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실재배 오이의 생육단계별 목화진딧물의 주내 분포 특성에 기초한 축차표본조사법

        정부근,송정흡,이흥수,최병렬,Chung, Bu-Keun,Song, Jeong-Heub,Lee, Heung-Su,Choi, Byeong-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This study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monitoring Aphis gossypii in greenhouse cucumber fields that was used during 2013 and 2014. The dispersion pattern of A. gossypii was determined by commonly used methods: Taylor's power law (TPL) and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he sample unit was determin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ean density of sample unit versus whole plant. The optimum sample unit for different plant growth stages was two leaves (median and the lowest + 1 leaf) when the total number of leaves was less than nine, and three leaves (4th, 7th from canopy, and the lowest +1 leaf) when the total number of leaves was greater than nine. A. gossypii showed an aggregated distribution pattern, as the slopes of both TPL and IPR lines were greater than 1. TPL provided a better description of the mean-variance relationship than did IPR. The slopes and intercepts of TPL and IPR from leaf sampl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surveyed years. Fixed precision levels (D) for a sequential sampling plan were developed using Green's and Kuno's equations based on the number of aphid in a leaf sample. Green's method was more efficient than Kuno's to stop sampling. The number of samples needed to estimate the density of A. gossypii increased at higher D levels and lower mean densities. The cumulative number of aphids needed to stop sampling increased at higher D levels and with fewer plants sampled. Thus to estimate 10 aphids per leaf, 13 plants needed to be sampled,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aphids to stop sampling was 131. 온실재배 오이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의 발생밀도를 추정하는 표본조사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개년(2013-2014년) 동안 주 전체의 잎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aylor's power law(TPL)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주 전체 밀도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단위를 일정 잎 위치의 평균밀도와 주 전체의 잎당 평균밀도와의 일반선형 회귀식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적정 표본단위는 오이 생육기에 따라 달랐는데, 총엽수가 9매 미만일 경우 2매(중위엽과 최하위+1번째 엽), 그 이상인 경우에는 3매(위로부터 4번째, 7번째, 최하위+1번째 엽)를 조사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의 공간분포 특성은 TPL과 IPR의 기울기가 모두 "1"보다 커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으며, 진딧물의 평균-분산 관계를 TPL이 IPR보다 더 잘 설명하였다. TPL의 기울기와 절편은 연차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Green과 Kuno의 식을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D) 수준에서의 축차표본조사법을 개발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축차표본조사법은 Green의 방법이 Kuno에 비해 더 효율적이었다. 목화진딧물의 일정 평균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주수는 D값과 잎당 평균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표본조사를 중지할 수 있는 누적 진딧물 수는 D값이 낮을수록, 조사 주수가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목화진딧물 잎당 10마리의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주수는 13주이었으며, 이 때 조사를 중지하기 위한 누적 진딧물수는 131마리이었다.

      • KCI등재

        7-Ethoxy precocene II 항유약호르몬유사물에 대한 몇가지 협력제의 Oncopeltus fasciatus Dallas에 있어서 협력작용

        정부근,William S. BOWERS 한국응용곤충학회 199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5 No.3

