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의 순간적 현전으로서 도시 거리예술 - 《랄랄라 스트라다》와《친친탱고》를 사례로

        정두순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0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cultural-political value of street art. To this end, this work pays careful attention to the encounter between urban residents, artists, and cities, regards the contingency, openness, fluidity, and futurity arising from the encounter as the singularity of urban street art, and diagnoses variants and divergence of desire as the politics of difference-urban revolution. Moreover, street art, transformed into a spatial practice called encounter is unfolded on a new cognitive map of the differential space as an instant presence of the futu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fulfilling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include discussions on Lefebvre, Merrifield, and Guattari, and the exemplification of two street arts called La la la Strada and Chinchin Tango located in Busan. 이 연구는 일종의 도시 유토피아적 기획으로서, ‘모순공간-재현공간’인 도시를 ‘차이공간’으로 변태(變態)시킬 수 있는 변증법적 전화의 ‘불가능한 가능성’으로서의 미래와 그 미래가 가역적·순간적으로 현전하는 것으로서의 거리예술의 문화정치적 가치 탐색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민-예술가-도시 간의 마주침’에 중점을 두고, 그 마주침에서 발생하는 ‘우발성·개방성·유동성·미래성’은 도시 거리예술의 ‘특이성’으로, 욕망의 변이 및 분열은 ‘차이의 정치-도시혁명’으로 진단한다. 그리고 그 ‘마주침’이라는 공간실천으로 변모하게 되는 거리예술은 미래의 순간적 현전으로서의 차이공간이라는 새로운 인식적 지도 위에 펼치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로는 르페브르, 메리필드, 가타리의 관련 논의를, 구체적 사례로는 부산에서 열린 두 개의 거리예술,《랄랄라 스트라다》와《친친탱고》를 삼는다.

      • KCI등재

        공간실천으로서의 ‘몸짓-퍼포먼스’와 그 실천을 통한 삶의 작품화

        정두순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0 한국예술연구 Vol.- No.29

        The present work first assumes that everyday life, marked by and dotted with capitalist urbanization, is a dialectical space of fixity and fluidity where despite the prolonged infliction of splendid miseries permeated by capitalism, possibilities of reversing them into vie-œuvre are also pregnant. Second, it introduces some dance developed in our urban daily lives, especially the ‘vertical dance’, as a fluid practice that implodes, in the way of dialectical transformation, within the fixity. Third, it identifies the gesture-performance created from the harmony of the performer (vertical dancers) and the audience (citizens) not just as a new practice of moving bodies but as a self-directed and artistic practice of gestures that triggers the production of differential space of the concrete abstraction. By integrating all the discussions, it lays the foundation for the collective and creative social practice of the art-artist-citizen and the practice theory of the subject-art required today. 이 연구는 첫째, 자본주의적 도시화로 점철된 일상생활을 고정성과 유동성의 변증법적 공간, 즉 화려한 비참이 구축되기는 했지만 삶-작품(vie-œuvre)으로 전도될 가능성 또한 배태한 역사사회적 장으로 상정한다. 둘째, 도심의 일상생활 한가운데서 펼쳐지는 춤, 특히 ‘버티컬 댄스-<견딜 수 없는 아름다움>’을 그 고정성에서 내파(implosion)하는 유동적 실천으로, 그래서 그 장을 변증법적으로 전화(轉化)하는 공간실천의 사례로 분석한다. 셋째, 연희자(버티컬 댄서)-수용자(시민)의 하모니에서 생성하는 몸짓-퍼포먼스를 새로운 운동체적 실천으로, 아울러 구체적 추상으로서 차이의 공간 생산을 촉발하는 몸짓‘들’의 주체적·예술적 실천으로 규명한다. 이로써 현시대에 요구되는 예술-예술가-시민의 집단·창조적인 사회적 실천, 즉 주체-예술 실천론의 토대를 마련한다.

