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침 자극이 정상 성인의 심박변동에 미치는 영향

        김민수,곽민아,장우석,이기태,정기삼,정태영,서정철,서해경,안희덕,Kim, Min-su,Kwak, Min-ah,Jang, Woo-seok,Rhie, Ki-tae,Jeong, Kee-sam,Jung, Tae-young,Seo, Jung-chul,Seo, Hae-gyoung,An, Hee-duk 대한침구의학회 2003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0 No.4

        Objective :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EA) stimulation on heart rate variability(HRV) for healthy adults are investigated with power spectrum analysis(PSA) of HRV. Methods : The HRVs of every 10 minute for 22 healthy volunteers(13 men and 9 women) were measured for an hour with SA-3000P(Medicore Co., Ltd., Korea). The median age with arithmetic range of 13 men and 9 women was 26.00 years with 22.75~27.00 years. The initial 20 minutes were defined as baseline period(pre-EA period), the following 20 minutes as the EA period and the last 20 minutes as the post-EA period. In each EA periods, volunteers received EA(2Hz, 0.6~0.8ms duration, maximal tolerated stimulation without discomfort) on the right Zusanli(ST36), Shangjuxu(ST37) acupoints while supine, resting. Results : Heart rate of volunteers at post-EA peri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to that of pre-EA period, while SDNN at post-EA perio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Heart rate at EA peri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to that of pre-EA period, but Ln(LF) and LF/HF at EA perio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Ln(HF) at post-EA perio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 to that of EA period, while the other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EA in healthy adults is associated with changed activity in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Further study is need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A on HRV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 KCI우수등재

        원저 : 대사증후군과 심박동 변이의 연관성

        정회현 ( Hoe Hyun Jung ),최윤선 ( Youn Seon Choi ),김수현 ( Su Hyun Kim ),손근주 ( Keun Joo Sohn ),김대균 ( Dae Gyeun Kim ),홍정익 ( Jeong Ik Hong ),정기삼 ( Kee Sam Jeong ),김정아 ( Jeong A Kim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4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에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 심장 자율신경계의 이상과 심혈관 질환의 관계가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이 각각 심박동 변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대사증후군 요소의 개수에 따른 심박동 변이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에서 2002년 2월에서 2004년 10월까지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2,919명 중심박동 변이분석과 설문정보가 완성되고 심박동 변이 검사상 배제기준을 통과한 총 592명 (남자309명, 여자 28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 각 요소의 개수와 심박동 변이 지표와의 관계 및 대사증후군의 존재여부에 따른 심박동 변이 지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의 개수는 SDNN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P for linear trend=0.03) LF/HF (low frequency/high frequency)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 for quadratic trend=0.01). 대사증후군 각 요소별 분석상 남자에서 비만이 있는 군에서 비만이 없는 군에 비해 LF/HF가 의미있게 높았고 (P=0.0002), 여자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에 비해 SDNN이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P=0.04). 또한 여자에서 대사증후군이 있는 군에서 없는 군에 비해 SDNN이 의미있게 낮았다 (P=0.01). 결론: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소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SDNN으로 대표되는 전체 자율신경반응은 감소하고 LF/HF로 대표되는 교감신경/부교감신경 비율은 증가하였다. 특히 남자에서는 비만과, 여자에서는 고중성지방혈증이 있을 때 심박동변이가 감소하였다. Background: Metabolic syndrome (MS) increases the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Heart rate variability (HRV) represents autonomic function and reduced HRV significantly increases cardiovascular mortal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each of the MS component is related to HRV indices. Methods: We analyzed 592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routine health check up from February 2002 to October 2004. We measured their metabolic components and evaluated the relationships of MS and HRV indices. Results: Entire sample was divided into 5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tabolic compononets. All results were adjusted for gender, age and mean heart rate. As increasing the number of metabolic components, SDNN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RR intervals) was decreased (P for linear trend = 0.03) and LF/HF (low frequency/high frequency)was increased (P for quadratic trend = 0.01). Paticularly in men, obese group has statistically higher LF/HF than non-obese group (P = 0.0002). In women, hyperTG (Triglycerides) group has lower SDNN comparing to normal TG group (P=0.04). Conclusions: Metabolic syndrome adversely affects cardiac autonomic control and a reduced cardiac autonomic control may contribute to the increased risk of subsequent cardiovascular events in individuals who exhibit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후보

        시험스트레스에 따른 심박동변이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명애(Myung Ae Kim),김나현(Na Hyun Kim),권영숙(Young Sook Kwon),이경희(Keung Hee Lee),박선영(Sun Young Park),정기삼(Kee Sam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시험 스트레스에 의한 자율신경계 활동 정도를 심박동변이를 측정함으로써 파악하고, 심박동변이의 각 지표와 시험에 대한 불안과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시험 스트레스와 자율신경계 간의 연관성을 파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자율신경계 활동은 심박동변이로 측정하고, 시험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은 시험불안측정도구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간호학과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평소 안정 상태, 시험기간 중, 시험종료 직후의 세 시점에서 심박동변이를 측정하였고, 시험불안정도는 평소 안정상태에서 평소 시험불안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점 별로 심박동변이 지표를 비교하고, 시험불안정도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심박동수, LF norm, LF/HF ratio는 시험 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험 종료 후에도 높은 상태가 계속되었다. RMSSD, HF, HF norm은 시험기간 동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시험 종료 후에도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시험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박동변이의 각 지표들은 시험불안점수와 상관관계를 보여 심박동변이는 시험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art rate variability (HRV) measurements is a non-invasive technique that can be used to assess autonomic function, especially the balance between sympathetic and vagal ac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utility of heart-rate variability (HRV) analyses as a means of quantifying autonomic regulation related to academic examination stres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of HRV with anxiety in nursing students. Autonomic function was assessed by heart rate variability and examination stress was assessed by Test Anxiety Inventory. There were three HRV data collections: baseline, during examination period, and after examination period. Analysis showed that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timing (RMSSD, p<.05), high frequency (HF, p<.05), and normalized HF (norm HF, p<.05) of the HRV was observed, and a significant increased in the heart rate (p<.05), normalized low frequency (norm LF, p<.05), and the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ratio (LF/HF %). Majority of the changes continued after the examination period.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HRV indices and Test Anxiety Inventory scores only during examination period. HRV can be a useful tool in assessing the role of autonomic nervous system fluctuations in healthy individual under stressful situations. (Korean J Str Res 2010;18:11∼1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