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1: 다산(茶山) 연구의 새로운 모색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공문서제도(公文書制度)" 개혁론(改革論)(1): "종횡표(縱橫表)"를 중심으로

        정일균 ( Il Gyun Jeong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4

        본고에서 필자는 茶山丁若鏞의 『茶山詩文集』과 『牧民心書』 및 『經世遺表』에 나타난 ``公文書制度改革論``의 일단, 특히 ① 그가 ``縱橫表``[經緯表]란 새로운 공문서 양식을 고안·사용하게 된 경세학적 문제의식, 그가 제시한바 ``종횡표``의 개념 및 그 특징을 정리하고, ② 이어 그가 직접 작성했던 총 24개에 이르는 종횡표의 구체적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각각의 작성배경 및 그 내용을 차례대로 일별하여 보았다. 한편, 상기한바 정약용의 ``종횡표``론이 함축하는 경세학적 의미에 대하여 간략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그의 ``종횡표``론을 필두로 한 전반적인 공문서제도 개혁론은 기실 그 자체로서 그의 경세학을 구성하는 요체 가운데 하나이자, 동시에 여타 그의 제도개혁론을 매개·뒷받침함으로써 그 필수불가결한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 ② 그의 ``종횡표``론은 효용성의 측면에서 다중적 성격을 함축하는바, 즉 그가 ``종횡표``론을 구상·전개한 것은 일차적으로 ``통치정보의 장악``을 통한 ``행정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모색하려는 경세학적 관심에 주로 기인하고 있지만, 동시에 그는 자신이 고안한 종횡표의 용도를 ``학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창조적으로 확대·적용하는 데 있어서도 남다른 선구적 안목과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는점, ③ 그의 ``종횡표``론은 그 자신의 경세학의 특징과 장점을 잘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는 점, ④ 그의 ``종횡표``론은 조선의 전통적인 개혁관료의 경세학적 문제의식을 의식적으로 계승하고 있다는 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결국, 이러한 맥락에서 정약용의 ``공문서제도 개혁론``, 나아가 그의 ``경세학 일반``이란 기실 조선사회가 나름대로 꾸준히 구현·진전시켜 왔던 ``儒敎的合理主義의 일 결정체``로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a part of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 of Dasan (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form bill of the then official document system, especially focusing on his view of ``cross table``(縱橫表) which are found mainly in his representative masterpieces in the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e., A Collection of Dasan`s Poetry and Prose(『茶山詩文集』), Admonitions on Governing the People Mapped out only in Mind(『牧民心書』), Reform Plans for National Administration and Relief(『經世遺表』) is examined briefly.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Jeong Yak-yong`s reform bill of the then official document system in itself including his opinions on ``cross table`` was not only a cardinal point of his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n general, but it supported and interconnected his other reform bills of the then administrative structure as well. ② At that time, Jeong Yak-yong`s theory of ``cross table`` had multiple purposes, i.e., first of all he wanted to ensure the efficiency and the transparency of the then administrative machinery through it, secondly he wanted to apply it to scholarship and so forth. ③ Jeong Yak-yong`s opinions on ``cross table`` is a leading indicator which show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and the merits of his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④ Jeong Yak-yong`s theory of ``cross table`` upheld the reformative tradition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In this sense, Jeong Yak-yong`s reform bill of the then official document system, furthermore his learning of Confucian statecraft in general could be regarded as the result of ``Confucian rationalism``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late Joseon society.

