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산림 자연정보를 이용한 산림 임분재적가치평가

        정다정(Dajung Jung),허준(Joon Heo),김상민(Sangmin Kim),홍미선(Miseon 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본 논문은 국가산림 자원 자료를 활용한 임분재적가치평가를 목적으로 평창군을 대상지역으로 하였다. 산림 임분재적가치평가를 위해 임분재적식을 이용하였으며 필요한 수고값은 10m 로 가정하고, 임상도의 임상, 경급과 밀도에 따른 분류를 통해 임분재적량을 구하였다. 수종별 임분재적량에 면적을 계산하여, 수종,경급별 총 임분재적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2009년 8월 1일 고시된 국산입목가격을 적용해 평창군의 산림 임분재적가치를 예상한 결과 약 135백억원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대학 교육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한 품질차원 및 개선우선순위 도출

        장영순 ( Chang Youngsoon ),정다정 ( Jung Dajung ),김도년 ( Kim Donyun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7 품질경영학회지 Vol.45 No.1

        Purpose: This study is on the priority for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in university educational service. It explores the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among quality elements, service satisfaction, and loyalty. Methods: This paper performs empirical studies by questionnaire survey. The Timko model is used for finding the degree of possible improvement of quality elements, and structural equation and regression models a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m on service satisfaction and loyalty. Also, explanatory factor analysis is us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determinants. Results: The quality dimension is composed of curriculum, employment support, interaction with outsiders, start-up support, learning support, counselling, and administration service. Curriculum, learning support, and administration service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vice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Counselling service is an attractive element, and curriculum, start-up support, and learning support are indifferent elements. Conclusion: Comprehensive analysis shows that curriculum, academic advisor, and administration service have high priorities for improving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 WIFI 기반 실내 위치 시스템의 터널 건설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우선규(Sunkyu Woo),허준(Joon Heo),성수(Seongsu Jeong),정다정(Dajung J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4

        건설현장에서 작업자, 차량, 장비 등의 건설기자재의 위치정보는 안전 관리, 프로젝트 진행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로서 사용된다. 기존의 개발되고 있는 위치 추적 서비스는 크게 실외와 실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실외 추적 서비스의 대표적인 GPS는 실내에서 제한성을 가지기 때문에 실내 환경에 적합한 위치 추적 시스템에 대한 연구들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WIFI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송신 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능동형 RFID Tag를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터널 건설에서 사용되는 보링 머신 내에서 작업자의 위치 추적을 실행하고 그 정확도를 판단하였다. 실험은 터널 건설 현장에서 실행되었으며 WIFI기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해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정확도 측정을 시행하였고, 5m 내외의 정확도를 얻었다.

      • Music Players의 직관적 조작에 적합한 비접촉 제스처 디자인

        송해원(Haewon Song),강승규(SeungKyu Kang),조경재(KyungJae Cho),엄민식(MinSik Eom),정다정(DaJung Jung),김헌(Huhn K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화면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 조작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 기기가 등장하고 있다. 화면 내 아이콘이나 버튼을 직접 터치하여 조작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사람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로의 전환은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의 많은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Music Players 의 필수적인 기능 조작에 적합한 비접촉 제스처를 디자인하기 위해 사람들의 스테레오타입, 아이콘의 모양, 물리적 움직임의 방향성, 문자의 형태에 각각 기반한 네 가지의 제스처 세트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제스처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참여자들은 주어진 제스처 세트를 사용하여 Music Player 를 조작하였고 제스처 조작시간, 오류시간, 오류횟수, 제스처 만족도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스테레오 타입에 따른 제스처와 물리적 방향성에 따라 디자인된 제스처가 Music Player 기능을 조작하는데 걸리는 총 시간이 유의하게 짧았으며, 만족도 측면에서도 높은 점수가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비접촉 인터페이스 기기에 대한 적합한 제스처를 디자인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gether with the advances of touch screen interface, non-touch or touchless interfaces which can be operated without touching a display has emerged. The replacement of touch interfaces by non-touch interfaces based on humans' gesture recognition can give rise to more intuitive interfaces. In this study, the four non-touch gesture sets for manipulating music players were drawn. Each of them was based on users' stereotypes, icons' shape, direction of physical movements, and character shape of function names. Then,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verify usefulness of the derived gesture se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gesture sets based on both stereotype and direction of physical movements took less operation times and had higher satisfaction score. This result can be used in designing proper non-touch gestures for operating a devi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