        몇가지 협력제의 7-ethoxy precocene II와 협력작용을 통한 활성증가와 작용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mikweed bug, Oncopeltus fasciatus 2령충에 항유약호르몬유사물과 협력제가 처리된 petri dish에 접종하여 생리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7-Ehtoxy precocene II의 반수활성농도는 $1.18\mu$g/$\textrm{cm}^2$이었다. 7-Ethoxy precocene II와 다른 산화저해제인 RO20-9747의 협력비가 14.05로 가장 높았고 그들의 반수활성농도는 $0.084\mu$$g/\textrm{cm}^2$이었다. 7-Ethoxy precocene II와 다른 협력제 1종, 2종, 4종을 조합을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때 뚜렷한 협력작용 증가효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른 협력제들은 곤충의 방어기작을 알라타체를 포함하여 비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RO20-9747은 7-ethoxy precocene II가 알라타체로 이행하는데 까지 곤충의 방어적 산화기작인 monooxygenase 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함으로써 7-ethoxy precocene II가 알라타체로 이행량이 증가하여 활성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second instar milkweed bugs, Oncopeltus fasciatus were exposed to the residue of 6-methoxy-7-ethoxy-2, 2- dimethylchromene(or 7-ethoxy precocene 11, 7-EP-11) with one, two, or four different kinds of synergist(s) deposited as a residue on 9 cm diameter petri dishes. The anti juvenile hormone analog, 7-EP-I1 yielded a 50% effectiveness concentration at 1.18 wg/cmZ. The concentration of 7-EP-I1 and R020-9747 combined gave 0.084 ~*g/cm', as much 14 times more potent than with 7-EP-I1 alone. Most of the other synergists, including geraniol, 4-chalcone oxide, isosafrole, and piperonyl butoxide however, showed comparatively low level synergism with 1.0-4.3 times, depending upon the combinations of the synergist(s). The obtained results were considered that R020-9747, an analog of benzopyran with similar structure to that of 7-EP-I1 inhibited selectively the insect monooxygenase 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body except for corpora allata because general antioxidants of piperonyl butoxide, isosafrole, and 4-phenyl chalcone oxide showed relatively mild synergism.

      • KCI등재

        국내 단감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의 계절적 발생과 화학적 방제

        정부근,이흥수,강동완,권진혁,Chung, Bu-Keun,Lee, Heung-Su,Kang, Dong-Wan,Kwon, Jin-Hyeu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단감원에서 식나무깍지벌레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시기별 발생특성과 우수 방제약제를 선발하였다. 가지에서 월동한 약충이나 암컷 깍지는 9월 중순경에 교미 후, 월동에 들어가며 다음 해 봄철에 기온상승과 더불어 포란과 산란의 과정을 거쳐, 5월 중하순까지 산란을 마친 후 죽었다. 수컷은 대부분 9월 말까지 우화하여 암컷과 교미하고 죽었으나 낙엽에서 월동하는 개체의 경우 모두 사멸하였다. 식나무깍지벌레의 산란 특성은 매년 기상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4월 중순부터 5월 중 하순까지 산란하고, 5월 초 중순에 산란 최성기를 보였다. 산란 량은 160개 정도로 추정되며, 산란 최성기로부터 약 1주일 경과 후 부화 최성기를 보였다. 여름철에는 7월 초 중순에 시작하여 8월 중 하순까지 산란하고, 7월 말과 8월 초에 산란 최성기에 도달하며, 암컷 한 마리당 산란수는 봄철보다도 다소 적은 130개 정도이고, 난 기간은 약 4일로 추정되었다. 가는 가지에서 월동한 성충이 산란한 알로부터 부화한 1세대 약충은 가지와 잎에서 각각 10%, 90% 정도의 비율로 관찰되었다. 가는 가지에서 대부분 암컷 깍지로 발육하고 2009년 7월 27일 2세대 약충 발생 최성기에 도달한 다음 8월 중 하순경부터 월동처로 정하고 살아간다. 암컷과 수컷 깍지는 8월 이전까지 잎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발육하다가, 2009년 8월 12일 이후 잎에서 수컷의 약충 발생 최성기를 시작으로 8월 27일 수컷 깍지벌레 발생 최성기, 9월 14일 전후로 수컷 성충의 발생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발생관계를 관계를 보여주었다. 8월 12일 잎에서 관찰되는 약충 중 75% 정도는 발육하여 수컷으로 우화하여 교미하고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Buprofezine+dinotefurn (20+15) WP로 6월 9일과 16일 2회 방제하고 7주 후에 생사충을 판정한 결과 방제가가 90.6%로 나타났다.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occurrences and effective insecticides for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Pseudaulacaspis cockerelli in sweet persimmon orchards. Most of the nymphs or female scales that mated in mid-September overwintered on twigs, matured to lay eggs in the next spring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increase, and survived till mid to late May to lay all of their eggs. Males mostly died after mating by the end of September, while the males on the fallen leaves died during the hibernating period. Egg laying in P. cockerelli showed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weather conditions in each year. They laid eggs from mid-April to mid- or late May, with a peak in early or mid-May. A female was estimated to lay 160 eggs; eggs hatched a week later from the peak period of egg laying. In summer, egg laying started in early or mid-July and ended in mid- or late August, with a peak in late July or early August; a female laid approximately 130 eggs in summer. The estimated egg period was 4 days. The first generation nymph that hatched from the eggs laid by the overwintered female on twigs showed 10% occurrence on twigs and 90% on leaves. The first generation nymphs on twigs mostly developed into female scales. The occurrence of the second generation nymphs reached a peak on July 27, 2009; they lived on the twigs as their overwintering site from mid- or late August. The female and male scales on leaves developed at the similar rate as the first generation nymphs up to August. The occurrence of male scales indicated that the peak occurrence of nymphs was on August 12, 2009, male scales on August 27, and adults approximately on September 14, which showed steady relationship in the sequence of development from nymphs to adult males. Among the nymphs that occurred on the leaves on August 12, 75% of them emerged into male adults, mated, and died. Buprofezine+dinotefurn (20+15) WP treatment on June 9 and 16 resulted in 90.6% control of P. cockerelli, when mortality was checked 7 weeks after treatment.

