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rtie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재조명 : 학교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정바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Lortie(1975)의 기념비적인 저작인 ‘교직사회’를 변화의 관점에서 재음미해 보려는 탐색적 시도이다. 본 연구는 Lortie가 ‘교직사회’에서 시사한 변화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통해 그 변화 실행 이론을 심화, 발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질적 사례연구 기법을 통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약 10여년에 걸쳐 자생적으로 학교 변화를 이룬 한 초등학교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주의, 보수주의, 그리고 현재주의의 극복을 통해 학교 변화와 학교 개선이 가능하다는 Lortie의 변화 가설을 지지해주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기술-기능주의적 관점에 기반한 학교 변화 접근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간 간과되어 온 정치적, 사회적 측면에도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재문화화를 학교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 그 변화 실행 전략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This study revisits Lortie's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in terms of a school change case.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examine the change thesis Lortie indicates in his classic School teacher and contribute to much needed theory building around school change under his legacy. The data came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tracing of a school change over a decade since 2001. In consistent with the change thesis Lortie (1975) implies, the results show that school can become transformed by breaking the unholy trinity of presentism, individualism, and conservatism (See also, Hargreaves, 2010; Hargreaves & Shirley, 2009b).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by overcoming the technically-driven interpretation of conservatism and incorporating the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embedded in it more democratic and sustainable forms of school change can be more likely attained.

      • 서울형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정바울,문영빛,김용우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Vol.2019 No.12

        최근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높다. 2012년부터 시작된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정책은 교육이 학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지역사회 및 다양한 네트워크의 교육적 지원을 통해 보다 의미 있는 교육실천을 모색하려는 접근이다. 이에 서울형 혁신교육지구 사업은 지역 주민, 기초지방자치단체, 그리고 교육청 사이에 민관학 거버넌스가 구축되어 다각도로 추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서울의 경우 학교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의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자치구 별로 편차가 큰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 관련 선행연구들은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지역사회 기반 협력적인 민관학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교육 주체인 교사들이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조직화 운동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연구와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 기법을 통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명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역설적이게도 학교 업무에 추가되는 것으로 부담을 느끼며 기피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교사들이 지역사회조직화 운동의 주체로서 참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관료제적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주체적이기 보다는 회의와 반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혁신교육지구정책이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천적,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앤디 하그리브스의 학문 조명 : ‘가장된 동료성’과 그 변주를 중심으로

        정바울 한국교육행정학회 2012 敎育行政學硏究 Vol.30 No.1

        본 해석적 논평은 앤디 하그리브스의 학문을 그의 학문적 배경과 궤적을 따라 조명해 보았다. 특히 그의 사상이 응축되어 녹아있는 ‘가장된 협력성’이라는 일관된 주제가 책무성과 표준화 개혁의 시대를 조우하게 되면서 다양한 개념들로 변주되어 가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이 글을 통해 앤디 하그리브스의 학문적 공헌에 대한 분석과 함께 그의 학자로서의 삶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그의 학문과 삶에 대한 보다 유기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interpretative essay, I outline Andy Hargreaves' scholarship by drawing on his research and writings to consider how the scholarly work of Andy Hargreaves significantly evolved over time and constantly extended the borders and the horizons of our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change. This article also revisits his concept of contrived collegiality and traces its varied incarnations under current standardized reform to raise critical issues for educators and researchers. This article concludes by reflecting on the human side of Andy Hargreaves to gain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his scholarship.

      • KCI등재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정바울 한국교육정치학회 2016 敎育政治學硏究 Vol.23 No.2

