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기의 노부모 부양의식 및 부양행동평가와 개인의 노후설계간의 관계성 탐색

        전혜성 ( Jeon Hyeseong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노부모 부양의무 수행`과 `자립적 노후설계`라는 이중적 잣대의 모순적 발달과제를 요청받는 현시대의 중년기들이 갖는 노부모에 대한 부양의식 및 부양행동 평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러한 부양의식 및 평가가 개인의 노후설계라는 현실적 인 과업들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개의 온라인 대학의 재학생 중 중년기에 해당하는 323명의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노후설계 및 부양의식은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부양행동평가 중 보상은 중간 수준, 비용의 경우는 중간수준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둘 째, 노후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전통적 가족관에 근거한 부 양의식은 노후설계 각각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하위영역에 모두 영향력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환적 관점의 실리적인 입장에서의 부양행동평가는 보 상만이 신체적 노후설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배우자유무는 노후설계 전 영역에, 성별은 신체적 ? 정서적 노후설계에, 연령은 정서적 노후설계에의 영향력이 유의 하였다. 이외 월가구소득은 경제적 노후설계에, 자녀수는 신체적 노후설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년기의 균형적인 노부모부양 역할수행 및 자립적인 노후설계에 대한 현안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of the caregiving awareness, caregiving appraisal for middle-aged and their senescent life plans and the effects of caregiving awareness and caregiving appraisal for aged parents of on plans for their senescent life.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1 to June, 2011 and 323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ean score of senescent life plan and caregiving awareness were higher than average and the mean score of caregiving appraisal was a little lower than average. Second, among the main factors, caregiving awarenes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senescent life plan and it was totally related with physical. emotional, economical subscales of senescent life plan. Third, caregiving appraisal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only the physical area of senescent life plan. Fourth, sex, age, marital stat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which have the effectiveness to the senescent life plan.

      • KCI등재

        파괴적·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아동의 가족을 위한 의료가족치료 전략 모색

        전혜성(Jeon, Hyeseong) 한국가족치료학회 2022 가족과 가족치료 Vol.30 No.1

        본 연구목적은 파괴적․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아동의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의료가족치료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파괴적․충동조절 및 품행장애는 정서와 행동에 대한 자기통제가 어렵고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부적응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는 아동의 사회적, 학업적, 도덕적 발달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가족에게 강도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파괴적․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아동의 생심리사회적 치료에 대한 연구는 계속 되어왔지만, 효과적인 가족 접근에 대한 제안은 미흡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괴적․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아동의 특성 및 최근까지 도출된 생심리사회적 치료방법, 가족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료가족치료의 실천 전략을 제안하였다. 특히, 가족과의 개방적 협력관계를 중시한 의료가족치료 전략을 개입의 초기, 중기, 후기 과정에 따른 10단계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충동조절 및 건강한 발달을, 가족의 양육역량 강화 및 건강한 가족체계로의 조정을 지향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medical family therapy strategy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estructive, impulse contro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se disorders make it difficult to self-control emotions and actions and indicate maladaptive behaviors that violate other people s rights or social norms. Research on destructive and impulse control and biosocial treatment of children with behavioral disorders has continued, but suggestions for effective family approaches are insufficient. Methods: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structive and impulse control and behavioral disorders, biosocial treatment methods, family experiences, and medical family therapy. Based on this, a strategy for practicing medical family therapy is proposed. Results: Medical family treatment strategies that emphasize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families were presented in 10 stages according to the early, mid, and late processes of intervention. Conclusions: Applying a medical family therapy strategy, it may be possible to help control children s impulses and to promote healthy development, strengthen family parenting capabilities, and support adjustment to a healthy family system.

