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재 영역 및 보도 형태별 뉴스 심층성 연구

        이건호(Gun Ho Lee),정완규(Wan Kyu J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1 No.-

        본 논문은 6개의 한국 신문과 2개의 미국 신문 1면 기사 비교를 중심으로 양국 뉴스의 심층성을 탐구했다. 연구는 ``투명 취재원,`` ``복합 관점,`` ``4명 이상의 이해 당사자``를 적시성, 공정성과 균형성 등을 아우르는 심층성의 확인 지수로 삼고, 미국 신문을 1면 한정 기사와 간지 포함 1면 기사로 구분해 한국 신문 1면 기사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양국 신문 기사를 전체, 취재 영역별, 보도 형태별로 나눠 뉴스의 깊이를 조사한 결과, 한국 신문 1면 기사는 미국 신문 1면 한정 기사에 비해 전체, 경제 및 국제 취재 영역, 경성 및 기사구조의 혼합 보도 형태에서 3개 심층성 요인 중 투명 취재원을 더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 신문 간지포함 1면 기사는 한국 신문 1면 기사에 비해 연성, 내러티브 기사 구조의 복합 보도 형태를 제외한 모든 취재 영역 및 보도 형태에서 3개 심층성 요인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논문은 한국 기사가 특히 공정성과 균형성 부분에서 미국 기사에 뒤처진다고 지적하는 한편, 연구에 사용된 3가지 지수 이외에 뉴스 심도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이 개발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This study explores the depth of reporting and writing of front page news stories by comparing 6 Korean and 2 American newspapers. By distinguishing the stories in reporting areas and writing styles, the paper analyzes their attribution, fairness and balance with the tool of ``reporting index`` which consists of transparent sources, mixed viewpoints, four-plus stakeholders.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news stories only use more transparent sources in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porting areas and ``hard`` and ``mixture of inverted pyramid modified inverted pyramid narrative`` news writing styles when compared with the limited contents of American news stories appearing on page 1, while full contents of American news stories use all three kinds of factors more than Korean news stories in most reporting areas and writing styles. The paper points out that Korean news stories are inferior to American newspapers specifically in the sense of fairness and balance, and it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new factors of reporting index for further analysis.

      • KCI등재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박승현 ( Seung Hyun Park ),정완규 ( Wan Kyu Jung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8년 사이 3년간 한국 영화시장에서 개봉된 영화의 흥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대상은 전국 관객수를 기준으로 각 년도마다 흥행순위 100위의 영화로 한정하였다. 종속변인은 흥행성과의 기준이 되는 전국 관객수와 서울 관객수이다. 독립변인은 장르, 영화등급, 영화의 국적, 감독 파워, 배우 파워, 속편, 배급사 파워, 개봉 스크린수, 제작비, 개봉시점, 그리고 전문가 평점과 관객의 온라인 평점을 설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서 전국 관객수와 서울 관객수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스크린수, 온라인 평점, 한국 메이저배급사, 여름시즌 개봉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미디 장르는 전국 관객수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온라인 평점과 여름시즌 개봉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흥행성과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력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외국영화와 한국영화의 비교에서는 한국영화가 스크린수, 온라인평점, 장르, 개봉시기, 관람등급 등의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 반면, 외국영화의 경우는 스크린수, 온라인 평점, 한국메이저배급사와 같은 몇 가지 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box office performance for movies released in Korea between 2006 and 2008, focusing on the Top 100 box office movies each year. Two dependent variables are both the number of audiences in the whole country and the number of audiences in Seoul, in order to know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ox office performance from two data. Independent variables are employed with three categories: production factors, distribution factors, and reviews. The number of screens, Korean major distributors, Summer release, and online reviews are commonly related to the total number of audiences both in the whole country and in Seoul. Among the Top 100 box office movies, Korean movies reveal more significantly related factors than foreign movies: Both summer and winter releases are significantly related not to foreign movies but to Korean movies. Drama and action genres also show significant relations only with Korean movies.