      • KCI등재

        계보학적 관점에서 본 부산의 대학 발레 - 내치와 통치성을 중심으로 -

        정두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8

        This research evaluates significant histories of Busan’s University ballet on the basis of Foucault’s genealogical method, using Busan from 1979 to the present as a spatiotemporal range. Not only does the main analytic framework rest upon Foucault's concept of power-knowledge but is also instantaneously interwoven with Lacan’s theory of desire and Bourdieu’s notion of power to make it far more enhanced. By doing so, Chapter 2 explains the hegemony reorganization of domestic university ballet according to the discourse of the times and state-led as the effect of “police”. The next one analyzes the power-knowledge that drives the formation and decline of Busan university ballet a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s explained as the ‘paradox of exclusion’ composed of the context of both center-phallus-governmentality and multi-layered distinction and habitus, second, pyramid structure and closedness, and third, neoliberal governmentality. Finally, what is suggested is that now is the time for university ballet in Busan to reflect on the feasible 'ballet as learning' away from the impossible network of knowledge that can cultivate talents needed in all areas of ballet.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모던 글로벌 도시의 플래시몹

        정두순(Jeong, Doo-Soon),전국조(Jeon, Kuk-J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30 No.-

        새롭게 등장한 문화적 현상인 플래시몹을 비판문화지리연구, 위치성, 상황적 지식, 분열[증]적 몸-주체, 카오스모즈, 텍스트 밀렵, 벌 떼 지성, 기계 현상, 유혹, 부도덕 한 놀이 등과 같은 이론적 얼개와 개념들에서 논의하면서, 본고는 포스트모던 글로벌 도시와 플래시몹의 상호관련성을 검토하고, 플래시몹을 포스트모던 글로벌 도시의 맥락에서 평가한다. 그러나 그것이 문화정치의 영역에서 갖고 있는 긍정성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가장 영향력 있는 문화 게릴라들 가운데 하나인 플래시몹은 더 이상 그 같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듯 보이지 않는다. 그라피티에 이어 포스트 자본 주의에 봉사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포스트모던 글로벌 도시의 거주자들, 다시 말해서 여전히 잠재적인 상태에 머물러 있는 도시의 텍스트 밀렵꾼들이 엉뚱한 지리적 상상력의 도움으로 문화전쟁을 지속해 나갈 수 있는 어떠한 가능성이라도 숙고하여 고안할 것을 제언한다. 오직 이 같은 목적이 이루어질 때, 우리 텍스트 밀렵꾼들은 일상 문화와 관련한 우리들만의 정치적 실천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Discussing newly emerging cultural phenomena of flash mobs within several theoretical frameworks and concepts such as critical and cultural geographies, positionality, situated knowledge, schizophrenic body-subject, chaosmosis, textual poaching, machinism, seduction, immoral games, and position of war,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postmodern global cities and flash mobs, and evaluates the latter in the context of the former. Despite its positiveness in the realm of cultural politics, the flash mob,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ultural guerrillas these days, no longer seems so since it, following graffiti, has begun to serve post-capitalism. Hence, the work suggests that postmodern global city dwellers, the city’s textual poachers who still remain potential in other words, contemplate and invent any possible ways to keep the culture war going with the aid of incongruous geographical imaginations. Only if is such a goal achieved, we, the textual poachers can realise our own political practices of everyday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계보학적 관점에서 본 부산 동인발레

        정두순(Doosoon J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1979년부터 개설되기 시작한 부산시 내 각 대학 무용학과의 발레 전공 교수와 발레 전공자들이 함께창단한 동인 발레단들은 권력-지식을 활성화하는 ‘권력 장치’이다. 이 단체들은 창작을 통한 고전발레문법의 해체와 재구성, 실험적 장소에서의 공연을 통한 도전과 혁신, 사회적 문제의 작품화를 통한 공론장 형성 등으로 1990년대 부산발레의 활성화에 기여하기도 했지만, 학연 및 지연, 담당 교수를 중심으로 한 단체 특유의 폐쇄성으로 부산발레를 지엽적 동인발레 형태로 고착화하면서 부산발레의 후진성또한 강화했다. 부산 동인발레를 둘러싼 이 같은 역사사회적 조건에 기반을 두고서 본 연구는 두 가지주된 과업을 수행하는데, 첫째, 부산 동인발레를 계보학적 관점에 따라 권력-지식의 효과로 탄생한 권력 장치로 분석하고, 둘째, 그것은 또한 결코 통치될 수 없는 세속화라는 해방 전략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저항 장치의 가능태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Having begun to be established in 1979 by those teaching and learning ballet in each university of Busan, coterie ballet companies are, in fact, the ‘dispositif of power’ activating powerknowledge. The groups contributed to revitalizing Busan’s Ballet in the 1990s by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classical ballet grammar through creation, challenging and innovating Busan’s ballet through performances in experimental venues, and forming the public sphere through the work production of social issue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also strengthened the backwardness of Busan’s Ballet because their unique closedness centered around the professor in charge was entrenched in the form of a local coterie ballet. Based on such historical-social conditions surrounding Busan’s coterie ballet, this study carries out two main tasks: first, it analyzes Busan’s coterie ballet as the ‘dispositif of power’ created by the effect of power-knowledge from a genealogical point of view; second, it is proposed that Busan’s coterie ballet also be considered the potential ‘dispositf of resistance’ that can form a new community with some liberation strategy of secularization that cannot ever be governed.

