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교실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한 일(활동)을 바탕으로 초등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9명의 초등교사가 자신의 교실에서 개발한 교육과정 사례(총 9사례)를 수집하고, 사례에 대해 3번 면담을 수행하여, 사례연구리뷰(case study review)를 수행하였다. 이에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다음과 같이 탐색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하는 일/활동 목록, 총 234개 추출하였다. 둘째, 각 목록을 다시 교사가 발휘하는 능력으로 재진술하고, 이를 3개, 결정력, 창안력, 조정력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로 32개의 요소를 탐색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urriculum literac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ir work (activity) when developing classroom-level curriculums. To this study, it was collected nine units they developed curriculum in their classrooms and interviewed three times on this case. Using this case and the interviews with the cases as research data,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review. Thu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explor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34 activity-lists were extract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eveloping their curriculum. Second, each list was re-examined with the ability of the teacher, categorized into three, decision-making, creativity, and coordination, and explored 32 elements for each category.

      • KCI등재후보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대비 역량 중심 교과 통합수업 설계 방안 제안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7 No.3

        이 연구는 수업의 관점에서 최근 역량에 대한 논의와 중학교에 도입하고자 하는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검토하고, 자유학기제 동안 도모할 수 있는 중학교 수업의 변화를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통합수업 설계?운영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자유학기제와 역량을 학교교육에 반영하고자 하는 요구는 궁극적으로 교과를 가르치고 배우는 학교의 수업이 바뀌어야 한다는 요구를 의미했다. 특히, 수업의 변화는 크게 거시적인 수업의 구조 등을 바꾸는 수업의 형태변화와 학생이 참여하여 주도하는 수업의 방법 변화라는 미시적인 변화 두 길을 논의하였다. 이에 중학교 교사는 몇 개의 교과를 통합한 수업을 설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고찰하고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중학교 교사가 자신의 교과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 축약형 수업을 하고 뭔가를 반영할 수 있는 여유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가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 축약형 수업으로 확보한 시간을 이용하여 교과+역량 통합수업을 설계운영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수업의 시간 구조를 다양한 블록타임 형태로 조정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 교과에 주어진 일부의 시간을 타 교과와 연계?통합한 팀티칭, 코티칭 형태의 수업을 설계 운영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2-3 교과 1팀이 되어 각 반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위한 교사조직의 변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approaches to design and imple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For this, to the view points of school instruction, it was reviewed Free Learning Semester in Korea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Quite recently, all of those are requested changes of school instruction that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subject fragmented. In this study, it advise three suggestions; First, secondary school teacher have his or her subject shortened. And they can do something at their spare time in Free Learning Semester. For this,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 to support them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Second, After shortening regular classes, they could design some spare lessens that contain competencies. To support these instructions, school time table should reorganize an current (a hour and 45 minute for one subject) instructional time system to block time. Third, Secondary teachers should be interdisciplinary team, they can team-teaching or co-teaching several subjects together. For this, teacher`s organization in middle school would be small learning communities (A team consist 2 or 3 subject teachers).

      • 초등 통합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반성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 교과서의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것이다. 이를 위해서 외국의 1, 2학년 용 교과서들의 일러스트레이션 대비 현행 초등학교 3개의 통합 교과서,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의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을 겉표지, 속표지, 목차, 단원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과서 표지는 교과서 같은 이미지를 넘어서는 일러스트레이션이, 둘째, 보다 기능적인 속표지 일러스트, 셋째, 목차는 교수와 학습 모두에게 유용한 교과서로서의 목차 일러스트를 추구 할 필요가 있었다. 넷째, 통합교과서의 단원은 단원 학습의 주제 도입과 마무리를 명시적으로 일러스트하는 것, 마지막으로 저학년 교과서의 표현이 전반적으로 학생의 취향을 고려하되, 학습의 방법, 절차, 안내를 단적으로 세세하게 표현하는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flection view-points on better illustration of integrated subject-matter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compared Koreans with foreign countries` text books for grade 1, and 2. which are USA, UK, Japanese, Franches, Germans Singapore, Pakistani. The comparative reference are cover design, the front page, the contents table, and chapter folding. By the consequence, first, the cover design of text book have to overcome image as like subject-matter. Second, more functional front page needed. Third, the contents table as a text book have to more useful illustrate for all of teaching and learning. Forth, the opening and ending section must clearly be expressed in the integrated-text-book. Final, we have to think the intention of illustration of text book for grade 1 and grade 2 reflected student interests and learning steps, method, procedures, and introduces of learning and teaching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초등통합 교과서 개발 과정 기술

