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교적 교회를 위한 평신도 은사 활용

        정기묵 ( Ki Mook J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2 복음과 선교 Vol.18 No.-

        God wants to save the world through the Church which is the body of Christ and wants his reign over the earth as well. The spiritual gift (charisma) that we have received must be used not only within the Church, but also in the World as well for God`s holy purposes. The Korean Church has been interested in discovering spiritual gift (charisma) through various different means and developing them. But we must confess that the training and the usage of these spiritual gift (charisma) have been mainly for the ministries within the Church, The source of this problem lies within the pastors and not the congregation. If the pastor who knows about the importance of world evangelism but is only focused on the growth of his church, then it is because he has not truly realized this to be a part of Jesus Christ`s true reign over the earth, As a result, his church grows but the growth loses its balance in the fact that it has not resulted in a sound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the church. If the local church cannot embrace the local society and keep a healthy relationship, then the growth and the impact of the church will naturally diminish, A Christian must serve and live a life as a worshipper but at the same time, he must live a life serving and volunteering in the local society, That is correctly understanding the will of God who has given the spiritual gift (charisma) to the Christian. And when this is accomplished, a Christian can truly live a life with Christian pride and contribute in the growth of the Church as well.

      • KCI등재

        사이버세대를 향한 전도

        정기묵(Ki Mook Jung)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오늘의 젊은 세대의 특징은 디지털환경에서 태어나 다양한 IT기기와 특히 스마트폰을 가지고 현실의 공간과 사이버 공간을 넘나들면서 살아가는 세대이다. 이 글에서는 이 관점에서 오늘 의 젊은 세대를 사이버세대로 지칭하고, 이들을 전도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과 전략이 필요한지를 다루어보려고 한다. 돈 탭스콧(Don Tapscott)은 지금 세대의 결정적 특징을 ‘디지털 속에서 성장하는’ 첫 번째 세대라고 결론을 내린다. 디지털 속에서 성장한다는 말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기의 환경 속에서 그 기기들을 놀이 도구로 삼으면서 성장하는 세대라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에 친화적이며 디지털 기술은 이들의 삶의 한 부분이다. 사이버세대를 위해 어떻게 전도할 수 있을까? 이들을 전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으로 이들을 사랑하고, 예수처럼 이들의 문화 속으로 들어가는 성육신적인 자세와 사이버세대 와 눈높이를 맞추는 낮아짐, 그리고 성령 하나님처럼 사이버세대와 함께하고 소통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사랑해야 한다. 사도 바울의 가르침처럼 사랑이 없으면 그 무엇이라도 아무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사이버세대가 이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생각을 나누는 가장 거대한 공간이다. 이들을 전도하기 위해 서는 이런 사이버 공간을 무시해서도 놓쳐서도 안 된다. 사이버세대를 위한 전도는 네트워크화 하여 선교단체, 개교회, 교단이 연합하는 프로그램을 협력하고 개발해야 한다. 예를 든다면 한 지역 단위 프로젝 트를 기획하고 자원과 경비를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거기에서 알게 된 사이버세대들을 각각의 교회가 연결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양육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사이버세대들은 스마트폰을 거의 몸에서 떼어놓지 않는다. 스마트폰은 몸의 일부분이나 마찬가지다. 사실 이런 상황은 좋은 것도 있지만 해악도 그만큼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모순 같지만 장점을 살리고 약점은 보완하는 수밖에 없다. 사이버세대가 이만큼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스마트폰을 통한 전도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전도의 접촉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사이버세대를 위한 적극적인 전도전략도 중요하지만, 기독교인 사이버 세대를 보호하고 지키는 전략도 필요하다.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oday’s young generation is born in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ir ease in crossing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cyber space with their various IT devices and smart phon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terms today’s younger generation a ‘cyber generation’ and seeks to explore methods and strategies necessary to evangelize them. Consider today’s young person walking down the street. They have a smart phone in one hand and a take-out cup with a drink in the other hand. The cyber generation cannot put down their smart phones because all necessary knowledge,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can be accessed with this one device. A smart phone is part of the culture of the cyber generation, and even a physical appendage. The take-out cup containing a beverage is a kind of representation of communal identity. Just as in the past jeans were considered the uniform of youth culture, the take-out cup works as a symbol. With this cup in one hand, they feel a sense of unity with others in their consumption of the same culture. How can we evangelize to the cyber gener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vangelizing them is to love them with the heart of the Father God, and to enter into their culture with Jesus’ incarnational posture, humbling ourselves to see from the cyber generations’ point of view. It is to communicate with the cyber generation just as the Spirit of God does. Above all, we must love. As Apostle Paul taught, without love, all is for noth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SNS) is a vast space where the cyber generation communicate and share their thoughts. To evangelize this generation, such cyber space should not be ignored or passed by. Evangelism to the cyber generation must be networked, where the mission organizations, individual churches, and the denomination must unite to collaborate in developing programs. For example, a project is planned on the regional level, and resources and funds are pooled to proceed with the programs. The cyber generation contacted through these programs must be connected to individual churches for sustained contact and fostering. The cyber generation rarely lets go of their smart phones physically. Their smart phones might as well be a part of their body. While there are benefits to this situation,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also a considerable amount of harm. Then what must be done? It seems paradoxical, but there is nothing but to enhance the positives and supplement the negatives. The fact that the cyber generation is so highly dependent on their smart phones means evangelism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be conducted through smart phones, in ways that these devices may be used as evangelical contact points. Also, while an assertive evangelism strategy is necessary for the cyber generation, there also must be a strategy to protect and sustain the existing Christian cyber generation.

