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협동교전능력의 효과적 운용방안

        정소연(So Yeon Jeong),권용수(Yong Soo Kwon),엄진욱(Jin Wook Eo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7

        This work describes effective operation of CEC(Corperative Engagement Capability) in the future battle space. Future battle space is formed with grids of the various sensors and the shooter. Their missions and functions have been accomplished through network based battle management systems in a single theater. The CEC enables battle group ships and aircraft to share precision composite track data in the real time. Military threats, such as sea skimming cruise missiles or ballistic missiles are getting severe. I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describes the basic concept of the CEC. From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effective operations scheme of cooperative engagement suitable of Korean Navy is presented.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교육 고찰

        정소미(So-Mi Jeong),고아라(Ara Ko),편욱범(Wook Bum Pyun),태정현(Chung Hyun T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시대 임상실습교육 점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정보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소재 E-대학교 의과대학에서 2022년 12월 임상실습 교육 개선을 위하여 임상실습 과별로 진행한 ‘임상실습 선진화 회의’의 회의록과 각 임상 실습과에서 제출한 ‘2023학년도 임상실습 개선 계획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방법을 차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COVID-19 시기, 임상실습 교육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교육의 긍정적 요소와 임상실습 교육의 부정적 요소 2개 영역에서 8개 범주, 1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개선 계획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교육 실시 전 교육 개선 노력과 임상실습 중 교육 운영 개선 노력, 장기적 개선의 3개 영역에서 6개 범주, 23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살펴본 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제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원의 2개 영역에서 6개 범주, 11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COVID-19 시기 이루어진 임상실습 교육을 점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임상실습 교육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임상실습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and gather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the minutes of the ‘Clinical clerkship Advancement Conference’ held in December 2022 and the ‘2023 Clinical clerkship Improvement Plans’ submitted by each clinical clerkship department at E-Medical School in Seoul. The study employed the Focused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when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a total of 8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wo domains: positive factors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negative factors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Second, when examin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domains: efforts for pre-implementation education improvement, efforts for operational improvement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long-term improvement. Third, when exploring the requirements for clinical clerkship in the post-COVID er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wo do-mains: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and necessary support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linical clerkship in the post-COVID er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improvements in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 KCI등재

        재외 한글 교육 기관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및 발전 방안 탐색과 제언: 2009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소라 ( Jeong Sora ),조영희 ( Cho Younghee ),김동일 ( Kim Dongi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재외 한글 교육 기관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 및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이루어진 총 52편의 관련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그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종교단체 운영 한글 교육기관 및 운영주체가 명시되지 않은 한글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특성, 학교운영, 교육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언어 특성,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수법, 교육과정, 교재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문헌연구, 조사연구, 질적연구, 사례연구의 방법이 주제별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각 주제별로 논문들을 심층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Overseas and to establish fundamental data for the research and the policy support for these institu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lected 52 journal articles in Korea published from 2009 to 2018 by applying three inclusion criteria and three exclusion criteria and analyzed them based on a matrix-type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Korean language schools operated by religious groups or schools that do not disclose who is operating were most studied during the last 10 years. In the research topic, research on characteristics, school oper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s have been done variously. Especially, researches on language characteristics,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 teaching method,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conducted most frequently. While literature review, survey, qualitative study, and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for every topic, experimental study method was not used. The studies of characteristics are mainly for the learners and used research study as their study methods. And the studies of the school operation and the education field are mainly for the teachers and the administrators and used qualitative study and the literature review as their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each topic an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future researches and the policy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메탄산화세균의 활성에 미치는 tobermolite, perlite 및 Polyurethane 담체의 영향

        정소연 ( So Yeon Jeong ),윤희영 ( Hee Young Yoon ),김태관 ( Tae Gwan Kim ),조경숙 ( Kyung Suk C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1 No.2