      • KCI등재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논어(論語)』론 - 『논어사변록(論語思辨錄)』을 중심으로 -

        정일균 ( Jeong Il Gyun ) 한국사상사학회 2018 韓國思想史學 Vol.0 No.60

        이 논문은 『논어사변록(論語思辨錄)』에서 표명된 박세당(朴世堂)의 경학사상(經學思想)을 특히 ‘『논어(論語)』의 주요개념에 대한 독자적 해석’과 ‘『논어사변록』에 나타난 경전해석태도’를 중심으로 일별하였다. 이를 전제로 『논어사변록』에서 박세당이 보여주고 있는 경학사상의 특징을 간략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학문방법론과 관련하여 수사학(洙泗學) 본연의 ‘구체적 실천성’과 ‘능동적 작위성’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그의 입장은 특히 ‘『논어』의 주요개념’, 즉 ‘인(仁)’, ‘경(敬)’, ‘중(中)·용(庸)’, ‘학(學)’ 및 ‘정(政)’ 개념에 대한 독자적 해석에서 공통적으로 관철되고 있는바, 이는 곧 당시 조선 학계가 어느덧 노정하기 시작했던 하나의 경향성, 즉 비근하고 절실한 실천은 외면한 채 멀고 심오한 논리에만 매달리는 ‘엽등(躐等)의 폐단’과 아울러 한편으로 인간의 내면적 수양의 문제에다 일차적으로 초점을 맞춤으로써 은연중 이러한 경향성을 조장했던 정주성리학(程朱性理學)에 대한 비판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②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내용구성과 관련하여 자신의 ‘경전해석태도’를 개진·천명하는 데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곧 ㉠ 그의 경학사상이 정주성리학의 세계관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적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서 ‘대안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단계에까지는 여전히 진전되지 못하고 있었음을 함축하고 있다. ㉡ 그럼에도 그가 자신의 경학세계의 기본방향을 ‘수사학의 지향’으로 정립하는 가운데 일련의 독자적인 경전해석태도를 천명·실천함으로써 당시 조선사회에서 어느덧 교조화의 양상을 보이던 노론(老論)의 주자도통주의(朱子道統主義)에 심대한 균열을 야기했다는 맥락에서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이단적 사상가의 한 명이었음을 증언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③ 박세당은 『논어사변록』에서 자신의 경학적 입장과 관련하여 무조건 주자학을 비판·거부하는 것으로 일관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경학적 입장은 결코 ‘반주자학(反朱子學)’에 있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요(堯)·순(舜) 이래 전수된바 ‘수사(洙泗)의 가르침’, 즉 ‘공맹(孔孟)의 본지’을 추구한다는 나름의 학문적 문제의식을 수미일관 견지함으로써 특히 정주성리학 역시 상대화하는 가운데 이를 독자적 입장에서 취사선택하는 안목과 역량을 보여준 바 있다. 이로써 그는 조선후기 ‘탈주자학적(脫朱子學的) 경학’의 흐름을 선도했던 실로 예외적인 사상적 거장 가운데 한 명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Park Se-dang’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are examined briefly, centering around ‘his original interpretations of the main concep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his hermeneutic attitudes toward Confucian classics’ which are expressed especially in his Noneosabyeonrok(『論語思辨錄』, the Records of Prudent Meditation and Precise Distinction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On the assumption of thi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Park Se-dang’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appearing in his Noneosabyeonrok are as follows: ①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Confucian learning, Park Se-dang emphasized ‘concrete practice’ and ‘positive action’ which were deemed to be inherent in Susa Learning(洙泗學, the Lear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pre-Qin period) consistently. His stand above mentioned is carried out commonly in his independent interpretations of the main concepts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such as ‘In(仁, Ren, humaneness or humanity)’, ‘Gyeong(敬, Jing, reverence)’, ‘Jungyong(中庸, Zhongyong, the mean in common practice)’, ‘Hak(學, Xue, learning)’ and ‘Jeong(政, Zheng, politics)’. And his aforementioned interpretations implied criticisms on the one hand against the tendencies of Confucian learning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toward holding on to esoteric principles whole-heartedly while neglecting familiar and urgent practices, and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 Cheng(程)-Zhu(朱) school which had fostered the above-stated tendencies implicitly through emphasizing the inner cultivation of the mind above all. ② Concerning the contents composition of his Noneosabyeonrok, Park Se-dang layed emphasis on explaining his hermeneutic attitudes toward Confucian classics. This fact does mean not only that his thoughts of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was not yet advanced to the phase of building an alternative world view through the full-scale dismantl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that of the Cheng-Zhu school, but also that in spite of this he was one of rare heretical Confucian thinkers at his time because he gave rise to serious damage to orthodox Neo-Confucianism safeguarded dogmatically by Noron(老論, the Old Doctrine faction) through his emphasis on the spirit of Susa Learning(洙泗學, the Learning of Confucius and Mencius in the pre-Qin period) and his independent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③ In connection with his position to the learning of Confucian classics, Park Se-dang didn’t criticize and reject that of the Cheng-Zhu school unconditionally and mechanically in his Noneosabyeonrok. In this sense, he wasn’t an all-out antagonist to the Cheng-Zhu school nor a Confucian scholar insisting upon ‘Anti Neo-Confucianism’ at all. He rather was one of initiative and great Confucian thinkers who had led the way to ‘Post Neo-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유학사’와 조선유학의 식민주의적 변용