      • KCI등재후보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한국 교회 선교의 방향 -과거의 교훈으로부터 배우는 미래의 전략 -

        정기묵 ( Jung Ki Mook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1 No.-

        협력을 위한 네트워크는 선교 현장에 어느 날 갑자기 출현한 과제가 아니다. 사용하는 단어가 달랐을 뿐이지 언제나 있었다. 필자는 앞으로 한국 교회 선교가 지향해야 할 협력 네트워크 전략을 탐구하면서, 실은 이 문제가 오래 전부터 논의된 사항이었으며, 어떤 의미에서는 우리가 이미 문제와 답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오늘날에는 협력이나 연합, 일치 등의 단어보다 네트워크라는 말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과거의 협력과 소통이 시간과 물리적 공간의 한계 속에서 대부분 사람과 사람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면, 네트워크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게 된 오늘의 상황은 선교에 있어서 전지구적인 협력을 필요로 하고, 특히 IT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매개체로 하여 협력과 소통을 이루어가며, 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극복하는 협력 네트워크의 형성이 오늘날의 관계적 패더라임을 설명하는데 적절하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오늘의 시대에도 역사를 주관하시고 우리의 삶과 사역에 개 입하고 계신다면, 지금 한국 교회의 상황도 하나님께서 이끄시는 것이고, 하 나님의 허락과 다스림 안에서 이루어지는 일이다. 하나님께서는 오늘의 교 회 상황을 통하여 우리에게 계시하시고 우리가 잘못하고 있는 것들을 바로 잡기 원하신다. 협력 네트워크 선교는 선교를 교회와 선교 단체 중심에서 하 나님 중심으로 옮기는 것이다. 선교사 자신에게가 아니라, 하나님께 이방인을 제물로 드리고(롬 15:16), 오직 그 분께서 영광을 받으시는 것을 기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하나님의 선교의 동참하는 모든 이들을 경쟁자가 아니라 동역자로, 나아가 그리스도 안의 한 가족으로 인정하고, 한 아버지 아래에서 형제가 서로 연합하여 그 아름다움을 하나님께 보여드리는 것이다(시 133:1). The topic of collaborative network did not appear in missions overnight. The term might be relatively new but it has always existed in practice. In the process of exploring collaborative networking strategies for the future of missions in the Korean church, I found that the issue has already been discussed for some time, and in some sense the questions and answers are already at given. But why in today`s society is the term network highlighted more than other similar words such as cooperation, coalition, or consensus? In the past cooperation and exchange was generally reached through face-to-face interactions within the confines of time and space. Today`s context demands global scale cooperation using the networking medium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to further construct collaborative networks that breach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us the term network is most suitable for explaining today`s relational paradigm. If God continues to be sovereign over today`s history and is intervening in our life and ministry, the state of the Korean church today is also under God`s guidance, unfolding according to God`s will and governance. God speaks through the state of the church today to reveal our faults and lead us to the right path. Collaborative network mission shifts the center of mission from either the church or the mission organizations back to God where it belongs. Such mission presents the offering of the Gentiles (Romans 15:16) not to the missionaries themselves but to God, and rejoices in glorifying God alone. It considers all wh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God not as rivals but as co-workers and members of one family in Christ. It is to show God how very good and pleasant it is to when kindred live together in unity (Psalm 133:1).

