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성 실시간 시스템에서 시스템 성능을 높이기 위한 수행시간 결정

        정다니엘(Daniel Chung),이진호(Zino Lee),홍성제(Sung Je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A

        기존의 강성 실시간 시스템은 실시간 수행만 고려되어 있어, 실시간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적인 시스템 활용과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효율적인 시스템 활용을 통하여 보다 많은 일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연성 실시간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는 보상값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그것의 총합을 성능평가의 기준으로 사용하며, 보상값의 합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수행시간을 찾아 스케줄링에 사용하게끔 한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알아낸 수행시간에 따른 보상값의 변화에 대한 경향을 이용하여 최대 보상값을 얻을 수 있는 수행시간을 찾고,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 깊이 영상을 사용한 실내 인공암벽에서의 등반자 영역 검출

        정다니엘 ( Daniel Chung ),고일주 ( Iju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최근 스포츠와 ICT 기술의 융합으로 스크린 스포츠라는 분야가 등장하였고, 스포츠 클라이밍도 스크린 스포츠로 구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내 인공암벽에서 등반자의 모습을 추적해야 하는데, 이에 앞서 사람의 영역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사람의 영역을 검출하는 데에는 키넥트를 이용하는데, 스켈레톤 정보와 영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깊이 영상을 사용하여 등반자의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내 인공암벽 환경에서는 등반자의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내 인공암벽 환경에서는 등반자 이외에 주변환경의 변화가 없으므로 등반자의 영역

      • KCI등재

        비대면 운동 콘텐츠를 위한 움직임 추적 모델

        정다니엘 ( Daniel Chung ),조민구 ( Mingu Cho ),고일주 ( Ilju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0 No.6

        여러 명이 모여서 진행되는 스포츠 활동은 코로나19와 같이 광범위하게 유행하는 전염병이 퍼지는 상황에서는 진행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현대인의 신체 활동 부족이 발생한다.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운동 콘텐츠들을 이용하면 이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지만, 대면 운동 시와 같은 세밀한 자세 확인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나은 비대면 운동 콘텐츠 운영을 위해서 IT 시스템에서 자세를 감지하고 움직임을 추적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움직임 추적 모델은 체육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움직임 분석 방법들을 참고하여 신체 모델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자세 및 움직임을 정의한다. 제안한 모델을 사용하면 운동에 쓰이는 움직임을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운동 프로그램에서 특정 움직임의 횟수를 알 수 있고, 운동프로그램 수행 여부 감지도 가능하다. 제안한 모델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마커리스 모션 캡쳐 장비인 Azure Kinect DK를 사용하여 움직임 추적, 그리고 운동 프로그램 추적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움직임 분석 모델을 개선하고 모션 캡쳐 시스템의 성능을 높인다면 보다 세밀한 움직임 분석이 가능하며, 적용할 수 있는 운동의 종류를 늘릴 수 있다. Sports activities conducted by multiple people are difficult to proceed in a situation where a widespread epidemic such as COVID-19 is spreading, and this causes a lack of physical activity in modern people. This problem can be overcome by using online exercise contents, but it is difficult to check detailed postures such as during face-to-face exercise. In this study, we present a model that detects posture and tracks movement using IT system for better non-face-to-face exercise content management. The proposed motion tracking model defines a body model with reference to motion analysis methods widely used in physical education and defines posture and movement accordingly. Using the proposed model,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analyze movements used in exercise, know the number of specific movements in the exercise program, and detect whether or not the exercise program i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we implemented motion tracking and exercise program tracking programs using Azure Kinect DK, a markerless motion capture device. If the proposed motion tracking model is improv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tion capture system is improved, more detailed motion analysis is possible and the number of types of motions can be increased.

      • KCI등재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주정폐액의 효율적인 화학적 처리방법

        남기두,,다니엘,박완,Nam, Ki-Du,Chung, In,Hur, Daniel,Park, Wan 한국생명과학회 1999 생명과학회지 Vol.9 No.6