      • KCI등재

        상호 정서적 학대로 결혼위기를 겪는 부부의 관계회복을 위한 통합적 부부상담

        전혜성(Hyeseong Jeon)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4

        본 연구는 상호간의 정서적 학대로 결혼위기를 경험하는 부부의 관계 회복을 위해 통합적 부부상담을 진행한 사례연구로서, 내담자 부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가트만 부부치료의 개념 및 기법을 적용하였다. 심각한 정서적 갈등을 겪는 부부는 극단적인 분노를 자해 및 가출 등의 위험한 행동으로 표출하면서 지속적인 언어폭력을 행사하였고, 불안, 불면, 우울 등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였다. 이에 연구대상자 부부의 관계회복을 위해 개별화된 통합적 부부상담을 설계하여 시행하였다. 대략 매 회당 120분으로 총 10회를 진행하였다. 상담의 사전사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초기에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달성을 확인하였고, 변화의 질적 확인을 위해 매 회기마다의 내용을 녹취 및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부부의 변화에 대해 다각적인 파악을 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결혼위기 진단검사 및 결혼만족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의 점수 변화도 파악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통합적 부부상담은 부부 간의 신뢰성, 정서조율, 의사소통, 갈등관리, 부부 의미 등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하였고, 결혼 위기 해소 및 결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호 정서적 학대로 결혼위기에 당면한 부부의 부부관계 회복을 위해 통합적 부부상담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use and results of marital counseling for couples exposed to higher divorce risk caused by mutual emotional abuse.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sitive interaction, Gottman Couple Therapy was applied. Method: In this study, ten 180-minute sessions were performed on couples. For qualitative evalu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process-and-change analysis of the transcripts and post-session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lso, for quantitative evaluation, the researcher performed marriage crisis diagnostic tests and marriage satisfaction tests to identify the before-and-after differences of counseling. Results: Couples had improved their trust, emotional coordination, communication, conflict management, and meaning sharing. Also, the level of marriage crisis was lower, and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Conclusions: Integrative marital counseling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model for improvemen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of couples exposed to high divorce risk caused by mutual emotional abuse.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유정(YuJung Jung),전혜성(HyeSeong Je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두 곳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44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46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질문지 21부를 제외하고 총 442부를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자신의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쪽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 자녀의 관계적 공격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부모 중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 자녀의 관계적 공격성에 더 큰 부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은 자신의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아버지 및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을 높이는 부정적 요인으로 제시되어,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을 낮추는데 있어서 청소년 개인과 부모에 대한 임상적 개입이 모두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self-control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 For this purpose,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5 to November, 2015. I left out 21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hich were insincere answer sheets. 442 responses attending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Gyeonggi-do or the metropolitan area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elf-control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 was set as a independent variable.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f the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adolescent’s relational aggression. Self-control also has a significant negative-correlation on the adolescent’s relational aggression. In conclusi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adolescents’ self-control have the effects of o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 KCI등재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와 부부간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강은옥(Eunok Kang),전혜성(Hyeseong Jeon)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2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와 부부간 정서적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3월 25일부터 4월 30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40세-59세에 해당되는 유배우자 기혼남성으로 서울, 경기, 충청도, 강원도 지역에서 수행되었다. 응답이 불성실한 1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여 최종 332부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심리적 위기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자기성찰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둘째,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간 긍정적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부간 부정적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심리적 위기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부정적 상호작용이 더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심리적 위기감을 경험하는 중년기 기혼남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자기성찰의 수준을 높이고, 부부간 부정적 상호작용을 낮출 수 있는 부부상담적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risis upon psychological well-being targeting married middle-aged men, and a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and a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emotional interaction in a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Method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eoul, Gyeonggi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and 33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finally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First, 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risis in married middle-aged men upon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Second, a negative (-) impact that the psychological crisis ha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can be considered to be increased more by negative interaction of marital emotional interactions, but the positive interaction of marital emotional interactions did not yiel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Conclusions: Implications of this study’s results stem fro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emotional negative interaction found 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risis up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middle-aged men.