      • KCI등재

        오이에서 살충제 계열내 교호처리에 의한 온실가루이 방제 체계

        정부근,손경애 한국응용곤충학회 200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0 No.4

        원예작물 중 온실가루이의 발생이 가장 심한 오이를 대상작물로 선정하여 온실가루이에 대한 기존의 살충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체계를 수립하기 위하여, 중후기에 방제효과와 잔효독성, 엽중 농약 잔류량 조사, 방제횟수 절감, 농약 저항성 발달 및 오이의 수량 등 온실가루이 방제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온실가루이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살충제는 furathiocarb였고 특히 이 약제는 carbofuran으로 더욱 강력한 활성화 과정을 거치면서 온실가루이의 저항성 발달이 비교적 더디게 나타났고 따라서 방제효과가 길고 결과적으로 방제횟수도 줄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는 달리 기존의 다른 약제들에 대해서는 합성피레스로이드계의 약제, deltamethrin, etopenprox, zetacypermethrin 등에 대해서는 저항성 발달이 빨리 나타났고, 일부 유기인계 약제, methidathion, phenthoate, profenofos 등의 경우에는 살포 후 분해가 빨리되어 약효의 상실이 빨라짐으로 인해서 결과적으로 살포회수를 늘여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존 살충제들에 대한 저항성 온실가루이의 발생으로 방제가 곤란한 경우에 acetamiprid가 대체 약제로서 유망하였다. In order to establish a whitefly control system using conventional groups of insecticide(carbamate, organophosphorus and pyrethroid insecticides), three alternative application methods were designed on the medium growth stage of cucumber. To discrimin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sequences observed were the residual activity of insecticides, frequency of insecticide applications, residue of insecticides in cucumber leaves,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whitefly, and yield of fruits. Spraying furathiocarb, a carbamate insecticide, was very effective in reducing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for the control of white flies. The effectiveness of furathiocarb was enhanced by the potentiation process to carbofuran, the long residual activity, and the lower development rate of insecticide resistance. Methion, an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did not show resistance development after successive use but resulted in short residual activity. However, other organophosphates, profenofos and phenthoate, lost their activity by the resistance development. Decreasing activity was common to pyrethroids, deltamethrin and zetacypermethrin due to resistance.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drawn a conclusion that furathiocarb, a carbamate insecticide, was the most desirable among conventional insecticide groups for the management of greenhouse whitefly population on the cucumber. To prevent an outbreak of the insect pest by various cause, it was recommended to choose acetamiprid, a nicotinoid, which showed very good control efficacy to the resistance insects to conventional insecticides.