      • KCI등재

        협력을 위한 선교 네트워크 소고

        정기묵(JUNG, KI MOOK)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네트워크’는 원래 사물이나 사람을 상호 연결한 모양을 나타낼때 사용하는 용어다. 네트워크란 말은 이미 인간 사회에 있었던 것이지만 정보화시대에 접어들면서 어느 순간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오늘의 시대에 더욱 네트워크가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는 세계선교의 환경 변화와 불확실성 때문이다. 둘째로, 선교를 위한 자원과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오늘의 선교는 한 교회나 교단, 선교기관의 독자적인 힘만으로는 이루어갈 수 없다. 셋째로, 사역 방식의 변화 필요성 때문이다. 미래의 조직은 모든 조직체에서 사역에 대한 영역이 세분화되고, 각 영역에 임명된 책임자가 모든 것을 계획하고 진행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물리적 네트워크의발달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가속화시킨다. 넷째로, 사람들의 살아가는 형태가 점점 더 도시화, 네트워크화 되기 때문이다. 도시는 인간의 미래뿐만 아니라 세계선교를 위해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도시의 다양한 사역을 위해서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선교를 위한 일치의 필요성 때문이다. 선교를 주도하시는 분은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며, 선교는 그 하나님의 구원계획을 이루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선교는 교회나 선교사의 목적을 앞세우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목표, 즉 하나님의 선교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하여 서로 협력하고 소통해야 한다. 이런 선교 네트워크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은 무엇일까? 첫째는 공통의 비전 설정이다. 선교사들은 개인 혹은 한 지역에서 사역에 익숙하다보니 거의 모든 초점이 개인이나 자신의 지역에 맞추어져 있다. 네트워크 사역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서로 추구하는 비전을 공유하고 하나의 목표에 사역 방향을 조율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둘째로 지금까지의 선교 정책은 지역적이었다. 선교사는 어느 지역을 위해 파송되고 그 지역을 넘어설 수 없었다. 탈 지역적 네트워크 선교를 위해서는 행정 구조의 발상을 바꾸어야 한다.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선교사 운영 규정을 바꾸어야 한다. 셋째는 개인적인 노력에서 협력을 위한 네트워킹이다. 선교사 개인을 넘어서서 교단, 선교단체, 지역교회가 서로 공유하고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Network comes from the term that describes a shape which connects objects and persons to each other. The concept of networking has long existed in the human society, but enter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the term is mentioned much more often. Why is networking so much more emphasized in our age? First this is due to the changes and instabilities in the world mission environment. Secondly, networking is a way to maximize the effects of missions resources and opportunities. Today's mission cannot be achieved by the resources of the individual church, denomination, or mission organization only. Thirdly, there is a need for a shift in missionary method. Organizations in the future will be entirely structured according to specialization where appointed directors will plan and proceed with all tasks in their specialized domains. Especiall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ccelerates the process of networking. Fourth, human habitation is increasingly urbanizing with its concentrated networks. The cities will be crucial cites not only for the future of humanity but for world mission. Networking is necessary to do various types of ministries necessary in urban areas. Finally, networks are important mostly because of the need for unity for the mission of God. The Trinitarian God is the one who leads the mission, and the mission is to actualize God's plan of salvation. Therefore missions is not to push for a church's or a missionary's aims, but to collaborate and communicate together under the common purpose of God's mission. What are necessary the elements for such missionary network? First a common vision must be set. Missionaries are mostly focused on individuals and their local regions with which they are most familiar.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networks in ministry, we must go through a process of first sharing individual visions hen fine tuning our ministry directions toward a common goal. Second, missions strategies so far have been regional. Missionaries were sent to specific regions, and they could not go beyond its bounds. For post-regional network missions,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must be reframed. The operational regulations for missionaries must be changed to allow them to work within a global network. Thirdly, there must be a shift from individual efforts to networking for collaboration. An attitude of sharing and cooperation that goes beyond the individual missionary, denomination, mission organization, and the local church, is necessary.