        정일균 ( Jeong Il-gyun ) 퇴계학연구원 2018 退溪學報 Vol.143 No.-

        본 논문에서는 가다머Gadamer 류의 해석학적 입장, 즉 ‘朝鮮儒學史’란 일반적으로 ‘朝鮮儒學’이란 ‘텍스트의 지평’과 ‘연구자[讀者]의 지평’이 변증법적으로 상호 융합하는 과정의 산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기본관점을 전제로, ① ‘텍스트의 지평’으로서 ‘四七論爭’, 즉 16세기 朝鮮에서 性理學이 본격적으로 정착하면서 조선 유학자 사이에서 이에 대한 수준 높은 철학적 탐구가 이루어졌던 바, 바로 이를 배경으로 탄생했던 ‘사칠논쟁’의 전개과정과 그 내용 및 사상사적 의의를 간략히 일별하고, ② ‘연구자의 지평’으로서는 20세기 초 ‘日帝의 官學者들의 학문외적 문제의식’, 특히 다카하시 도루[高橋亨]가 ‘한국에 대한 일제의 식민지배의 정당화’라는 보다 심층적인 ‘기만의 컨텍스트’를 강화·관철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조선유학에 적극 주조·투사했던 그의 인식틀을 「朝鮮儒學大觀」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③ 상기의 ‘두 지평이 상호 융합하는 과정의 산물’로서, 상기의 다카하시 도루가 이른바 ‘主理派’와 ‘主氣派’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근대학문의 외피를 띤 植民主義的 ‘朝鮮儒學史’를 재구성해 나간 과정을 그의 「李朝儒學史에 있어서 主理派ㆍ主氣派의 發達」이라는 글을 통해 비판적으로 추적ㆍ검토하고 있으며, ④ 이를 바탕으로 ‘朝鮮儒學史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필자의 당위론적 전망을 시론적이나마 결론으로서 간략히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본고는 특히 다카하시 도루의 상기의 논문을 통해 주조해 낸 ‘主理派’와 ‘主氣派’라는 개념은 한편으로 ‘朝鮮儒學’이라는 ‘현실’ 내지 ‘텍스트’의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정주성리학의 논리체계’의 측면 그 어디에서도 설득력 있는 근거를 찾기 어려운 것으로서, 이러한 두 범주 및 그 이분법은 적어도 朝鮮儒學史에 대한 ‘설명’ 개념으로서는 기실 아무런 의미도 없는 虛像에 불과할 뿐임을 논증하였다. In this paper, I take a general view of Gadamerian philosophical hermeneutics about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朝鮮] dynasty, that is, basically I am on the assumption that ‘a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recognized as a product of the process of dialectical fus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s ‘textual horizon’ and ‘researcher[reader]’s horizon’. Assuming the viewpoint above mentioned, ① I briefly glance at ‘Four-Seven Controversy[四七論爭]’ as ‘textual horizon’ which had appeared with the full-scale settlement and the high-level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f Neo-Confucianism in 16th century Joseon as its setting and explain its developmental process, contents and academic importance in Confucian thought history. ② As a ‘researcher’s horizon’, I examine critically the government-patronized scholars’ non-academic aims of imperialist Japan in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that of Dakahasi Doru[高橋亨] who ha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duction of modern colonialist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by imperialist Japan for the purpose of justifying the colonial domination of Korea through his thesis, namely 「a general view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③ As a product of the process of dialectical fusion of ‘textual horizon’ and ‘researcher[reader]’s horizon’, I pursue and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above-named Dakahasi Doru had reconstructed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direction of colonialism through the concepts of so-called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I[理]’ and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Ki[氣]’ in his thesis, namely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I and that of the primacy of Ki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④ Assuming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s, as a conclusion I suggest ‘an alternative research direction of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tentatively.