      • KCI우수등재

        한국과 미국 신문의 뉴스가치 비교

        심재철(Jae-Chul Shin),정완규(Wan Kyu Jung),김균수(Kyun Soo Kim) 한국언론학회 2003 한국언론학보 Vol.47 No.3

        This study investigates how Korean newspapers cover the educational beat regarding universities, and compares its findings with those of the New York Times, Washington Post, and Los Angeles Times. It examines how Korean newspapers deal with educational issues, especially in terms of positive vs. negative reporting, functional vs. structural vs. philosophical educational reform, and various news values including deviance, objectivity, diversity, and investig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Korean newspapers ways and patterns of covering the university issues and problems, we analyzed 353 news articles randomly chosen from four Korean newspapers, including the Dong-A Ilbo,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Hankyoreh Shinmoon during the two years of 2000 and 2001. We then compared their coverage with 129 news articles randomly chosen from the three American newspapers for the same period. Our results show that Korean newspapers covered the universities much more negatively than the American counterparts did. For example, 65 percent of the Dong-A Ilbos news articles were negative in their coverage but only 25 percent of the New York Times articles were negative. This comparis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Korean newspapers demonstrated somewhat lo~er journalistic standards as compared with American newspapers including the New York Times coverage. Korean newspapers coverage was dull, superficial, one-sided, inaccurate, and less investigative. Nevertheless, results show that the gaps between them were not so wide that they could be bridged. In addition, the Joong-Ang Ilbo, quite differently from the other three Korean newspapers, seems to have caught onto some of the educational coverage styles of the New York Tim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inpoint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spapers coverage of university news and suggest new ways of covering the education beat.

      • KCI우수등재

        한국과 미국 신문의 1면 기사 비교

        이건호(Gunho Lee),정완규(Wan-kyu Jung) 한국언론학회 2008 한국언론학보 Vol.52 No.4

        This study examined the use of sources in the front page articles of six Korean newspapers such as Chosun, Dong-A, Joong-Ang, Hankyoreh, Kyunghyang, Seoul dailies and two American newspapers including the New York Times and the Washington Post. Based on the categories of reporting areas and writing styles, it analyzed the frequency of source appearance in the artic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erican newspapers use more sources in ‘politics’ and ‘economics’ reporting areas and ‘straight,’ ‘hard’ and ‘mixture of inverted pyramidㆍmodified inverted pyramidㆍnarrative’ news writing styles. It concluded that the results indicated the American newspapers were more apt to follow the norms of journalistic reporting and writing. The study, however, also suggeste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 of the news systems among various nations should be accounted in order to better analyze and understand the news contents of those individual countries.

      • KCI등재

        한국영화의 흥행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9~2010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박승현 ( Seung Hyun Park ),송현주 ( Hyun Ju Song ),정완규 ( Wan Kyu J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그동안 국내 연구들이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중 하나인 제작비 요인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 주목하여, 2009년과 2010년에 개봉된 한국 영화 대다수의 제작비 자료를 수집하여,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흥행 결정 모형을 구성하여 검증했다. 또한 제작비 규모를 세분화하여 흥행 결정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이 제작비 규모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개봉스크린 규모, 제작비, 전문가 평가와 온라인 평가가 영화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할리우드영화를 분석대상으로 한 미국의 선행 연구들의 분석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지만, 그동안 진행된 국내 연구들과는 사뭇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국내 연구들에비해 이 연구에서는 제작비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제작비 규모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제작비 규모에 따라 흥행 결정 요인은 달라졌는데, 제작비 규모가 커질수록 제작비나 개봉스크린 규모, 전문가 평가 등 기존 연구들이 반복적으로 검증해 온 흥행 결정 요인들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분명하게 드러났다. 반면 제작비 규모가 작을 경우, 분석 모형의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모형에 포함된 예측 변인들의 영향력도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영화 흥행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이 한국의 영화산업 전반에 대해 지니는 함의와 기존 연구 및 이 연구의 연구 모형이 갖는 한계, 흥행성과 연구의 이론적·방법론적 진전을 위해 후속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 등을 논의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affect Korean movies` box office revenues, focusing on the role of production budget. Using a sample of 202 Korean movies released in two years between 2009 and 2010, the study discovers that production budget is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domestic market. This finding, however, does not follow the results that previous studies have found. According to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sampling Korean movies released since the year of 2001, especially, production budge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x office performance. Dividing three groups (high, medium, and low) according to the scale of production budget,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Korean movies, in order to recogniz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ox office results between these three budget groups. This also reveals that box office revenue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budget groups. It offers insight into how film studio can strategically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production budget and box offic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