      • KCI등재

        소녀상 지키기 춤 공연의 예술정치: 차이/차-등의 공간생산을 위한 실천전략

        정두순(Jung, Doo Soo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는 현시대 예술, 작게는 춤이 ‘공간의 차-등’을 담보하는 ‘차이의 공간’을 생산함으로써 역사사회적 책무를 져야한다는 것을 논증함과 동시에, 그 생산을 위한 실천전략으로 춤추는 ‘몸-주체’의 공간정치를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공간생산론에 토대를 둔 ‘공간실천론’을 그람시(Antonio Gramsci)의 실천론, 즉 헤게모니론 및 유기적 지식인 개념과 절합함으로써 분석의 토대를 만들고, 2017년 2월 4일 부터 2017년 4월 29일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펼쳐진 ‘부산 소녀상 지키기 춤 공연’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시대의 춤추는 몸의 실천과 춤-예술의 실천이라는 문제를 부산 소녀상 앞이라는 특정 사회적 공간, 그리고 일제 식민과 위안부의 기억이라는 역사철학적 주제와 접속시킴으로써 춤 공연예술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has two main purposes. One is to demonstrate that contemporary dance, and to a larger extent art of our times in general, should take their own historico-social responsibilities by means of producing ‘differential spaces’ while giving security for ‘différentials of space.’ The other is to suggest the spatial politics of dancing ‘bodies-subjects’ as a strategy of praxis for the production. In this light, I build an analytical foundation by combining Lefebvre’s thesis of ‘spatial praxis’ (based on his theory of ‘production of space’) with Gramsci’s theory of praxis which mainly consists of the notions of ‘hegemony’ and ‘organic intellectuals.’ Then, I analyze ‘Dance Performances for Protecting the Comfort Woman Statue in Busan,’ which have been given in front of Consulate-General of Japan in Busan on Saturdays from February 4 to April 9 in 2017. By doing so, this work draw some significant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dance performing art connecting the praxis of both contemporary dancing bodies and dance art to 1) a particular social space of the front of the Statue and 2) a historical-philosophical theme of the memorie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comfort women.

      • KCI등재

        춤과 춤꾼의 도시에 대한 권리(le droit à la ville)와 자주관리(autogestion)를 통한 공간실천의 가능성

        정두순(Jung, Doo Soon)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 문화와 정치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도시에 대한 권리(le droit à la ville)’와 ‘자주관리(autogestion)’ 개념을 ‘춤과 춤추는 몸’의 영역으로 확대 · 적용하여, 도시공동체를 향한 춤과 춤추는 몸이 자본주의적 도시공간에서 펼치는 실천적 움직임을 추적한다. 이는 춤과 춤추는 몸이 자본주의적 도시공간과 도시거주자를 매개함으로써 그/녀로 하여금 민주주의적 시민-주체로 변태하게끔 하여 도시와 도시적 삶의 변혁을 추동하는 공간적 실천임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본 연구의 핵심 개념인 ‘도시에 대한 권리’와 ‘자주관리’의 개념을 분석하여 연구 토대를 마련한다. 둘째, 잠재적 시민이자 도시거주자의 일원으로서 춤꾼, 춤추는 몸, 그리고 그 몸이 도시 한가운데서 벌이는 축제이자 향연으로서 춤판 간의 삼항변증법적 관계를 추적한다. 셋째, 이를 도시에 대한 권리의 쟁취 및 자주관리의 과정, 즉 공간적 실천의 민주적 과정으로 밝힌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work are two. One is to trace some signigicant practical moves which ‘dancing and dancing bodies’ initiate in capitalist urban spaces in order to realize an urban community. The other is to clarify that the dancing and dancing bodies themselves are, in fact, the very spatial practices which enable a city dweller to be to turn into a democratic citizen-subject so that she can generate driving forces in order to change the city, where she makes her living and enjoys her urban life. Not only is such a goal worked towards by extending and applying Lefebvre’s notions of ‘the right to the city’ and ‘autogestion’ to the dancing and dancing bodies but reach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is grounded in analyzing the abovementioned notions of ‘the right to the city’ and ‘autogestion’ both of which are central to this research. Second, after having traced a trialectical relationship amongst a dancer as a potential citizen and member of city dwellers, dancing bodies, and a fête which those bodies open in the middle of the city, this paper redefines the fully opening of the fête as a process of achieving the right to the city and autogestion, as well as democratic spatial practices.