        정광순 ( Kwang Soon Jeong ),박채형 ( Chae 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7 No.2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용 도서 편찬(교과서와 지도서 개발) 과정을 세 단계, 1) 공모 단계, 2) 개발 단계, 3) 공급 단계로 기술하였다. 첫째, 공모 단계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주관으로 편찬위와 발행사를 공모·선정하고, 심의회를 구성하는 단계였다. 통합교과의 경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와 ‘한국교원대학교’ 컨소시엄 형태로 응모하여 선정되었고, 발행사로 ‘지학사’(주)가 선정되었다. 공모 단계에서 교육과학기술부와 편찬위는 교과용 도서 편찬에 참여할 위원을 보완·조정·확정하고, 응모시 제출한 편찬 계획서를 보완·조정·확정하였다. 또 교육과학기술부는 발행사를 공모·선정하고, 심의회를 구성하여 편찬위의 교과서 및 지도서 개발과정에 공조·지원하였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는 교과서 및 지도서 원고 집필?집필한 원고 제작·편집·제본?제본한 도서 심의?심의한 도서를 수정하였다. 편찬위는 교과서와 지도서에 대한 원고를 집필하여 기획연구진의 검수를 거쳐 원고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발행사의 지원을 받아 집필한 원고의 내용을 사진, 삽화 등 게재물로 제작하였다. 발행사가 편집, 제본·인쇄하여 심의본을 만들고, 심의본을 대상으로 편찬위에서는 36명의 연구진 검토를 받았고,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1명의 심의진의 심의 절차를 밟았다. 심의 및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편찬위에서는 집필원고를 수정하고, 발행사는 수정된 원고를 다시 제작·편집하였다. 이 과정이 원고본?실험본?수정본?결제본 네 과정이 1학기와 2학기로 나눠서 동시에 수행되었다. 셋째, 공급 단계에서는 교육부장관의 결재를 받은 결제본을 발행사가 인쇄·출판·보급하여 단위학교에 공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procedure and process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based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textbook committee was the members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development process can be classified with the 3 stages; public competitions stage, development stage, and publication stage. First Stage is public competitions. Ministry of Education made the Text book developing known to the public.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urriculum Integration made a selection of th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developing agency. As they submitted the plan of text book development. They come to reach an agreement with ministry of education. Then the plan and committee can be fixed. At last, Jihac Ins. was collected as the Publishing agency. Second stage is text book developing. This can be processed; The manuscript versions?The temporary versions?The modify versions?The publication versions. All of the procedure is carrying a set of works into execution. Writing(teachers as text book writers hand) and checking the text book?illustrating and editing the text book?deliberative council?modification?completion Last stage is publish and supply the text book to all elementary schools. From 2013, all of the students in school will use the newly made text book.

      •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 탐색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주제 중심의 초등통합교과 교육의 구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4차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에서 통합교과교육이 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 2학년에 통합교과서 및 통합교육과정을 도입한 궁극적인 이유는 `주제` 중심의 일상적인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둘째, `주제` 중심의 교수·학습을 구현하기 위해서 교육과정과 교과서 두 차원에서 조처를 취했다. 먼저 2007년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대주제/활동주제 체제로 개발하여 교과를 넘어서 `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 가능성을 교육과정 차원에서 조처하였다. 그리고 교과서는 세 개의 통합교과를 통합 지도 할 수 있는 통합단원을 개발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실에 일정기간 동안 하나의 학습 `주제`가 살아 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Possibility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Based theme. In order to this aims, It was investigated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rom forth to fifth. And this study examined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ildren`s textbook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and subjects was introduced to live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in class. Second, For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the 2007 revised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as developed based themes of children`s life. And Integrated textbook was made integrated units of [Disciplinary Life], [Intelligence Life] and [Pleasant Life] integrating. Third, in future, the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spread this theme based learning an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ing.