      • KCI등재
      • 1950/60년대 ‘근대화’와 다산 호출

        정일균(Jeong, Il-gy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본고에서는 1950/60년대 및 그 이후 남 ? 북한에서 각각 출현했던 ‘두 개의 다산 호출’의 구체적 내용과 특징을, 특히 당시 ‘실학 담론의 지형’과 ‘다산 연구의 동향’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다산 호출’은 당시의 분단상황 하에서 남 ? 북한이 각자 지향했던바 ‘두 개의 근대화 기획’, 즉 ‘자본주의적 근대화 기획’과 ‘사회주의적 근대화 기획’이라는 시대적 과제와 조응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다산 호출’은 해방 이후, 보다 소급해서는 1930년대의 ‘조선학 운동’ 이래 조선후기 사회변동 및 사상사 연구에 있어 실로 중요하고도 다대한 성과로 구체화되었다. 그럼에도 동시에 남 ? 북한의 ‘다산 호출’은 공히 각 체제에 봉사하는 ‘관학적 성격’을 다분히 내포하는 가운데, 일련의 문제점 또한 공통적으로 노정하였던바, 즉 ① ‘서구 중심주의’, ② 실학에 대한 ‘본질론’의 관점이 가진 약점, ③ 실학의 구성적 타자로서 조선주자학을 지목하는 인식틀이 내포한 난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끝으로 이를 토대로 ‘21세기의 다산 호출’, 즉 차후의 다산학 및 나아가 실학연구의 발전과 심화를 위해 요청되는 과제를 연구방법론의 측면에 유의하면서 몇 가지 단상을 제기해보았다. In this paper, I roughly survey the past trends of Practical learning(實學) studies and Tasan(茶山) studies achieved in the 1950"s and the 1960"s of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the features of "th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丁若鏞)" developed i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respectively. The main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Th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developed in south and north Korea at that time may be laid down as a general rule that they were really academic reflections and a sort of justification instrument of "the then two different modernization projects", i.e., the "capitalistic modernization project" of South Korea and the "socialist modernization project" of North Korea. ② On the other hand, each of thes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in south and north Korea had produced a great quantity of and very important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social conditions and changes and the world of thought in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consequently. ③ Nevertheless, these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asan Ch?ng Yag-yong in south and north Korea involved some common theoretical deformities, that is, the shadow of Eurocentrism, the weaknesses of "a essence-centered viewpoint" of Practical learning, and some logical difficulties implied in the standpoint of Neo-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which recognized that as an unpractical learning and so forth.

