및 태도 개선, 이해관계자들간의 상호신뢰 구축, 농정 거버넌스 기구의 정비ㆍ보완, 지방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환경 지지 확보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자치단체에서의 수평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몇 가지 전략적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Governance can be seen as an alternative way of doing public affairs through cooperative work among relevant stake-holders. Like in many other fields, experts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have suggested that governance needs to replace government to secure effectiveness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Being the frontier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with the presence of strong sense of community, local governments are believed to be the right places where governance can be effectively operated among relevant stake-holder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farmers, local assemblies, agencies of central governments, and others. When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is properly operated, both responsiveness and democracy i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can be substantially improved. Governance also can play a role of educational incubator for direct democracy, which will help farmers explore their own future for themselves through enlightenment and training. Because of these features, many advanced countries have replaced traditional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to agricultural governance. But, in Korea, local governance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so that collective wisdom to build governance is needed. Under these context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essential factors of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and evaluate their significance by using the method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28 experts evaluated that, among the five factors, improvement of farmers' capacity and attitude toward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LAA) i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s' capacity and attitude toward LAA. Among the twenty-five sub-factors, the experts evaluated that farmers' sense of participation is the most important one followed by mayor's recognition on the need for LAA, mayor's strong support for LAA, cultivation of leadership of farmers' associations, improvement of representation of farmers' associations, and so 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feasible policy alternatives to build LAA.

      • KCI등재

        정책결정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임도빈(Im Tobin),이시원(Lee See-Won),김준기(Kim Jun-Ki),정준금(Jung Joon-Keum)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3

        본 연구는 주요정책이 의제설정에서부터 행정부내부의 최종 의사결정에 이르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19개 주요정책을 대상으로 소요시간을 측정한 결과 평균 371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정책특성별로는 법제화가 요구되느냐 여부, 예산이 소요되는 정책이냐 여부, 신규사업이냐 여부가 소요시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행정부 내부 의사결정의 각 단계별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 다음, 정책결정 소요시간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판별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책유형별 혹은 부처별정책소요시간에 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정책대응의 소요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처방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ime horizon aspects in the study of public policy. By analyzing 219 major policies that have become law in the past Administration, we found that, on average, it took 371 days for a presidential agenda to finally become a proposed bill. By employ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on policies that went through various stages of internal government process, we found that the requirement for a policy to get enacted as a separate bill, the need to acquire separate budget, and the need for a policy to be introduced as a new project a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the process. We also analyzed ministry-specific and policy-specific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uration of the process and came up with policy recommendations that are likely to help policy makers to more adequately manage the internal policy mak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