      • KCI등재

        토마토 온실에서 방충망 설치에 의한 담배가루이 피해 경감

        정부근,이흥수,김영봉,Chung, Bu-Keun,Lee, Heung-Su,Kim, Yeong-B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1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prevent entrance of Bemisia tabaci (Gennadius) with very fine mesh nets. B. tabaci vectors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in tomatoes. B. tabaci could be completely prevented to penetrate into an 83 mesh net, though few of them passed the 60 mesh net. An independent 60 mesh net cage was built within one of the three interconnected common plastic greenhouse ($21.0{\times}18.3m$) in order to find its usefulness as a crop protection tool from insect pests. TYLCV infected tomato plants were not detected, though a few eggs of B. tabaci and mines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were detected locally at the entrance of the sliding door. There were prac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of nets and the conventional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width, number of floret clusters, sugar brix, and product yield. In viewpoints of commercialization, it could be considered highly prospectful to apply to the nets to glasshouses or other greenhouses in which the growing period of crops is long, if the nets were used in the openings of sides, ceilings, and entrances of the greenhouse. However, it might be necessary to take preventive measures for occurrences of insect pests living in soil, temporarily or permanently, as well as high humidity diseases.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토마토황화잎말림병(TYLCV) 예방을 목적으로 해충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충망 설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담배가루이가 60메쉬망을 통과는 할 수 있지만, 83메쉬 이상의 방충망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었다. 담배가루이의 온실 내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3연동 온실($21.0{\times}18.3m$)에 60메쉬 망실, $5.65(W){\times}2.05(H){\times}18.45(L)(m)$을 별도로 설치하였다. 60메쉬 망실 내에서 담배가루이 산란과 아메리카잎굴파리 가해흔적이 출입문 쪽에 국부적으로 몇몇 발견되었으나, 토마토황화잎말림병에 걸린 토마토는 없었다. 토마토의 초장, 엽장, 엽폭, 화방수, 당도 조사결과 망실유무에 따른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량에서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방충망의 설치는 유리온실이나 장기간 사용가능한 비닐온실 등의 측창과 천창 및 출입구에 설치할 경우 유망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몇 가지 살충제의 썩덩나무노린재와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독성

        정부근,임유진,이흥수,박정규,Chung, Bu-Keun,Lim, Eugene,Lee, Heung-Su,Park, Chung 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몇 가지 살충제에 대한 독성을 썩덩나무노린재를 대상으로 단감원에서 잔효독성으로 검증하였고 끈끈이 트랩에 유인된 뚱보기생파리 성충을 대상으로 직접분무처리 방식으로 검증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흑색유아등으로 채집하였고 뚱보기생파리 성충은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methyl-(E,E,Z)-2,4,6-decatrienoate을 사용해서 끈끈이트랩으로 포획하였다. 비펜트린수화제, 뷰프로페진 디노테퓨란수화제, 클로티아니딘액상수화제, 디노테퓨란수화제, 티아메톡삼입상수화제 등 5종의 살충제 중에서 비펜트린수화제가 72시간 케이지 내 잔효독성 검정결과 썩덩나무노린재에 대해 93.1%의 사충율을 나타내었고 여타 살충제들은 다양한 사충율을 보였다. 뚱보기생파리에 대한 사충율은 55.3~74.3%이었다. Toxicity of several insecticides was tested against the brown marmorated stink bug, Halyomorpha halys (Hemiptera: Pentatomidae), and adult Gymnosoma rotundatum (Diptera: Tachinidae) in a sweet persimmon orchard. H. halys was captured using black light traps and G. rotundatum adults were collected using sticky traps lured with an aggregation pheromone, methyl-(E,E,Z)-2,4,6-decatrienoate of Plautia stali. Five insecticides, namely, bifenthrin 2 WP, buprofenzine+dinotefuran (20+15) WP, clothianidin 8 SC, dinotefuran 10 WP, and thiamethoxam 10 WP, were moderately toxic to G. rotundatum, resulting in 55.3% to 74.3% mortality. Bifenthrin 2 WP caused 93.1% mortality at 72 h within cages as a residual toxicity, and others caused varied mort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