        주정폐액과 같은 고 농도의 유기성 폐액의 효율적 처리에는 혐기적, 호기적인 생물학적인 처리와, 생물학적으로 난분해성 물질의 화학적 처리가 요구되었다. 난분해성 COD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Fenton처리 전에 가능한 많은 유기물의 제거가 요구되며, 이때 $FeCl_3$,alum,cationic polymer의 처리가 효과적이었다. 이 처리과정 중은 몰론 Fenton 처리과정 중에 생성되는 슬러지의 제거 효율에 따라 전체 폐수처리효율리 크게 영향을 받게되 슬러지의 효과적인 제거과정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기포의 직경이 80-120 um 정도되는 기존의 DAF방식에 비해 새로 도입한 PBF법에 의해 생성되는 직경 20-50um 의 미세포기는 슬러지의 부상을 촉진시켜 화학적 슬러지의 제거 효율이 훨씬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PBF법에 의한 슬러지의 제거는 기존의 DAF법에 비해 약품 사용량, 용수의 절감, 방류량의 감소 등으로 전체 운전비용을 약 30%정도 줄일 수 있었다. For further removal of non-biodegradable CODs and color in biologically treated distillery waster water, we selected a chemical treatment with Fe(III) and cationic polymers and then another chemical treatment with Fenton reagent. We developed Pregenerated Bubble Flotation(PBF) to effectively remove the chemical sludge from each chemical reaction process. The flotation unit was constructed with hydraulic loading rate, 7 ㎥/$m^2$.hr. The CODMn and suspended solids (SS) in biologically treated distillery waste water were reduced by the first PBF from 310-1096 mg/L to 141-303 mg/L and from 160-990 mg/L to 48-385 mg/L, respectively. Again, after the Fenton reaction process, floated SS was skimmed off at the top of the flotation unit and the final effluent was directly discharged without any tap water dilution. The quality of final effluent can be below 40 mg/L-CODMn but IISan Distilery has been maintained effluent quality of 73 mg/L-CODMn and 10-80 mg/L-SS. The chemical cost was saved by more than 30% as compared with that of prior process.

      • 인공암벽의 홀드 인식 시스템

        김정수 ( Jungsoo Kim ),정다니엘 ( Daniel Chung ),고일주 ( Ilju K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본 논문은 인공암벽에 부착된 홀드의 형태 및 위치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크린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인공암벽에 부착된 홀드의 형태와 위치 데이터는 다양한 정보로 활용되지만 사람이 수작업으로 계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홀드의 형태가 각기 다르며, 인공암벽에 부착된 홀드의 수가 보통 수백 개 이상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안하는 인식 기술을 통하여 자동으로 홀드의 형태와 위치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게 한다. 홀드의 형태는 스네이크 알고리즘으로 윤곽선을 추출해 인식하며, 홀드의 위치는 추출된 윤곽 데이터의 무게중심 점을 계산하여 인식한다.

      • KCI등재

        운동 추적 모델 기반 움직임 측정을 위한 요소 도출

        길영익(Young-Ik Gil),정다니엘(Daniel Chung),고일주(Il-Ju Ko)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is study aims to derive measurement elements of movement to develop a measurement method of body movement using the exercise tracking model. The exercise tracking model is a framework that recognizes the body in the form of a skeleton through a motion capture system and tracks, records, analyzes the exercise content. The movement measurement method can measure the body during exercise, an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customized exercise by identifying periodic body conditions. Seven motion measurement elem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sports movements and injuries, including elements that were difficult to measure with conventional motion measurement methods. For the experiment, the STF definition of the motion tracking model for 5 types of mot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joint mobility and stability was confirmed. The proposed measurement method is identify individual body states in sports field and provide a customized exercise program.

      • KCI등재

        스포츠 클라이밍의 횡이동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관련 근육 활성도 비교 분석

        이은영(Eun-Young Lee),차경식(Kyungsik Cha),허명현(Myeong-Hyeon Heo),정다니엘(Daniel Chung),김정후(Junghu Kim),김동호(Dongho Kim),고일주(Il-Ju Ko),김유신(Kim, You-Si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클라이밍의 횡이동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 사이의 근활성도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 5명과 비숙련자 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무선 근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광배근, 상완이두근, 요골수근신근, 외측광근, 전경골근, 내비복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측정된 근육의 구간 별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제1국면의 광배근(p=.003), 상완이두근(p=.006)과 요골수근신근(p=.009), 제2국면의 광배근(p=.004)과 요골수근신근(p=.039), 제3국면의 요골수근신근(p=.020)과 내비복근(p=.018), 제4국면의 상완이두근(p=.003)과 요골수근신근(p=.043)에서는 비숙련자의 평균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제2국면의 외측광근(p=.033)과 제3국면의 전경골근(p=.030)에서는 숙련자의 평균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클라이밍 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ular activities using electromyography (EMG) during a sport climbing lateral move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five sport climbing athletes and six novice climbers. EMG was recorded from Latissimus dorsi(LD), Biceps brachii(BB), Extensor carpi radialis(ER), Vastus lateralis(VL), Tibialis anterior(TA), and Medial gastrocnemius(MG) with wireless EMG sensor. An independent sample t-test determined differences between elite and novice groups. Results show that EMG activity of LD at phase1(p=.003) and phase2(p=.004), BB at phase1(p=.006) and phase4(p=.003), ER(p<.05) at phase1(p=.009), phase2(p=.039), phase3(p=.020), and phase4(p=.043), and MG at phase3(p=.018) during a lateral climb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elite group. However, the elite climbers" EMG activity of VL at phase2(p=.033) and EMG activity of TA at phase3(p=.03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vice group. These results would be expected to be a scientific evidence in the training field of sport climb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