        This study examines the sustainabil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Although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fostering and developing PLCs as a means to counter top-down reform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he issue of the sustainabil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still in its infancy within the literature of PLC. This study addresses the issue of sustainability of PLC by asking: How does a school become a sustainabl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ver time, and what kind of challenges and dilemmas have been involved in the process of sustaining PLC over time. Data derived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n elementary school in which the PLC has been sustained more than a decade in the context of the centralized and bureaucratic public school system in South Korea. Finding reveals that in its journey towards sustain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ver a decade, the caring community and change driven PLC which the elementary school consciously established itself from the beginning was inadvertently followed by a more pedagogically-driven PLC model in a somewhat serendipitous and dialectical manner in the face of the emerging conflicts among communities members over the competing goals between school restructuring and instructional/curricular improvement. This finding identifies potential conflicts and tensions involved in navigating and reconciling its aspiring extended community-based and school change driven PLC approach with the emerging pedagogical PLC in sustaining a PLC over time. It suggests that to be a sustainable it is crucial for a PLC to strike a balance in energy and time between community sustenance and instructional innovation from the outset and that it is also important to remain inclusive so that the membership of a PLC can be extended beyond the teachers. By challenging current studies that conjure a overly optimistic image of the PLC and underplay the conflicts and challenges within the PLC approach, this study provides more realistic and articulated understandings of a sustainable PLC and its micro-political and power-ridden process and in doing so suggests a promising new research avenue for the politics of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다양한 차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지속성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된 연구 문제로 전문적 학습 공동체는 어떤 과정을 통해 지속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고, 하위 연구문제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지속 과정에서 어떤 도전과 갈등, 딜레마가 발생하고 이는 어떻게 다뤄지는 지에 주목하여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 공립학교로는 보기 드물게 오랜 시간에 걸쳐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한 초등학교에 대해 질적 사례 연구 기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과정은 평탄하고 순조로워 보이는 표면과 달리, 실제로는 울퉁불퉁하고, 우연적이며, 갈등으로 점철된 험난한 과정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개념에 대한 구성원간의 상이한 이해(특히 공동체 개념과 전문성 개념 이해를 둘러싼 긴장)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실천과 기존 관료제적인 학교 문화 사이에서의 충돌 등으로 인해 갈등이 종종 빚어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교육정치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실천 및 지속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갈등과 딜레마를 미시정치학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구안하기 위한 연구가 요청된다고 제안하였다. 한편, 전문적 학습 공동체 연구 관련 시사점으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개념을 단순히 기능적 차원에서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교사들의 공동의 노력과 연수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기존의 인식과 실천의 틀에서 탈피하여, 학교 체제와 문화의 재구조화라는 의미까지 포괄하는 차원에서 보다 폭넓게 재규정하고 이에 적합한 실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실천적 차원에서 고려해 볼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 참여 대상의 보다 포용적 확대와 함께, 전문적 학습 공동체 시행 초기 단계부터 공동체 유지와 교수-학습 개선을 균형 있게 추진하기 의도적인 시간 배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리더십 승계와 학교 혁신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정바울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1

        Leadership succession is a critical life in the life of organizatio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in the life of innovative schools is a change in its leadership. Yet, few things in educational leadership succeed less than leadership succession. In this article, emplo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I address the issue of principal succession at an innovative elementary school in a rural city in South Korea. It draws on leadership succession literature combined with founder succession studies to reveal how the succession unfolds over time. The results show that the school failed to deliberately plan for leadership succession. Second. therefore, the type of leadership succession at the school studied is unplanned continuity’(Hargreaves, 2005). Finally, the disruptive turmoil triggered by the abrupt departure of the founding principal and the accompanying conflicts among the founding teacher leaders inadvertently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innovative school over time by redistributing the existing power relation into more distributed leadership. 리더십의 승계는 조직의 생애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사건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학교 혁신을 지속하는 데 있어 리더십 승계 문제는 가장 중심이 되는 도전이기도 하다. 그런데 학교 맥락에서의 리더십 승계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승계 연구들과 창업자 승계 연구들을 개념적 분석틀로 한 혁신적인 초등학교에서의 리더십 승계를 질적 사례 연구 기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학교에서는 리더십 승계를 사전에 계획하여 효과적으로 추진하지 못했다. 둘째, 이로 인해 리더십 승계의 유형은 계획되지 않은 연속성(unplanned continuity)의 양상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획되지 않은 갑작스러운 승계로 인한 소용돌이는 기존 권력 관계의 근본적 재편 과정을 야기하여 역설적이게도 분산적 리더십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혁신의 지속성에 기여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간 연구가 일천한 혁신적인 학교에서의 리더십 승계를 둘러싼 역동적인 과정을 실증적으로 조명하고, 리더십 승계가 혁신의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교육 조직 영역에 창업자 승계라는 새로운 관점과 분석틀을 적용하여 재해석하고, 그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는 데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실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효과적 실천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정바울,이승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4

