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u 입자분산 Al<sub>2</sub>O<sub>3</sub> 나노복합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소결온도의 영향

        정영근,오승탁,좌용호,Jeong, Young-Keun,Oh, Sung-Tag,Choa, Yong-Ho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3 No.5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ot-pressed $Al_2O_3/Cu$ composites with a different sintering temperature have been studied. The size of matrix grain and Cu dispersion in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e in sintering temperature. Fracture toughness of the composite sintered at high temperature exhibited an enhanced value. The toughness increase was explained by the thermal residual stress, crack bridging and crack branching by the formation of microcrack. The nanocomposite, hot-pressed at $1450^{\circ}C$, showed the maximum fracture strength of 707 MPa. The strengthening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refinement of matrix grains and the increased toughnes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비교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양국의 핵심역량 정책 도입 과정과 국가 교육과정 구성 측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일본이 한국보다 교과 교육과정 구성에 더 많은 변화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핵심역량으로서 ‘자질·능력’을 지식·기능, 사고력·판단력·표현력, 태도의 세 가지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이 틀에 따라 교과 내용을 재구조화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이러한 구분과 재구조화는 역량 교육과정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나게 한다는 점에서 향후 한국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일본의 일반·범용적 역량이 모든 교과에 걸쳐 강조 또는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경우도 범교과 역량을 기반으로 총론의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도모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by comparing core competency curricula in Korea and Japan. In Korea and Japan, policy studies on key competencies were conducted research institutes and reflected in their policies and national curriculum. The two countries maintained the entire curriculum framework. However, while Korea is presenting subject competency and skills, Japan has different goals and contents depending on its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In this regard, Japan has made more changes than Korea within the curriculum framework. Restructuring the subject contents according to their qualifications and abilities, such as Japan, needs to be reviewed. However, like Japan s general competency, Korea also needs to explore its cross-curricular competency.

      • KCI등재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연구.개발.보급(RDD) 체제에 관한 고찰

        정영근(Yong-keun Jeong),민용성(Yong-seong Min),이병천(Byeong-cheon Lee),권점례(Jeom-rae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고는 향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연구⋅개발 보급(RDD) 체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연구⋅개발⋅보급 모형의 사적 배경과 우리나라 실제 탐색, 주요국(핀란드, 영국, 호주) 사례 비교⋅분석, 교사와 교육청 교육전문직 1,603명 대상의 설문조사, 교육 관계자 9명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분석하였다. 결과 우리나라는 교육과정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와 교육과정 RDD 체제의 선형적 과정을 형성하고 있어 향후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변화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과정 하에 분산적 거버넌스를 형성한 주요국의 경우 모두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과 교육과정 RDD의 선형적 과정에서 벗어나 보다 역동적인 체제를 갖추고 있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에서 교육과정 연구⋅개발 과정에 교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층위의 참여 필요성에 대한 강한 인식이 나타나 연구⋅개발진의 단일 체제에 대한 변화 요구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전달 연수 및 교과서 의존, 연차 적용 등에서 보이는 문제점은 교육과정의 확정⋅고시 이후 착수되는 보급⋅적용 방식에서 비롯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변화 요구도 높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에 대응한 RDD 체제로의 변화를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향후 검토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대응과 관련하여, 첫째 전문가 위주의 연구⋅개발진 구도 개선과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층위의 참여 확대가 가능한 복수의 연구⋅개발 조직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개발진’과 ‘교육과정 실행 지원 자료 개발진’, ‘교육과정 검토⋅자문진’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보급⋅적용의 적시성과 교사의 교육과정 소유자의식을 제고하기 위해 종래의 ‘연구⋅개발’과 ‘보급⋅적용’을 일원화하여 교육과정 RDD 절차의 선형적 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 의존적인 교육과정 연차 보급⋅적용과 교육과정의 분산적 거버넌스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development and defusion (RDD)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response to changes in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future. Method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DD model was analyzed and R&D cases in Korea and major countries (Finland, UK, Australia) were compared, and a survey of 1,603 participants with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als from the local offices of education was analyzed. An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with 9 participants, and their perception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since the curriculum R&D system of Korea has been based on a single team and a linear process of curriculum R&D system, changes are required in response to distributed governance in the future. Second, the R&D cases of countries analyzed in this study have formed distributed governance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with a more dynamic system, breaking away from the linear process of multiple organizations of curriculum RDD. Third,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showed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the curriculum R&D process, indicating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a change from the single R&D single team system. Fourth, the problems seen in teacher training program, dependence on textbooks, and sequential application of curriculum by year are largely due to the current R&D system that is initiated after the confirmation and proclamation of the curriculum, so there are also considerable demands for change. Conclusions First,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expert-oriented R&D team should be changed through exploring multiple R&D organizations that can expand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levels, in particular including teachers. In this regard, various team composition for curriculum R&D was proposed in this study. Second, we need to improve the linear process of the curriculum RDD process by unifying the conven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diffusion and appl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timeliness of the curriculum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and teachers curriculum ownership. Third,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 transition to a free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in order to overcoming sequential application by year of the textbook-dependent curriculum and responding to distributed governance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와 관련 규정의 비교 고찰 :

