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라이딩 콘크리트 궤도의 마찰거동 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정동기(Dong-Ki Jung),이경찬(Kyoung-Chan Lee),장승엽(Sung-Yup Chang),여인호(In-Ho Yeo),김태구(Tae- Gu Kim) 한국철도학회 2015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0

        궤도-교량의 상호작용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콘크리트 궤도는 교량 바닥판과 콘크리트 궤도 슬래브 사이에 저마찰 슬라이드층을 통하여 구현된다. 저마찰 슬라이드층의 기능적 역할은 온도변화와 열차하중에 따라 발생된 교축방향 변위에 대한 궤도-교량 상호작용을 원천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험적 연구를 통한 슬라이드층의 마찰특성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상 슬라이딩 궤도 시스템을 모사하여 마찰거동과 내구성을 평가하고 궤도의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Sliding slab track which can effectively reduce track-bridge interaction has a low-frictional sliding layer between bridge deck and track slab. The low-frictional sliding layer plays a roll to reduce interaction force of track-bridge induced by relative longitudinal displacement due to temperature changes and applying train loads. In this study, friction behavior of the sliding layer is examined by experimental tests. Durability of the sliding layer was examined as well according to a number of cyclic loads.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applicability of the sliding slab track is proved.

      • KCI등재

        집단 내 개인의 영향력 및 책임감이 주관적 예측 조정에 미치는 영향

        정동기(Dong Ki Jung),이윤신(Yun Shin Lee),김효영(Hyo Young Kim) 한국생산관리학회 2018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9 No.3

        수요예측은 기업의 판매 및 운영계획의 바탕이 된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사업의 글로벌화에 따라 모든 요인들을 고 려한 수요예측 모형화는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수리 모형만을 사용한 예측 방법은 불충분하며 제품이나 시장에 대한 지식이 있는 예측 담당자가 내린 결정이 더 정확할 수 있다. 최종 예측치는 담당자의 주관을 바탕으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로부터 주어지는 예측치(조언)를 조정하여 생성된다. 이때 예측 담당자의 영향력 (Power)이나 책임감(Accountability)이 조정 정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담당자의 영향력과 책임감은 부서간의 이해관 계 대립 또는 직급의 차이에 따라 상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번의 행태 실험을 통해 영향력과 책임감이 예측 조정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첫 번째 실험은 영향력, 자신감, 그리고 조언 수용 정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두 번째 실험은 책임감이 가해졌을 때 자신감과 조언 수용 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피실험자들은 자신의 영 향력이 높을수록 조언을 덜 받아들였다. 이는 영향력이 높을수록 자신감이 높아졌고 높은 자신감은 외부 조언을 덜 받아 들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두 번째 실험에서는 피실험자의 영향력이 높더라도 책임감이 추가적으로 부여되었 을 경우 조언을 받아들이는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영향력과 책임감은 예측 조정 정도에 상충하는 영향 이 있음을 시사한다. While quantitative forecasting methods are readily available, many forecasting processes in practice partly rely on human judgment. Especially, a final forecast is made after making judgmental adjustments using advice generated by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is research examines how an individual’s power and accountability in a group influence judgmental adjustment behavior. We propose that greater power will increase the degree of judgmental adjustment, and this effect is mediated by confidence in one’s judgmental forecast. In addition, we suggest that accountability will decrease judgmental adjustment even if one has great power because accountability will moderate the effect of power on confidence. We test our hypotheses using two experi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we fou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the degree of forecast adjustmen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the confidence level of individuals. In the second experiment, we found that accountability lowers confidence. This paper provides insights on how the structure of the forecasting group should be managed by designing work roles and responsibilities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from adjustment behavior.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study’s limitations and scop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궤도-교량 상호작용 해석에 의한 슬라이딩 슬래브 궤도의 장대레일 응력 저감 효과 분석

        이경찬,장승엽,정동기,변형균,Lee, Kyoung Chan,Jang, Seung Yup,Jung, Dong-Ki,Byun, Hyung-Kyoon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5

        Continuous welded rail on bridge structure experiences typically a large amount of additional longitudinal axial forces due to longitudinal track-bridge interaction under temperature and traction/braking load effect. In order to reduce the additional axial forces, special type of fastener, such as ZLR and RLR or rail expansion joint should be applied. Sliding slab track system is known to reduce the effect of track-bridge interaction by the application of a sliding layer between slab track and bridge structure. This study presents track-bridge interaction analysis results of the sliding slab track and compares them with conventional fixed slab track on bridges. The result shows that the sliding slab track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additional axil forces of the continuously welded rail, and the difference is more significant for long and continuous span bridge. 장대레일을 적용한 교량상 콘크리트 궤도는 온도하중 및 시제동 하중에 의하여 종방향 상호작용력이 크게 발생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활동체결장치 또는 저체결력 체결장치와 같은 특수체결장치를 적용하거나 레일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슬라이딩 슬래브 궤도는 교량과 궤도 슬래브 사이에 슬라이드층을 두어 상호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슬라이딩 궤도와 일반 콘크리트 궤도를 적용한 교량에 대하여 상호작용 해석 결과를 제공한다. 해석 결과 슬라이딩 궤도를 적용함으로써 장대레일에 발생하는 부가 축력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차이는 장경간 및 연속교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 슬라이딩 콘크리트 궤도의 궤도-교량 상호작용 해석

        이경찬(Kyoung Chan Lee),여인호(In-Ho Yeo),김기현(Ki-Hyun Kim),정동기(Dong-Ki Jung)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철도 교량은 온도변화, 열차의 시제동 및 수직 하중에 의한 궤도-교량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장대레일에 상당한 크기의 부가 응력을 유발한다. 슬라이딩 궤도는 콘크리트 궤도와 교량 바닥판 사이에 저마찰 슬라이드층을 두어, 교량과 궤도를 종방향 거동에 대하여 분리시켜 궤도-교량 상호작용 효과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노선에서 주로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교량 배치 및 경간장에 대하여 슬라이딩 궤도를 적용한 경우와 기존의 직결식 콘크리트 궤도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온도변화, 시제동 및 수직 하중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슬라이딩 궤도는 온도변화 및 시제동 하중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최소 80% 에서 최대 90%까지 저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ontinuous welded rail on railway bridge experiences significant amount of additioanl axial stress due to rail-sturcture interaction from temperature change, train vertical and traction/braking loads. Sliding slab track system has a sliding layer between bridge deck and slab track, which reduces the effect of rail-structure interaction from isolating the longitudinal behavior between bridge and track. This study evaluates the additional axial rail stress of various types of bridge spans and arrays for the case of the sliding slab track and conventioanl fixed slab track due to temperature change, traction/braking and vertical loads.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sliding slab track reduces the additional axial rail stress from 80% to 90% compared to that of the fixed slab track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