        This study traced the emergence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rom the analysis of Lortie 's(1975) classic study of “Schoolteacher: A socioloigcal study.” The NGT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inhibing and enabling factors in implemn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ies in S. Korea.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inhibiting factors of PLC are as follows: 1) lack of time due to excessive workload, 2) difficulty in sharing vision, 3) lack of enthusiasm and motivation for change, 4) Performative cultur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5) lack of skill or capacity in building and sustaining teacher communities 6) lack of leadership capacity, 7) competitive environment and so on. In order to promo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eachers suggest there should be 'additional time', 'convenient space for communities', 'trustful relationship', 'flexible budget’ , 'stepwise approches to community activities' and others. Situated in Lortie’s theoretical framework, the findings are used to draw conclusions useful for rethinking approaches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 Korea. 본 연구에서는 Lortie(1975)의 세 가지 교직 문화(개인주의, 현재주의, 보수주의)를 이론적 분석틀로 활용하여 우리나라 교사들이 인식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의 저해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명목집단기법이라는 연구기법을 통해 탐색적 차원에서 재조명해 보았다. 연구결과, 교사공동체 운영의 저해요인으로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부족’, ‘비전공유의 어려움’, ‘변화에 대한 열정과 동기 부족’, ‘관주도의 성과주의 문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전문성 부족’, ‘리더의 부재’, ‘경쟁주의적 환경 등이 도출되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추가적 시간 배정‘, ’공간 확보‘, ’친밀한 관계 형성‘, ’예산운영의 자율성‘, ’부담없는 활동으로부터 단계적 도입‘, ’교사 공동체 리더의 역량 강화‘, ’인센티브 제공 또는 폐지‘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로 도출한 저해요인 및 이를 토대로 살펴본 활성화 방안을 Lortie가 제시한 현재주의, 개인주의, 보수주의의 분석틀을 통해 구조화하였다. 특히, 가장 두드러진 저해요인으로 분석된 ’현재주의‘ 차원의 문제들을 Hargreaves와 O’Connor(2017)의 논의의 연장선에서 재해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전문적 학습공동체 정책의 재설계(redesign)를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의 비판적 재조명 : 교사교육의 신자유주의적 재구성 및 한국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정바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티치 포 아메리카는 지난 20년 동안 미국과 영국, 유럽 등에서 교사교육 및 사회개혁 분야에서 유례없는 큰 성공과 함께 연구자들 사이에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킨 접근가운데 하나이다. 이와 달리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티치 포 아메리카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티치 포 아메리카의 현황 및 최근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1)티치 포 아메리카로 형상화되는 신자유주의의 새로운 지형과 전략 탐색 2)티치 포 아메리카가 한국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최근 연구들은 티치 포 아메리카를 단순히 교사 부족을 해소하려는 대안적 교사 양성 및 배치 프로그램 또는 ‘봉사활동’으로 간주하던 기존의 관습적인 접근을 탈피하고, 신자유주의적 접근을 토대로 교원 및 교사교육정책을 근본적으로 재편하려는 정책 기획 또는 사회운동 패러다임으로 재개념화를 시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티치 포 아메리카 접근은 1)미시적 차원에서, 신자유주의적 교사 주체의 형성, 2)거시적 차원에서는, 전통적 교사양성체제의 전면적 재편 추구, 3)미시와 거시를 결합한 차원에서는, 비영리 사회적 기업 또는 자선 재단을 표방함으로써 시장접근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하고 신자유주의적 교사양성체제로의 보다 용이한 이행을 모색한다고 제시하였다. 티치 포 아메리카가 한국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는 티치 포 아메리카의 한국 교사교육체제로의 상륙 가능성에 대한 전망을 중심으로 1)현 체제 내 개선 2)절충적 수용, 3)공세적 변화의 세 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논의해 보았다.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티치 포 아메리카에 대한 재조명과 이를 통해 한국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 본 이 연구는 전 지구적 정책 이동과 초국가적인 정책 네트워크로 대표되는 변화하는 새로운 교육정책 지형 속에서, ‘방법론적 국가주의(Ball 2016)’의 한계를 넘어 우리 교사교육체제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진단 및 선제적인 자체 개선 노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each for America (TFA) has rapidly grown with the greatest success in influencing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and education policy making and social reform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globally. Despite the increased popularity and heated debates over the TFA around the globe just as in the US teacher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there has been little scholarly attention paid to this topic in Korean context. Addressing the near silence in Korea to the currently most controversial, global reform movement, this paper provides 1) an overview of local and global TFA trends and a review of the existing literature on TFA; 2) a conceptual framework that reframes TFA as a neoliberal, political and social reform; and lastly 3)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in Korean context. The finding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uggests that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FA not simply as an alternative teacher preparation and placement program that provides a solution for persistent teacher shortages. More importantly, TFA is a paradigmatic reform movement designed to disturb and fundamentally reshape the arguably “broken” teacher education systems. Three scenarios of the transfer of the TFA to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system are discussed: 1) Incremental improvement within the existing system, 2) Gradual but consequential approach, 3) Disruptive approach. We conclude that this study of TFA within S. Korea can provide the Korean teacher educators with the opportunity to gain a more transparent, even trenchant, new take on their challenges and come up with the fresh solutions that are mindful of the new trans-national space and mobilities of ref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