        정영근(Jeong Young Keun),박창언(Park Chang 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외국의 교육과정 개정 기반으로 작용하는 법규 현황과 특징을 탐색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관련 법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국의 법규 현황은 한국의 경우는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일본은 교육기본법, 학교교육법, 학교교육법시행규칙, 영국은 교육법 2002, 캘리포니아 주는 캘리포니아 주 교육법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모든 사항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에 위임하고 있지만, 다른 국가에서 는 교육과정 관련 사항, 예컨대 교육목적을 비롯하여 교육목표, 교과목 및 교과목 시 수, 교과목 내용,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에 관한 지침을 법규로 규정하고 있었다. 각 국의 교육과정 관련 법규 분석에서 볼 때, 교육과정에 대한 권한이 전적으로 교육과 학기술부 장관에 위임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수시 개정 체제에 따라 최근 단위 학교의 혼란과 학교 교육과정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의 일부를 법규로 규정하는 방안을 논의할 시점이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육과 정의 법적 지위를 명료화하고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을 높이면서 단위 학교 의 보다 안정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curriculum between in Korea and in some other countries, and draw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our law system from that.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many different kinds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urriculum such as the 「Basic Law of Educati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Law」, 「Enforcement ordinance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Law」in Korea, 「Law of School Education」, 「Regulation of School Education Law」in Japan, 「Education Act 2002」in the U.K., 「California Education Laws」in the U.S.A. After the careful and considerate analysis, we found out that all the other countries have laws and regulation regarding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al goals, subject matter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etc.), while Korea entrust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full powers over curriculum matters without stipulating them in laws and regulations. This makes Korean curriculum unstable and be changed irregularly, which gives much confusion to school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stipulate all the curriculum matters into laws and regu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학생 선택의 가능과 한계

        정영근(Jeong, YoungKeun),이광우(Lee, KwangWoo),이근호(Lee, Keun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고는 고등학교에 별도로 과정을 제시하지 않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전적으로 학교 자율로 두어져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서 학생의 진로·적성을 고려한 학생의 선택권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선택제 변용을 고찰하고 J고의 동아리활동 운영 사례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학생 선택의 가능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후기 중등교육 단계의 고등학생은 진로 정체성 확립에 고민하는 특성을 지녀 일부 제기되고 있는 학생의 방임적 선택 가능성 및 학습 계통성 문제보다는 학생에게 제공되는 선택 틀과 선택 절차에 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선택 틀과 선택 절차는 학생의 선택 행위를 제한하는 통제 기제로도 작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J고의 동아리활동 운영 사례에서 볼 때 학생은 선택 행위나 활동에 대해 그들의 향후 진로나 진학이라고 하는 기준으로 끊임없이 의미 부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학생 선택의 한계가 아니라 그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것이고, 학생 선택의 한계는 제공되는 선택 틀과 절차에서 비롯되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본고는 선택의 틀과 절차 조정으로 그가 능성을 넓혀 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In Korea, the Revised 2009 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does not prescribe any course and subject as required and gives complete autonomy to each school in organizing its own curriculum. This makes the matter of school and student s choice an important issue in implementing school curriculum. In this context, we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student s choice in high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traced over time the changes regarding student s choice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carried out a case study of how J high school deals with the matter of student s choice in implementing club activities which is one of important areas of high school curriculum. After a careful analysi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e found out the most prominent problem concerning student s choice is not student indifference and inability in choosing his/her own curriculum. Rather, there are still many structural and procedural restricts that hinder student s choice, and thus student cannot freely exercise the rights to choose his/her own curriculum. We conclude that student s choice should be encouraged more and this can be possible when we remove those structural and procedural con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