      • KCI등재

        갑오개혁기 정부의 공문서제도

        정일균 ( Il-gyun Jeong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1

        본고에서 필자는 한 국가의 ‘공문서제도’는 공권력의 창출·조직·행사·집행에서부터 그것의 이전·변경·소멸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매개·구현하는 ‘물적 도구’일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공권력 그 자체’이기도 하다는 기본인식 하에, 특히 ‘갑오개혁기(甲午改革期)’[1894~1895] 조선정부의 새로운 공문서제도의 형성과정 및 그 내용을 ‘근대적 공문서제도의 탄생’이라는 맥락에서 개관해보았다. 이에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① 당시 개화파정권의 근대지향적 내정개혁의 전반적 흐름속에서 조선정부의 새로운 공문서제도의 형성과정을 개관한바, 즉 ㉠ ‘공문서제도의 전반적 변화양상’과 관련해서는 ‘공문서제도의 이원화’, ‘정부 부처별 독립적인공문서 관리제도의 시행’, ‘공문서의 표준화’라는 특징을 중심으로, ㉡ ‘공문서 관리기구의 정비’와 관련해서는 ‘총무국(總務局) 체제에서 관방(官房) 체제로의 이행및 그 정착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하였다. ② 상기한바 공문서제도의 변화양상과 맞물리며 새롭게 등장한 ‘공문서제도의 운영원리’에 대해서는 당시 제정·공포된 다양한 ‘공문서 관련 운영법규’를 소개하는 동시에, 이를 토대로 그 ‘구체적인 운영절차’를 나름대로 재구성해 보았다. 한편, 갑오개혁기에 형성·운영되었던 새로운 공문서제도, 보다 일반적으로 당시의 전반적인 내정개혁의 성과는 나름의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함축하는바, 즉 ① 전통과의 ‘단절’과 ‘연속’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동시에 내포하였던 점, ② ‘개혁적 흐름의 비가역성’이 이후의 시기를 통해서도 기본적으로 관철되었던 점이 바로 그것이다. In this paper, I take a general view of and analyze the formative process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Korean government’s official document system during the Gabo Reformation (甲午改革: The Reformation in 1894) period in the context of the birth of Korean modern official document system,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official document system of a st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struments for mediation, realization and exercise of public power. The main argumen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The then Korean government, having offered itself to its constituency on the platforms of ‘the duality of official document system’, ‘the enforcement of independent official document management system operated by the government agencies concerned’ and ‘the standardization of official document’, forwarded a series of legislative actions in order to actualize those platforms very enthusiastically. ② The then Korean government contrived several legislative ac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the reorganization of some new government agencies which were to manage the then government’s official documents, especially for ‘the system of the secretariat’. ③ Finally, the then Korean government forwarded a series of legislative actions in order to enact and to enforce some new managerial principles of official document system. ④ Finally, the then Korean government’s new official document system and generally speaking, the results of the then overall reform of the Korean administrative structure implied important historical meanings. That is, ⓐ at a glance, they involved some contradictory character, one side of which was ‘the discontinuation of tradition’ and the other side of which was ‘the continuation of tradition’. ⓑ From that time on, the new official document system was actually carried out as a sort of immutable law in spite of the incessant instability of political situations at that time.

