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5요인 성격간의 관계

        정은균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the Big-Five personality of high school students. Parenting attitudes were measured as warmth, rejection, overprotection, and favoritism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Big-Five personality was assessed as neuroticism, extroversion, openness to knowledg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Four-hundred twenty-two 10th-grade students (male 205, female 217) attending either general or vocational high schools in Jeollanam-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Egna Minnen Betraffande Uppostrain and the Big-Five Personality Inven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ther's and mother's warmth rearing styl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rejection, overprotection, favoritism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 awareness and interpersonal ability. Above all, father's and mother's overprotection did harmful effects on agreeableness of boy students. Third, father's and mother's warmth had positive influence on openness to experience which was related with creativity, aesthetic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ut, girl students had been more influenced by mother's warmth. Fourth, father's and mother's warmth and favoritism were good for overcoming depression which was related with neuroticism both boy and girl students. Fifth, mother's favoritism which is related with openness to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achievement striving, challenge and fever to girl students but, if it were not controled properly, it would be led into excitement seeking. Final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부와 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5요인 인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부와 모의 양육태도는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온정, 거부, 과잉보호, 편애로, 청소년 자녀의 5요인 인성은 신경증, 외향성, 지적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등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남지역에 위치한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1학년 학생 422명(남학생 205명, 여학생 21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각의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온정적인 양육태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청소년 자녀의 신경증, 외향성, 지적개방성, 친화성 등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거부, 과잉보호, 편애의 양육태도는 청소년들의 자기지각 및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와 모의 과잉보호는 남자 청소년들의 친화성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창의성, 심미성, 문제해결능력, 도전정신 등과 관련이 있는 지적개방성은 부와 모의 온정적인 양육태도에 영향을 크게 받지만, 여자 청소년들은 모의 온정적인 태도에 의하여 좌우되었다. 넷째, 신경증과 관련이 있는 불안, 분노, 우울을 극복하는데 부와 모의 온정과 편애의 양육태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매우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지적개방성과 관련이 있는 모의 편애는 여자 청소년들의 모험성, 도전정신, 열정 등에 긍정적이지만, 적절한 통제가 전제 되지 않으면 자극추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 이해와 부모-자녀 관계의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과 가족치료 및 학생상담 등에 부여하는 실제적 시사점과 이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高麗時代 釋讀口訣의 ‘-刂罒’에 대한 文法的 考察

        정은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4

        This paper is to show the usage an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 of ‘-刂罒(ira)’ related form like as ‘noun+-刂罒’, ‘gerundial ending+-刂罒’, ‘infinitive+-刂罒’, assuming the ‘-刂罒’ of Seokdokgugyeol in the Goryeo period is originally related to the connective ending ‘-(a)’. In this ‘-刂罒’ construction, a preceding clause shows the construction form that ‘-刂罒’ unites with a abnormal ‘NP₁ NP₂(NP₁ is NP₂)’ structure. We reasoned on the matters of whether the subject of a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 is the same or not, the dependency of meaning, and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ormation to a cleft sentenc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刂罒’ is a connective form that connects a preceding clause with a following clause in causal. In that sense, we must regard the sentence termination form ‘-이라(ira)’ in the 15th century Korean as the form that appeared through another back- grounding and process different from the sentence connective form ‘-刂罒’. 高麗時代 釋讀口訣의 ‘-刂罒’가 기원적으로 連結語尾 ‘-’와 관련되는 것임을 전제로, ‘-刂罒’ 관련 형식을 ‘名詞+-刂罒’, ‘動名詞形語尾+-刂罒’, ‘否定詞+-刂罒’ 등의 구성 방식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체적인 쓰임새와 文法的인 特徵을 살펴보았다. 釋讀口訣의 ‘-刂罒’ 구문에서 先行節은 表面的인 構成 形式의 관점에서 볼 때 奇形的인 ‘NP₁ NP₂’ 구조에 ‘-刂罒’가 결합되는 구성 방식을 보인다. ‘-刂罒’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先·後行節의 主語 同一性 여부나 意味 從屬性의 문제, 分裂文으로의 變形 가능성 등을 확인해 보았다. ‘-刂罒’는 先·後行節을 因果的으로 접속하는 連結 形式으로서, ‘-刂罒’로 휘갑되는 先行節이 後行節에 대해 理由나 原因 등의 의미를 이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世紀 國語의 文章 終結形 ‘-이라’는 ‘-刂罒’와는 다른 배경과 경로를 통해 출현한 형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들러 이론에 근거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정은균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Adlerian Career Counseling Program. Research questions was stated as follows: Is the Adlerian Career Counseling Program effective in enhancing career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ident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10 tenth-grade male students attending a college-preparatory high school located in Suncheon City were recrui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groups: the Adlerian Career Counseling Program (n=28), the general career counseling program (n=28), a career lecture (n=27), and no-treatment control (n=27). To test the effects of the Adlerian Career Counseling Program, pre-tests, immediate post-tests, and three month-delayed post-tests were administer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the career self-efficacy scale, the career decision-making scale, the career identity scale,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repeated-measures analyses of varianc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students receiving general career counseling program, career lecture or no-treatment control, those receiving the Adlerian Counseling Program were higher in career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identit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ree career attitude maturity factors (i.e., determination, confidence, preparedness), students in the Adlerian Career Counseling Program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general career counseling program or in the career lecture. In contrast, both immediate post-test scores and delayed post-test scores in the other two career attitude maturity factors (i.e., purposefulness, independence) were higher among students receiving the Adlerian Career Counseling Program than students in the general career counseling program or in career the l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be necessary to examine the family constellation, early recollections, inferiority and superiority through Adlerian career counseling whereby reducing dyfunctional career-related thoughts based on distorted, mistaken beliefs and eventually enhancing career self-efficacy beliefs an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life goals and meanings, social interest, early recollections, family constellation, and life style may lead to both healthy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egration with parents and formation of career identity. Such improved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eventually help individuals clarify career preferences and make specific career choices. Despite such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results,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be generalized to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mall cities or rural areas. 본 연구에서는 아들러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주의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새로운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진로정체감, 진로태도성숙에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회기는 총 12회기로 구성하였고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 Ⅰ은 아들러 진로상담 프로그램, 실험집단 Ⅱ는 일반진로상담 프로그램, 실험집단 Ⅲ은 진로강의를 각각 실시하였다.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에 앞서 사전 검사를 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실시한 다음 직후검사를 하였고 3개월 후에 지연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심리학 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이 통제집단, 일반진로상담 프로그램 집단, 진로강의 집단 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진로정체감, 진로태도 성숙 등의 영역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大統領 就任辭의 聽衆 呼稱 表現