      • KCI등재

        치매노인 주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마음챙김 및 가족지지가 미치는 영향

        김태영(TaeYoung Kim),전혜성(HyeSeong, Je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장기간 치매노인을 돌보는 주부양 가족원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자원을 탐색하고자, 심리적 요인으로로 마음챙김을, 사회적 요인으로 가족지지를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이 주부양 가족원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남부의 4곳의 치매관련 복지시설 24곳을 선정하여 총 300부를 배포하였고 수거된 238부 중 최종 20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마음챙김(p〈.001) 및 가족지지(p〈.01)는 치매노인 주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매우 영향력 있는 심리적 자원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마음챙김은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영역인 문제중심적(p〈.001), 사회적지지추구(p〈.05), 정서중심적 대처행동(p〈.001)에 모두 유의미한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족지지는 주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영역인 문제중심적(p〈.001), 사회적지지추구 대처행동(p〈.05)에 영향을 나타났다. 마음챙김 및 가족지지가 치매노 인을 돌보는 주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유용한 자원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mindfulness and family support on the stress-coping behavior of the primar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Caregiving family of demented senior selected from 24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demented, located in the area of Kyung-gi province were surveyed. Among the 300 survey questionnaires distributed, just 206 were used as final materials. As results, mindfulness(p〈.001) and family support(p〈.01)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the stress coping behavior. Also, mindfulness showed the impact on problem-focused coping behavior(p〈.001), social support pursuit coping behavior(p〈.05) and emotion-focused coping behavior(p〈.001). Family support was the influential factor on problem-focused coping behavior(p〈.001) and social support pursuit coping behavior(p〈.05). In conclusion both of mindfulness and family support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the stress coping behavior of the primary caregiver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KCI등재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구표 ( Hong Kupyo ),전혜성 ( Jeon Hyese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3가지 하위요인인 가족지지, 친구지지, 중요타인지지 각각이 갖는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A대학, 경기도 소재의 B대학, 강원도 소재의 C대학 총 3곳의 대학교 1학년부터 4학년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NS를 이용하지 않거나 응답이 불충분한 설문을 제외하고 총 315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중독경향성 및 가족지지, 친구지지, 중요타인지지 모두 대인관계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는데, SNS중독경향성은 정적으로, 가족지지, 친구지지, 중요타인지지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가족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친구지지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중요타인지지는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SNS중독경향성이 있는 대학생들이 겪게 되는 대인관계문제의 예방과 완화를 위해, 가족과 친구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고 유지시켜 나갈 수 있는 보다 실질적인 개입을 위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of thre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family`s support, friends` support and important others` support i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ale and female freshmen to seniors at three universities, University A located in Seoul, University B in Gyeonggi-do and University C in Gangwon-do.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of students who did not use an SNS or responded inadequately, 315 copies of data were used in a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a study of verification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l SNS addiction tendency and family`s support, friends` support, important others` support were suggested as factors having significant impacts 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NS addiction tendency had a positive impact while family`s support, friends` support and important others` support had negative impact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amily`s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riends`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urth, important others` suppor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interpersonal problems college students with SNS addiction tendency come to experience and for more practical intervention to strengthen and maintain social support from their family and friends.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유기도식의 매개효과-

        채진우 ( Chai Jinwoo ),전혜성 ( Jeon Hyese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의 자아분화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기도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자아분화를 독립변인으로, 관계중독을 종속변인으로, 유기도식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경기도 및 충청권의 대학 2곳에 재학 중인 42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 8부를 제외한 418부의 설문을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는 유기도식에 부적으로, 유기도식은 관계중독에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자아분화가 관계중독으로 가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자아분화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유기도식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관계중독 성향을 낮추기 위한 실천적 제언으로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의 자아분화를 높여서 유기도식의 형성 및 활성화를 낮추는 접근 방법과, 기존에 이미 형성된 유기도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통하여 관계중독을 낮추는 접근 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at abandonment schema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The structural model building led to having examined the model fit and the influence in parameters.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bandonment schema was seen to mediate completely in the influence of the self differentiation on the relation addiction. This finding is considered to establish the intervention direction in developing counseling and program for reducing the tendency of relationship addiction in undergraduates by lowering the formation and activation of the Abandonment Schema and increasing self different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