      • KCI등재

        특집 : 로잔복음화 운동과 한국교회 ; 제3차 로잔대회의 케이프타운 서약에 나타난 미디어 선교와 한국 교회의 전략

        정기묵 ( Ki Mook J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3 복음과 선교 Vol.22 No.-

        On December 1625, 2010, the Third Lausanne Congress of World Evangelization, cohosted by the World Evangelical Alliance (WEA), was held in Cape Town, South Africa. There were 4,200 participants from 198 countries from around the world, and it was the largest gathering of evangelical Christians in recent history. The Congress was broadcasted all over the world for participation, and the videos were uploaded to YouTube and iTunes in the aftermath to share all the content with the interested peoples who could not attend the Congress in person. In such ways, this was a technologically advanced gathering, seen in terms of media mission. The Cape Town Commitment (CTC) published in this Congress is organized in two parts: a confession of faith and a call to action. The former is the theological basis of agreement, which is entitled “For the Lord we love: The Cape Town Confession of Faith”. The latter lists action steps that contain rationales in prioritization as well as methods of realization. The title of this second part is “For the World We Serve: The Cape Town Call to Action”. The Preamble of CTC expresses a good summary of the content in the two phrases “the realities of change”, and “unchanged realities”. “The realities of change” identify rapid changes in “the way we live, think and relate to one another”. For better or for worse, we are influenced by globalization, the digital revolution, and the changes in political and economic balance of pow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unchanged realities. The biblical expression of basic human condition of depravity has not changed. The CTC asserts that “we stand under the just judgment of God in our sin and rebellion, and without Christ we are without hope”. The gospel is still the good news, and in Christ alone is hope. For this, it is affirmed that the Church must continue its mission. Therefore, for the mission of God to continue in this age, the “unchanged realities” must be brought into the situations of “the realities of change”. For this cause, Cape Town Commitment`s second part articulates more specified and advanced action steps than in the 1974 Lausanne Covenant. Here, the focus will be on the sections that expressly concern media mission.