        Tobermolite, perlite 및 polyurethane을 충전재로 이용한바이오필터에 의한 메탄제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충전재가 메탄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습지토양과 매립지토양에서 분리한 혼합 메탄산화세균(consortium A, B, C and D)를 접종원으로 하고, 메탄산화속도와 메탄산화세균 수에 미치는 담체(perlite, tobermolite, polyuretha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erlite를 첨가한 경우 메탄산화속도는 대조군 (담체 미첨가)보다 두 배 이상 증가 하였고, 메탄산화세균 수도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Tobermolite 를 첨가한 경우에는 일반세균 수 대비 메탄산화세균의 비율이 대조군과 다른 담체에 비해 높았다. 이는 tobermolite가 메탄산화세균이 우점할 수 있는 특이적 담체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erlite와 tobermolite는 메탄산화세균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서식지를 제공하며 메탄산화 공정시스템에 적용 시 좋은 담체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ofilters for the removal of methane using tobermolite, perlite and polyurethane as packing materials have been undergoing recent development. The effects of these packing materials on methane oxidation activity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Mixed methanotrophs (consortia A, B, C and D) from wetland and landfill soils were used as the inoculum sources. The influences of packing materials, consisting of tobermolite, perlite, and polyurethane, on the methane oxidation rate and methanotrophic biomass, were estimated. When perlite was added into the methanotrophic cultures, the methane oxidation rate was more than twice that of the control (without packing materials), and the methanotrophic biomass increased more than 10 fold. The ratio of methanotrophic bacteria to total bacteria under with tobermolite packing material was higher than the control and the other packing materials, indicating that tobermolite can serve as a specific packing material where dominance of methanotrophs is desired. Therefore, perlite and tobermolite provide habitats which increase the activity of methanotrophic bacteria, and these packing materials are promising for use in methane oxidation processes.

      • KCI등재후보

        디지털 증거의 역외 압수수색에 대한 법적 고찰

        정소연(Soyeon Jeong)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17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1 No.1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사이버범죄를 비롯한 다양한 범죄가 초국가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디지털 증거에 대한 역외 압수수색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현재 각 국가에서는 실무상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집행하고 있으나 국내법 및 국제법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서 많은 논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외 압수수색의 개념과 유럽평의회 사이버범죄방지협약 관련보고서에서 제시하는 유형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 외의 법제 및 실무사례를 다각적으로 검토한 다음에 국제법상의 관할권 위반 문제와 형사소송절차의 위반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rapid improvement of ICT recently, various kinds of crimes, mainly including cybercrime, occur trans-nationally which leads to the worldwide discussion regarding ‘extra-territorial seizure of digital evidence.’ Due to its necessity in practice extra-territorial seizure has been executed so far. Curr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aw, however, has not been organized regarding the problem yet, and accordingly the practical execution of extra-territorial seizure caused a lot of dispute. With this problem in mind, this study introduces the classified notion of extra-territorial seizure suggested by T-CY(Cybercrime Convention Committee) of COE. And based on the review about the current law and practical execution, I try to offer some suggestions for the problem of the breach of international jurisdiction and violation of domestic criminal procedures.

      • KCI등재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 효과성과 영향 요인

        정소연(Jung So-Yon)ㆍ김은정(Kim Eun-Jeong) 한국가족학회 2009 가족과 문화 Vol.21 No.1

        본 연구는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목적은 노인돌보미바우처서비스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이 서비스가 가족생활 차원에서 갖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며, 세 번째 목적은 그러한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서비스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서비스 관리센터가 2007년 전국의 노인돌보미바우처서비스 이용자 및 가족원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가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이용자들은 ‘신체수발’, ‘식사 및 가사지원’, ‘심리사회 및 이동지원’, ‘보조적 의료지원’ 영역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고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식사 및 가사지원’영역의 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서비스 이용노인의 동거 가족원들은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를 이용한 이후 가족원들의 심리적 불안이 감소하고, 정신건강이 향상되었으며, 신체적 피곤함이 감소되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가족원들의 생활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에 있어서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서비스 이용자와 가족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4가지 서비스 영역(신체수발, 식사 및 가사지원, 보조적 의료지원, 심리사회 및 이동지원)과 서비스 제공자의 윤리적 실천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재가돌봄서비스가 향후 확대될 것을 감안할 때, 바람직한 노인돌봄서비스 정책설계를 위해 서비스 이용 가족원의 복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examine specific services available and utilization rates of them provided under in-hom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Korea(IHSE).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IHSE, focusing on the desirable changes in family life. Third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ervice characteristics that are related to such an effectivenes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dataset of Center for Social Services Management which were collected in 2007 from service users and their family member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ice users and their families utilized various services categorized into four domains: personal care aid; meal preparation and house keeping; psycho-social services; and escorting, and supplementary home health care. Especially, services in the domain of meal preparation and house keeping were in general very popular. Second, the family members reported that the service brought themselves a number of desirable changes including increased individual time, reduced feelings of fatigue, and improved mental health. Finally,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four service domains and ethical practice by service provide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which was measured as the desirable changes in family life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rvice users and their family members.