      • KCI등재

        정조(正祖)의 『맹자(孟子)』논論(1) -『추서춘기(鄒書春記)』를 중심으로-

        정일균 ( Il Gyun Jeong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본고에서 필자는 正祖의 『鄒書春記』에 나타난 『孟子』觀 및 經學思想의 주요내용을 일별하여 보았다. 여기서 정조는 자타가 공인하는 당대의 ``君師``로서, 자신의 수준 높은 經學的 蘊蓄과 經世學的 經綸을 유감없이 발휘·천명하였던바, 이는 곧 ① 『周禮』로 상징되는 ``일원적 中央集權體制의 확립``과 이를 바탕으로 한 ``王道政治의 구현``이라는 정치적 상상력을 투사시키고 있는 ``帝王學的 『孟子』觀``의 표명, ② ``程朱學에 대한 배타적 崇拜``의 태도와 ``程朱學的 儒敎道統觀의 재확인``을 요체로 하는 ``親程朱學的 經學觀``의 천명, ③ 학문에 있어서의 ``聖人을 목표로 한 立志``와 더불어 ``倫理的 實踐性``을 일차적으로 중요시하는 ``切問近思的 實地工夫``의 강조, ④ 정확한 경전이해와 관련하여 ``經文과 『集註』의 우선시`` 및 이를 통한 ``義理의 추구``를 그 핵심으로 하는 ``獨自的 經傳解釋方法論``의 제시, ⑤ 전통적인 ``儒敎的 王道政治論``을 궁극적 이상이자 현실적 출발점으로 하여 ``人爲的 時務改革``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王道主義的 改革政治論``의 전개, ⑥ 당시 조선왕조의 科擧制度 및 朋黨政治의 餘弊에 대한 문제의식을 골간으로 하는 ``朝鮮의 政治·社會現實에 대한 經學的 批判``의 제기 등으로 구체화된 바 있다. 결국, 이상과 같은 정조의 경학사상의 요체, 특히 그가 만년에 ``君師``로서 꿈꾸었던 진정한 학문으로서의 ``正學``의 본질이란 다름 아닌 ``程朱學의 경학적 기반 위에 구축된 살아있는 民生學``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In this paper, the contents and the character of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in his last years, expressed especially in his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are examined briefly. In this book, he made a display of his profound Confucian scholarship and statecraft in his capacity as a ``king and master``(君師) of the day. The main contents of it are as follows: ① King Jeongjo elucidated his original re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Mencius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centralistic political system and the realization of the rule of right(王道). ② He firmly expressed his dogmatic beliefs in the learning of Cheng Yi and Zhu Xi(程朱學) deliberately and repeatedly through a series of forum of Chogyemunsinjedo(抄啓文臣制度,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of Civil Ministers holding a Junior Position) established as an annex in Gyujanggak(奎章閣, The Royal Academic Institute for the National Compilation). ③ He laid special emphasis on the Confucian learning of earnest ques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to Chogyemunsin(抄啓文臣, The Junior Civil Ministers under the Royal Confucian Reeducation System) and Gaksin(閣臣, The Civil Ministers in Gyujanggak). ④ He presented his unique methodologies of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 classics including the Book of Mencius to them. ⑤ Lastly and on the other side, he not only developed his independent political theories of Confucian kingcraft, in which he upheld traditional Confucian political theory of the rule of right firmly, but also on the basis of them, he groped for the artificial reformation of the then Joseon(朝鮮) administrative systems positively. In conclusion, King Jeongjo`s thoughts of Confucian scholarship and kingcraft mentioned above, especially his concept of a genuine learning seem to be a practical learning of the people`s livelihood, based on that of Cheng Yi and Zhu Xi.

      • KCI등재

        다산정약용(茶山丁若鏞)의 ‘지식(知識)’론(論)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정일균 ( Jeong Il-gyun ) 한국실학학회 2019 한국실학연구 Vol.0 No.37