      • KCI등재

        로잔운동의 관점에서 보는 젊은이 세대 전도 -LOP No.52“12/25 젊은이 세대 전도”가 제시하는 대안의 관점에서-

        정기묵 ( Jung Ki Mo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5 No.-

        1984년부터 5차에 걸쳐 30년 동안의 한국인의 종교를 분석한 한국갤럽의 보고서에 따르면, 종교인의 비율은 4차인 2004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10년간 종교인 비율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 청년층의 종교인구 감소에 있다고 지적한다. 그런데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는 것이 다만 한국 교회만의 문제는 아닌 것 같다. 데이비드키네먼(David Kinnaman)은 미국인을 대상으로 교회의 출석률과 참여율을 조사하고, “18세부터 29세까지는 교회 출석이라는 면에서 블랙홀”이며 대부분의 교회에서 이 나이 대는 ‘행방불명’되었다고 한다. 키네먼은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를 분석하면서 먼저 한두 개의 ‘큰 이유들’ 때문이 아니라 이들이 교회와 분리되는 데는 좌절, 실망, 관점 등의 복잡한 이유가 뒤엉켜 있었다고 한다. 로잔의 문서가 직접적으로 젊은이들의 교회 이탈을 분석한 자료는 없으나, 로잔의 문서 가운데는 어린이 세대와 젊은이 세대에 관한 복음 전도를 다룬 주요한 문서들이 있다. 여기에서는 먼저 젊은 세대가 왜 중요한 지를 언급한다. 오늘의 젊은 세대는 통제할 수 없는 에너지와 높은 창의력을 가진 세대이며, 이들은 실존적 질문을 가지고 있고,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의심할 여지가 없이 그들은 앞으로 우리의 교회들을 인도할 세대라는 것이다. 하나님 아버지가 하시는 일들을 알고자한다면,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 안으로 젊은이들을 끌어들이는 것에 우선권을 두어야 하며 그리고 그들을 제자로 만드는 훈련을 해야 한다. According to the Korea Gallup Report on religious affiliations conducted five times since 1984 spanning 30 years, the proportion of those who adhere to a religion has been on the decline since the fourth survey in 2004. The most rapidly declining age group in the past ten years has been the young adults. But it seems the phenomenon of young people leaving the church is not unique to the Korean church. David Kinnaman surveyed the rate of church attendance and participation in the United States, observing that cohorts ages 18 to 29 is a “black hole” in terms of church attendance, and most in this age group is missing-in-action. From Kinnaman’s analyses, he primarily concludes that most young adults leave the church not because of one or two major reasons, but due to a complex amalgamation of discouragement, disillusionment, and perspectives. The Lausanne Movement has no official document concerning the young adults leaving the church. But among the Lausanne literature are major statements concerning evangelism to the children and the younger generation. These documents first mention the significance of the younger generation. Today’s generation has limitless energy and a high level of creativity. They pose existential questions and have enormous potential. It is also without doubt that the young adults make up the generation which will lead our churches in the future. If we truly seek to know the will of God the Father, then we must place our priority on bringing the young people into the kingdom of God and teaching them to become Jesus’ disciples.

      • KCI등재

        교인들의 선교 이해에 관한 연구

        정기묵(Ki Mook Jung)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1 No.-

        한국교회의 선교가 파송 숫자에 관심을 가지는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변화를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어떤 의미에서 긍정적이다. 한국교회의 선교가 세계 교회와 협력하면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당연히 그렇게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선교는 당연히 선교사의 노력과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이름도 빛도 없이 기도와 시간과 헌금을 드려서 선교를 도운 교인들의 열심히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앞으로의 한국교회 선교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성도들이 선교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성도들의 선교에 대한 인식이 건강하다면, 위에서 언급한 ‘질적인 개선으로의 변화’의 시도가 그래도 희망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선교의 모판이라 할 수 있는 성도들의 선교 이해부터 성경적·선교적인 건강한 선교관으로 바꾸는 사역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설문을 통해 알게 된 것은 한국교회 교인들의 선교에 대한 이해도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것은 한국교회가 질적인 선교 변화로 바뀌기 위한 여력이 아직은 있다는 긍정적인 표시로 여겨진다. The world mission of Korean churches is recently changing from quant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growth. This change is positive in a sen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should cooperate with the world church to accomplish the mission of God(Missio Dei). Until now, missions were possible because of the efforts and dedication of the missionaries. However, it was simultaneously made possible thanks to the hard work of the members who helped missions by giving prayers, time and offerings without any reward. In this regard,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Church Mission in the future should be reoriented, with a focus on how the church members understand mission abroad, in order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that God wants. If their majority perception of mission is healthy and sound, the attempt to change into qualitative improvement stands valid with hopeful future. If shortcomings are detected, we should reconsider our ministry policy in such a way that transforms the congregation’s understanding of mission to match up with the biblical ideal. The questionnaire survey reveals that Korean church members’ understanding of mission is highly positive and proactive in their basic disposition and expectation. This is a hopeful sign that indicates a high potential to change into a qualitative mission.