      • 펜톤산화-열수처리 바이오매스의 리그닌 탄수화물 복합체 구조 분석

        정소연 ( So-yeon Jeong ),이재원 ( Jae-wo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와 낙엽송의 원시료, 펜톤산화 바이오매스, 펜톤산화-열수처리 바이오매스로부터 리그닌 탄수화물 복합체(lignin-carbohydrate complex, LCC)를 분리하여 펜톤산화와 열수처리에 따른 바이오매스의 구조변화가 전처리와 효소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펜톤산화 및 펜톤산화-열수처리 후, 고형 바이오매스 분해율은 두 수종 모두 각각 약 8%와 약 30%를 나타냈다. 백합나무의 고형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헤미셀룰로오스는 펜톤산화-열수처리 후 주로 자일란을 함유한 반면 낙엽송은 갈락탄과 만난, 자일란을 포함하였다. 펜톤산화와 열수처리가 수행됨에 따라 바이오매스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였으며 백합나무와 낙엽송에서 각각 50.71-63.60%, 39.51-53.35%를 나타냈다. 96시간 동안효소가수분해된 백합나무는 펜톤산화와 열수처리 후 93.53%의 셀룰로오스 전환율을 나타낸 반면 낙엽송은 26.23%를 나타냈다. 낙엽송의 LCC는 백합나무의 LCC와 비교하여 높은 농도의 헤미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을 포함하였고, β-β', β-5, benzyl ester 결합이 검출되었다. 특히 낙엽송 전체 LCC의 30%는 LCC2 (glucomannan-lignin)로 구성되었다. 낙엽송의 이러한 LCC 구조적 특성은 바이오매스의 효소가수분해 공정에서 저해인자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거대억새(Miscanthus saccagiflorus Geodee-Uksae 1)로 부터 고수율 셀룰로오스 제조를 위한 탈리그닌 최적화

        정소연(So-Yeon Jeong),황인덕(In-Deok Hwang),이재원(Jae-won Lee)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19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거대억새로부터 고수율 셀루로오스 제조를 위해 시료의 분쇄 사이즈와 반응시간 및 고액비에 따른 탈리그닌화를 수행하였다. 거대억새 탈리그닌화 시, 고액비 증가 및 분쇄 사이즈 감소, 탈리그닌화 반응시간 증가에 따라 리그닌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가장 낮은 리그닌 함량 (8.52%)은 거대억새 3mm 사이즈로 고액비 1:20, 12시간 탈리그닌화 반응조건에서 확인하였다. 결정화도 분석을 통해 탈리그닌 후 고형바이오매스에서 결정화도 증가를 확인하였다.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으로 바이오매스 구성성분의 작용기를 분석한 결과, 탈리그닌화에 의한 셀룰로우스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은 고애비 1:20, 3 mm 거대억세 분쇄 사이즈, 12시간 탈리그닌 반응조건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the delignification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Geodae-Uksae 1 was perform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particle size, reaction time, and solid/liquid ratio to achieve high-yield cellulose production. The efficiency of lignin removal from biomass increased as the increasing of solid/liquid ratio, decreasing of particle size, and increasing of reaction time. The lowest lignign content measured was 8.52% when delignification of biomass was performed with a 3 mm particle size for 12 h with a solid/liquid ration of 1:20. The crystallinity index was increased by delignification, which wa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In the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howed that the spectral peaks corresponding to cellulose and hemicellulose were increased by delignification of bioma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hemical and structural analyses, the optimum conditions for high-yield of cellulose production were a particle size of 3 mm. reaction time of 12 h, and solid/liquid ratio of 1: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