        정은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8 No.2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style of a presidential inaugural centering on the expression of an addressing. Meanwhile, it was understood that the addressing in a presidential inaugural takes charge of the discourse function as telling the start of a discourse or creating the rapport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audience. By the way, these expressions take charge of the textual functions in the presidential inaugural as distinguishing between the macrostructures and the micro- structures, and these are expressed as the various form following the level of a macrostructure or the context of a text, and distinguish between the context of a text. For example, in case of the simple ‘gukmin yeoreobun(국민 여러분)’ type and the ‘gukmin yeoreobun’ type which is accompanied by a modification constituent are used intersectly each other, the former draws a subordinate macrostructure and the latter draws a superordinate macrostructure. In those points, these expressions are analyzed as the form which takes charge of a discourse marker. An addressing is used for the means of a visual convenience, and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way of sectioning the paragraphs. In relation, it seems that the function of sectioning the paragraphs of an addressing explicitly acts on the recent two inaugurals. 本考는 大統領 就任辭에 쓰이는 聽衆 呼稱 表現의 유형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그 의미와 기능을 살펴본 것이다. 그 동안 대통령 취임사의 聽衆 呼稱 表現은 단순히 談話의 시작을 알리거나 聽衆과의 親和 關係를 造成하는 등의 談話的 機能을 擔當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이 표현은 취임사의 巨視․微視構造를 分揀하는 한편, 意味 層位나 텍스트의 脈絡에 따라 다양한 形態로 실현되면서 텍스트의 內容을 區別해주는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가령 單獨的인 ‘국민 여러분’ 類型과 修飾 成分을 同伴하는 ‘국민 여러분’ 類型이 交叉하면서 쓰이는 경우에 前者와 後者가 각각 下位․上位 巨視構造를 牽引하는 점을 具體的인 例로 들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 表現은 談話 標識的인 쓰임새를 보이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聽衆 指稱 表現은 視覺的인 便利를 위한 장치로 쓰이면서 취임사의 文段 區分 方式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 KCI등재

        텍스트 구성 요소의 유형에 따른 15세기 서사체의 문체 특징

        정은균 한글학회 2009 한글 Vol.- No.286

        This paper aims at considering the stylistic character of narrative text in 15th century followed by the type of constitutional type of a text in terms of textlinguistics. At this time, a narrative terxt shows the tendency that the combination of a sentence structure information is constitu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frame. Those facts which the constitution of the body of description alone or the complex constitution of the body of description+lines +the body of description appears on the introduction or the great converting part, the ending part etc., the complex constitution of the body of description+lines appears on the phase that a story is developed drammatically, the terminating or connecting form of a sentence structure that constitutes these types is used distinctively according to a sentence structure information and the property of a content and relations among episodes, are just concrete items. It seems that the character of a story constitu- tional method had a great effect upon completing the style of text type like as a story of ancient times in after ages. 이 글은 텍스트 구성 요소의 유형에 따른 15세기 서사체의 문체 특징과 효과를 텍스트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시기 서사체는 구문 정보의 결합이 도식적인 틀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지문 단독 구성이나 지문+대사+지문 복합 구성 유형이 이야기 전체나 이야기의 줄거리를 구성하는 각 일화의 도입부나 대전환부, 종결부 등에 출현하는 점, 이야기의 극적 전개 국면에서 지문+대사 복합 구성 유형이 발견되는 점, 이들 유형을 이루는 구문의 연결․종결 형식이 구문 정보나 내용의 속성, 전후 일화 사이의 연관 관계 등에 따라 구별되어 쓰이는 점 등이 그 구체적인 사항들이다. 이와 같은 텍스트 구성 방식의 특징은 후대의 고소설류와 같은 텍스트 유형의 문체 정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