      • KCI등재

        창의적 선교학 수업을 위한 연구 -Flipped Learning을 응용한 토론식 수업

        정기묵 ( Ki Mook J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5 복음과 선교 Vol.32 No.-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고 이를 기억하고 이해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배운 지식을 가지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가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시대가 되었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통한 표준화된 지식의 전달을 무시할 수는 없으나 미래를 준비하고 개척해 나가는 소양을 키우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바탕을 둔 문제 해결 능력과 협동 능력이 강조되는 시점이다. 특히 선교학 수업에서는 변화하는 환경과 시대 속에서 어떻게 선교할 것인가가 중요한 시점이다.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목회와 선교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지식의 전달도 중요하지만, 이미 알려진 지식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가올 일을 예측하고 준비하게 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창의적 결과물이 요구되는 대학원 도시 선교 과목에 역전학습을 응용해 본 것이다. 하지만 이슬람 선교와 같은 창의적 선교 사역을 위한 수업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역전학습(Flipped Learning)은 강의 내용을 수업이 시작되기 전에 미리 학습하고, 교실에서 학습 내용을 확인하거나 활동 학습을 하는 참여형 수업이다. 이와 같은 전환을 통해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고 학생들의 창의력과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방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역전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이 필요한 지식을 수업 전에 익히고, 수업에서는 보다 창의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진행해보았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는 지금의 시점에서 수업은 얼마나 나은 지식을 기억하도록 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자기에게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찾아서 활용하는가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 교수와 학생 그리고 학생 간의 상호작용적 소통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방적인 전달 수업이 아니라 서로 토론하고 협력하는 수업이 필요한데, 물리적으로 이와 같은 시간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역전학습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역전학습은 상호작용과 협력의 기회를 만들어냄으로써 소통과 협력하는 수업을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With the emergence of a knowledge-based society, the education paradigm is changing. Today one must go beyond simple communication, recall, and understanding of knowledge, to diverse application of the learned knowledge. While the traditional methods of communicating standardized knowledge cannot be discarded, the future calls for more emphasis on problem-solving and collaborative skills based on creativity. Especially in missiology classroom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methodology of missions in the midst of changing contexts an times. To prepare for future ministry and missions in step with ever-changing times, it is necessary to move beyond knowledge sharing to build up the capacity for knowledge collection, analysis, and prediction. This study is a case of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y in a graduate studies course on urban missions, a setting that calls for creative output. Such instructional strategy would also be applicable to other courses that call for creative missions strategy, such as missions in Islamic countries. Flipped Learning is a participatory instructional strategy in which learners study the contents of the lecture before the course hours. When gathered in the classroom, the learners then review the learned contents and focus on application activities. Through such switch in order, instructors and students gain more interaction time. It also encourages greater creativity and diversity in learners. For this research the instructor put he Flipped Learning methodology in trial by having the students learn the necessary knowledge beforehand, and engaging them in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course hours. Todays as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struction is not about having the learners retain better knowledge, but about teaching how to research and utilize necessary information. This calls for reciprocal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among the students themselves. This in turn requires discussion-style, collaborative instructional strategy instead of one-way information delivery. Flipped Learning was found to be a practical alternative in making such temporal space possible. Flipped Learning makes space for reciprocal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ma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possible in instructions.

      • KCI등재

        가족을 교회로 인도하기 위한 전도 방안 연구: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정기묵(Ki Mook J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9 No.-

        한국교회는 사회적으로 기독교 국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교인들 가운데는 전도를 받아서 교인이 된 경우도 많이 있다. 그런 경우에는 가족 가운데 아직 예수를 영접하지 아니한 가족들도 많이 있다. 그리고 가족이 같이 교회를 다니며 신앙생활을 했지만, 지금은 교회를 출석하지 않는 그리스도인들도 있다. 가나안 성도라고 일컬어지는 자신이 다니던 기존 교회를 떠난 이들은 어떤 의미에서 한국교회의 아픈 손가락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이 다니던 교회를 떠나 가나안 성도가 된 것이 그들의 문제라기 보다는 한국교회가 가진 구조적 문제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우리가 전도해야 할 대상을 먼 곳이 아니라 먼저 관심을 기울여야 할 대상을 우리의 가족으로 보고, 어떻게 하면 같이 신앙생활을 하지 못하는 우리 가족을 전도할 것인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교회에 나오는 가족이 자신들의 관점에서 두 유형의 가족을 교회로 인도하기 위해 바라는 것은 목회자와 교회 문화의 변화이다. 결국은 목회자와 교회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집단의 설문을 통한 분석이지만 두 가지 유형의 교회에 나오지 않는 가족에 관해 전도의 접촉점으로서 그들의 상황을 파악해보았고, 두 유형을 전도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시도도 필요하지만 두 집단의 다른 점을 주목해보면서 먼저는 교회가 이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변화되고 갱신되어야 하고, 대상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필요중심적 전도가 필요함을 알게 한다. Since the Korean church was not a Christian country in society, many church members were evangelized and became members. In such cases, many families have not yet received Jesus. There are also Christians whose families lived together and attended church, but now some of them do not attend church. Those who have left their existing churches, called Canaanite Saints, are in some sense the sore fingers of the Korean churches. This is because leaving the church they attended and becoming a Canaanite saint is not the result of their problems but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This study attempted to see our family as an object that we should focus on first, not other people around us, but to find out how to evangelize our families who do not live together in faith. It is a change in pastoral and church culture that families in the church desire to bring both types of families to the church from their perspective. Eventually, the pastor and the church must be changed. We analyzed their situation as a contact point of evangelism for small groups, but they did not appear in both types of churches. Make sure that the church needs to be changed and updated to accommodate them, and needs-based evangelism is needed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 objects.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와 미디어 선교