      • KCI등재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의 가능성과 한계 - infra 비전을 넘어 문화적 시민사회 비전으로 -

        정두순 ( Jung Doo-soon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이 연구는 2019년 7월 부산시가 발표한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가능성과 한계를 도출하고, 부산문화정책이 담아야 하는 기본원리를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참여정부에서부터 현 문재인 정부에 이르는 각 정부의 문화개념과 문화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권력기관인 정부의 문화개념이 국가의 미래를 어떻게 좌우하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지역문화정책으로서의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이 어떠한 문화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된 정책인가는 물론, 부산의 미래를 어떤 방식으로 그려내는가를 밝히는 토대가 된다. 문화정책이 인간 삶을 위한 가장 긴급한 정책임을 표방한 참여정부를 부정하면서, 창조적 실용주의와 창조경제의 논리에 따라 문화정책을 자본축적의 도구로 삼은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의 지난 10년간의 문화정책은 온 국민의 삶을 반문화적 시대로 옮겨놓았다. 이에 맞서 현 정부는 문화=자본으로 공식화된 그간의 한국적 문화개념을 문제시하며 사람이 있는 문화를 지향, 삶으로서의 문화이자 문화로서의 삶을 향한 혁신적 전환을 가능케 하는 문화정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문제는 기존문화정책과 현 시정에서 벗어나 부산만의 문화정책을 기획하며 탄생했다고 자평하는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이 오히려 실패한 창조적 실용주의와 창조경제의 논리를 답습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바니즘ㆍ전시행정ㆍ기념비주의에 매료된 부산시정부와 인프라확충을 문화로 인식하는 부산시민 사이에서 탄생한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은 문화정책과 예술정책이, 도시정책과 문화정책이 혼재한 괴이한 정책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지역으로서의 부산, 부산성은 차치한 채 스펙터클 한 거대 해양도시부산을 꿈꾸는 『부산문화 2030비전과 전략』은 부산시민은 없고 예술가만 남는, 부산시민은 없고 해양도시부산만 남는 미학화한 도시의 미래상을 담고 있다. 이러한 비판적 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는 지역문화정책의 역할은 지역-사회와 지역-시민의 존립을 위한 문화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있으며, 문화적 토대란 교환가치로서 작용할 문화적 인프라의 구축이 아닌 사용가치를 발휘할 문화와 그 생산을 위한 시민주체 형성에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아울러 지역문화정책은 지역예술(인)의 활성화 및 문화적 인프라의 건립이라는 강박을 넘어 부산시민이 처해 있는 노동시간, 최저임금, 기본소득 등과 같은 현실 문제를 진단ㆍ고려함으로써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지향하는 데로 나아가야 하며 이로써 내일의 문화적 시민사회를 여는 동력이 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Analyzing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the paper aims to draw out its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and to suggest basic principles that the cultural policy of Busan should contain. To this end, this work first examines the cultural concepts and policies of each government, from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o the curr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This helps to find possible solutions to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what concept of culture does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as a local cultural policy rest on, and how does it picture the future of Busan?’ Born between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fascinated by urbanism, exhibition administration and monumentalism, and Busan citizens recognizing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as a culture,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has, in fact, limitations as a peculiar mixture of cultural and artistic policies, and urban and cultural policies. Disregarding Busan’s localities, or Busanness so to speak, Busan Culture 2030 vision and strategy, which explicitly expresses its dream of Busan as a spectacular marine giant, contains the city’s aestheticized future in which there are not Busan citizens but only artists and a marine city. Based on this critical analysis, the study argues that the role of local cultural policy lies in establishing a cultural foundation for the survival oflocal communities and local citizens, and that the cultural foundation is not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to act as exchange value, but rather in a culture that will exercise use value and form a civic entity for the production of cultur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local cultural policies should go beyond the urge of revitalizing local arts and constructing cultural infrastructure to diagnose and consider real issues such as working hours, minimum wage, and basic income with which Busan citizens are confronted, and thus those which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tomorrow’s cultural civi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