        본고에서는 丁若鏞이 자신의 저술을 통해 ‘知識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와 관련하여 과연 어떠한 입장을 개진하고 있는지를 추적ㆍ구성해보는 데에 일차적 관심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약용이 개진한바 ‘知識’論의 구체적 내용이 특히 ‘이론적 토대’, ‘특징과 내용’ 및 ‘개혁론적 전개’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차례대로 고찰되고 있다. 우선,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①정약용의 ‘지식’론의 ‘이론적 토대’와 관련해서는 ㉠인식론의 측면에서 ‘道理[Sollen]’와 ‘物理[Sein]’를 준별하는 이른바 ‘認識論的覺醒’의 입장을, ㉡학문론의 측면에서 ‘학문의 구성요소’에 관한 ‘道ㆍ藝’論과 ‘體ㆍ用’論의 입장을 각각 소개하였다. ②그의 ‘지식’론의 ‘특징과 내용’에 있어서는 이상의 논의를 전제로 ㉠전자의 경우에는 ‘인식론’과 ‘역사적 변동 양상’의 측면에서 각각 발견되는 지식의 현저한 특징을, ㉡후자의 경우에는 지식의 범주적 위상, 성격, 구성내용, 효능과 학문분류 및 연구방법론의 측면에서 간취되는 구체적 내용을 차례대로 추출ㆍ정리하였다. ③그의 ‘지식’론의 ‘개혁론적 전개’에 대해서는 ㉠덕성지의 경우에는 ‘知天’과 ‘行事’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견문지의 경우에는 ‘北學論의 전개’와 ‘數理의 중시’라는 입장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문제의식을 각각 정리하였다. 한편, 이상의 논의를 통해 정약용의 ‘지식’론이 함축ㆍ제시하고 있는 사상적 의미를 반추해보면, 대표적으로 ①그의 ‘지식’론은 무엇보다 인식론의 측면에서 ‘당위[Sollen]’와 ‘존재[Sein]’를 준별하는 유교적 합리주의의 일 형태로서 이른바 ‘인식론적 각성’을 명확하게 전제ㆍ표명하고 있다는 점, ②그의 ‘지식’론은 지식을 인식론의 측면에서 ‘도리’와 ‘물리’를 준별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들 지식의 ‘역사적 변동양상’에 대해서도 각각 다르게 이해하였다는 점, ③그의 ‘지식’론은 ‘도리로서의 德性知’와 ‘물리로서의 見聞知’를 막론하고 지식 일반의 본원적 속성으로서 무엇보다 ‘實踐性’, 즉 ‘知行兼進’을 공히 강조하고 있다는 점, ④그의 ‘지식’론은 항상 그리고 일관되게 지식의 ‘법주적 위상’과 ‘구성내용’으로서의 ‘體ㆍ用’, ‘本ㆍ末’, ‘道ㆍ藝’ 및 ‘修己ㆍ治人’ 간의 竝進과 均衡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 ⑤그의 ‘지식’론은 바로 동일한 맥락에서 그 개혁론적 전개에 있어서도 반드시 ‘덕성지’의 측면과 ‘견문지’의 측면을 공히 포괄하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In this paper, Dasan Jeong Yak-yong's answers to a question of "what is knowledge?" are pursued and constituted through his works. In this context, his theory of knowledge is inquired into focusing on its 'theoretical foundations', its 'characters and contents' and its 'reform-oriented developmental aspects'. To begin with,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① Concern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of Jeong Yak-yong's theory of knowledge, his epistemological stand that made a sharp distiction between moral laws[道理, Sollen] and natural laws[物理, Sein] and his theory of learning that emphasized virtue(道) and craft(藝) or principle(體) and application(用) simultaneously as indispensable constituent elements are introduced by turns. ② In relation to 'the characters and contents' of Jeong Yak-yong's theory of knowledge, its remarkable characters that are found in his epistemology, his view of historical change of knowledge and its concrete contents that are perceived in his arguments for the categorical position, the character, the constituent substance, the benefits, the classification and the research methodology of knowledge are extracted and arranged in order. ③ In connection with 'the reform-oriented developmental aspects' of Jeong Yak-yong's theory of knowledge, its contents and his critical mind expressed in it are examined respectively laying stress on his concepts of 'knowing Lord on High(知天)' and 'practice(行事)' in case of moral knowledge on the one hand and his arguments for 'the necessity of Learning-China theory(北學論)' and 'the importance of mathematical principle(數理)' in case of natur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Assuming aforementioned discussions, to ruminate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that Jeong Yak-yong's theory of knowledge had implied and had suggested, it runs as follows : ① His theory of knowledge, above all, premised and manifested definitely so-called 'epistemological awakening' that drew a sharp line between moral laws and natural laws as a form of Confucian rationalism. ② In the same context, his theory of knowledge distinguished moral laws from natural laws in their patterns of historical change. ③ His theory of knowledge emphasized 'practicability(實踐性)', that is, 'the simultaneous pursuit of knowledge and practice(知行兼進)' as an intrinsic attribute of knowledge in general regardless of moral knowledge(德性知) and experienced knowledge(見聞知). ④ His theory of knowledge always and consistently stressed on the parallelism and the harmony between virtue and craft, principle and application and moral culture(修己) and government(治人) that was the very categorical position and the very constituent substance of knowledge. ⑤ In the same sense, his theory of knowledge included both sides of moral knowledge and experienced knowledge together in its reform-oriented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