        정기묵(Ki Mook Ju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미디어는 인간과 인간을 이어주는 도구로 인간의 삶 속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탄생하고 발전되었으며, 기독교는 이와 같은 미디어를 복음전도와 선교의 도구로 사용하여 왔다. 인간을 죄악의 삶에서 영생으로 인도하는 구원은 당연히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이지만 그 구원의 길은 성경이라는 미디어를 통해 인간에게 계시되었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에서 믿음은 들음에서 나며(롬 10:17), 전파하는 자가 없이 어찌 들을 수 있느냐(롬 10:14)고 반문한다. 듣지도 못한 이가 믿게 되기까지는 그 시초에 전파하는 자라는 매개체(미디어)가 있었으며, 이를 통한 들음에서 믿음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인간의 구원을 위한 복음전도와 선교의 역사는 어떤 방식으로든지 미디어와 늘 함께 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을 구원하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메시지가 담긴 성경과 그 복음은 이 시대에도 변하지 않는 것이지만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디어는 변화하고 있다. 더욱이 미디어의 형태가 아날로그 기반에서 디지털 기반으로 바뀌고, 아울러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결합은 뉴미디어라고 통칭하는 과거와는 전혀 다른 미디어의 시대를 열었다. 인터넷의 출현과 스마트 기기의 발달은 우리를 지금까지 아날로그 시대의 미디어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미디어의 시대로 이끈다. 따라서 이 시대에 적합한 선교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을 이해하고 지혜롭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미디어 선교란 무엇일까? 통전적인 성경적 세계관을 통해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전통적인 미디어와 기성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의 상호작용을 위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용도를 개발하여 선교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모든 미디어는 세상에 출현하여 인간 소통에 유익한 점이 발견되면 새로운 미디어가 출현하더라도 사라지지 않고 인간의 삶 속에서 각각의 영역을 구축해왔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모든 미디어를 아울러 미디어가 가진 특성과 장점을 잘 파악하여 복음전도와 선교에 활용하는 것이 미디어 선교라고 볼 수 있겠다. 미디어를 통한 선교가 앞으로도 효과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은 변화의 물결을 잘 수용하되 본질을 잃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먼저 우리는 이 시대의 미디어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그것이 우리의 삶과 문화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를 잘 살펴보아야 한다. 동시에 우리는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본질을 더 든든히 하고 확실히 해야 한다. 우리가 변화하고 발전하는 기술문명과 경쟁하려고 하면 절대 이길 수 없다. 사실은 겨룰 필요도 없다. 이 시대가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것은 온전한 복음이다. 오늘의 시대를 정보시대라고 일컫지만 아무리 인간의 지식과 지혜가 발달한다고 하여도 육에 속한 사람은 구원에 이르는 지혜를 발견할 수 없다. 오늘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눈높이에 맞는 전달방법이 필요하기에 이 시대의 미디어를 연구해야 하지만 그것에 집중하다가 정작 중요한 복음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