      • KCI등재
      •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차기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기저로서 만하임의 지식 사회학,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정체성 연구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지식사회학이 추구하는 지식은 객관과 주관을 상호 연계한 간주관성으로 교육과정 지식 선정의 기저를 제시하였다.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란 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가장 정합성 있는 교과 조직의 형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이웃하는 유치원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하면서도 독자적인 교육과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교육과정이 학생이 교과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과에 호감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관점을 취하며, 따라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이런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동일한 방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이 기저를 중심으로 차기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지식의 간주간성, 상관성을 기저로 지식의 사회적, 집단적, 대중적 협의 과정을 전제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심리사회적 방식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교과의 점진적 조직을 기초로 할 때, 저학년에서는 통합교과형이, 고학년에서는 교과통합형이 적절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을 이를 위해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과, 개인, 사회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원천을 구비하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를 통일할 때,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보다 개선된 형태로 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In order to this aims, this study researc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On the based them, this study suggested two viewpoints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developed on basis the sociology of knowledge,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matter, and school curriculum study. Second, It was a statement of mutual agreement dating with a social, a group, and a mass for the futur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 is appropriated integrated curriculum approach for low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d in higher level curriculum integration approach. Finally,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needs to create a curriculum source study and united the big themes of th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급별 학교교육활동 양상에 기초한 유,초,중등 학교의 교육과정 통합 방식의 경향성 고찰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학교에서 하는 교육활동(주로 수업)이 급별로 서로 상이하다는 경험적 논증을 근거로 유·초·중등학교의 교육활동 및 교육과정 통합 방식을 구분해 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급별 학교교육의 양상을 구별하고 있는 논의를 고찰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각 학교 교육활동 및 교육과정 통합 방식에 대한 주류적 특성을 경향성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급별 학교교육의 양상을 제시한 Whitehead, Egan, Debesse, Dewey의 논의를 중심으로 유치원 교육활동은 ``학생중심``, 초등학교의 교육활동은 ``교사중심``, 중등학교의 교육활동은 ``교과중심``의 경향성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둘째, 각 학교교육활동의 경향성과 탈학문, 간학문, 다학문적 방식을 서로 연계했을 때, 유·초·중등학교에서 주로 접근하는 교육과정 통합의 방식을 구별할 수 있었다. 학생 및 학생의 생활 중심의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주로 탈학문적 접근을, 중·고등 교육은 교과를 기반으로 하는 간학문과 다학문적 접근을 하는 경향이었다. 또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주로 탈학문적 통합 방식 취한다는 점에서 둘은 서로 유사하지만, 교육과정을 통합한 주제를 전개하는 방식에 있어 유치원은 발산적인 방식으로, 초등은 수렴적인 방식을 취한다는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 of Integrating Method in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For this, some studies which are Whitehead(1929), Egan(1979), Debesse(1992), and Dewey(1938) was reviewed. The mode of early childhood`s education was inquired student-centered pedagogical system. The mode of elementary education was inquired teacher-centered pedagogical system. The mode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was inquired subjects matter-centered pedagogical system. Integrating methods also had several approaches as scholars. But these were generally divided by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based on subject, social needs, and students` interests. They are different in integrating aim, integrating objects, integrating methods, and definition of integration. Early childhood`s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were mainly applied to transdisciplinary approaches. based on students` interests.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were mainly applied to multidisciplinary or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based on subjects.

      • KCI등재

        초등학교 STEAM수업 활성화 방안 논의

        정광순(Jeong Kwang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STEAM의 등장 배경으로 본 학교에서의 STEAM수업의 취지와 현재 초등학교에서 하고 있는 STEAM수업의 양상을 기초로 이런 수업을 해 보지 않은 일반학교의 일반 교사들에게로 STEAM수업을 확산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안 밖에서의 융합 동향을 검토한 결과, 융합은 학교 밖 사회 문제 해결, 직업분야의 새로운 산출물에 대한 요구, 새로운 연구 학문 및 연구 분야 의 탄생과 관계가 있었고, 이것은 학교교육에서 S, T, E, A, M 교과를 통합한 통합 수업을 의미했다. 둘째,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목격 가능한 STEAM수업 형 태는 paper형, 교과서 재구성형, STEAM수업 설계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결 과에 기초해서 향후 초등학교에 STEAM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3단계로 나눠서 접근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upport that activates STEAM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1) convergence trends that are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and 2) STEAM class operation modes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viewed.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convergence approach was related to solving the social problems happening outside of schools, demands of new products in career fields and formation of new research study and research fields and it has been headed to the direction that required curriculum integration and integrated classes in school education. Second, STEAM class operation modes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be classified to 1) paper type, 2) Textbook re-composition type, and 3) STEAM design-implementation type. Based on these results, three stages of activation for STEAM classes in school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