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이크로 티칭 경험을 통한 예비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및 특징

        전세명(SeMyung Jeon),홍애령(AeRyung Hong),정현수(HyunSoo Ju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개발자 및 실행가로서 예비 체육교사들이 마이크로 티칭 실습을 통해 무엇을 학습하며 경험하는지 살펴보고, 이 시기에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과 특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색함으로써 예비 체육교사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 티칭은 실제 체육교사로서 수업을 실행하기 전에 예비 체육교사가 간접적으로 수업을 체험해보는 실습방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이며 체육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2학년과 3학년 학생 4명을 이상적 사례 선택 방법을 통해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Spradley(1979)의 영역 분석, 분류 분석, 성분 분석을 중심으로 자료를 범주화하여 크게 마이크로 티칭 수업 경험과 전문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 및 특징을 기준으로 그 의미를 체계화시켰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체육교사들은 마이크로 티칭 수업을 통해 학습운영, 학습내용, 학습방법 측면에서 긍정적 경험(학생주도적 수업, 이론-모형-실천의 수업, 반성적 수업)과 부정적 경험(역할 갈등의 수업, 개인 역량의 수업, 형식 초점의 수업)을 하였다. 둘째, 예비 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및 특징은 크게 교육철학 및 가치 충돌의 ‘태동기", 교육과정 문서 및 실제의 ‘이해기’, 수업실행가로서의 ‘도전기’의 3가지로 구분되었다. 이 시기의 예비 체육교사들은 자신이 교육과정의 개발자 및 실행가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사실과 이에 따른 교사로서의 책임감과 난점을 동시에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체육교사들이 사전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시연해볼 수 있는 전공교과수업의 다양화 및 체계화, 사범대학 교육과정 전공교과수업의 계열성 확보, 학습한 내용을 숙고할 수 있는 기간의 제공과 인큐베이팅 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rn and experience through micro-teaching practice as a curriculum developer and practitioner, and seek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ducation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y exploring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identity during the period. As a method of practice for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experience class indirectly before proceeding with the class as an actual physical education teacher, micro-teaching is widely us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is study selected four sophomores and juniors who took Research of Teach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 class through the ideal case selection method, and collected data by carrying out in-depth interview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Upon completion of the foregoing, this study categorized the data focusing on the Spradley(1979)’s area analysis, classification analysis and component analysis, and systematized the meaning largely based on the micro-teaching class experience,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identity. Study results show that First,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gai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through micro-teaching class, which are shown variously in the aspects of type, contents and method of learning. Second,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ere classified largely into three stages of the beginning period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value orientation, understanding period of curriculum documents and reality and challenge period as a class practitioner.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ing the period were realizing the fact that they must play a role as a curriculum developer and practitioner simultaneously with responsibility and difficulties as a teacher for fulfilling the aforemention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diver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a major subject that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an develop and demonstrate, secure of the sequence of major subjec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curriculum, provision of period and establishment of an incubating system for enabling them to consider contents they learned.

      • KCI등재

        체육교사 학습공동체에서의 부정적 경험 유형, 원인, 대응 방안 탐색 연구

        정현수(Hyunsoo Jung),전세명(Semyung Je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체육교사의 부정적 경험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탐색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참여의 자발성과 운영의 자율성’이 확보된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장기간(5년 이상) 열정적으로 참여한 10년차 이상의 고경력 교사를 대상으로 참여 및 비참여 관찰,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rbin & Strauss(2008)의 개방·축·선택 코딩을 실시하여 귀납적 범주 분석과정을 거쳤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형은 1) 이해상충형, 2) 에너지 고갈형, 3) 상대적 박탈형, 4) 심리적 소외형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원인은 1) 공유-합치된 공동체 목적의 부재, 2) 에너지 한계 인식의 부재, 3) 공동체와 개인의 관계 무시, 4) 신규 구성원을 위한 세심한 배려 부족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예방 및 대처 방안은 1) 구체화된 공동체 목표 공유, 2) 업무분담의 노력, 3) 자신과 공동체 돌아보기, 4) 구성원 의견이 반영된 최소한의 책임과 역할 부여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향후 교사학습공동체 실천과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negative experienc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to explore their causes, and to seek preventive countermeasur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non-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ith more than a decade-long career who were passionate TLC participants for a long period (more than five yea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operational autonomy’ was secured in the TLC they participated i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n open-axial-selective coding of Corbin & Strauss (2008),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are derived as 1) conflict of interest, 2) exhaustion of energy, 3) comparative deprivation, and 4) psychological isolation. Second, the causes are 1) lack of shared-consistent purpose, 2) lack of energy limit awareness, 3) disregard of community and individual relationships, and 4) lack of careful consideration for new comers. Countermeasures are suggested as 1) sharing of specific objectives, 2) the effort of sharing tasks, 3) getting prior information about TLC with self-reflection, and 4) a minimum responsibility-role assignment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members.

      • KCI등재

        학교 단위 학생건강체력 증진 사업 운영에 대한 CIPP 모형 기반 성과 분석

        유창완(ChangWan Yu),신기철(KiCheol Shin),전영한(YoungHan Jeon),서장원(JangWon Seo),전세명(SeMyung Je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교육부)의 지원으로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학생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사업(이하 본 사업)의 운영 성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CIPP 모형을 적용하여 사업운영 성과를 상황 요인, 투입 요인, 과정 요인, 산출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본 사업의 운영을 담당한 교사와 이 사업운영을 지원하고 감독하는 업무를 수행한 장학사로 구성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사업의 성과 분석에 있어서 학생의 만족도와 건강체력의 수준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으로 사업 운영 조건의 확인, 학교 실정 맞춤식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학생 참여 증대와 교육적 효과 촉진, 교사의 인식과 역할 증대 등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건강체력 증진을 위한 사업과의 차별성 부족이나 교육 대상 학생이 불명확한 점, 일률적인 예산 분배,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등이 사업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 project which was supported by government(ministry of education) for promoting students" health-related fitness through CIPP(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model. CIPP model was developed by Stufflebeam(1983) to accomplish the evaluation requirements which oriented to the goals. So this model is useful for describing the information, context, input and process with program produc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5,741 students, 704 teachers and 20 supervisor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nd then were analysed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 of study the degree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fitness promotion was progressed.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dition for conducting the project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ograms according to school environment, inducing students to the project and facilitate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and increasing teachers" perspectives and roles. And this study described about various problems and improvement when the project was propelling.

      • KCI등재

        체육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양상 탐색

        윤기준,전세명,정현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동기 및 양상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 체육교사 2명과 초등학교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Corbin & Strauss(2008)가 제시한 개방-축-선택 코딩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세 가지의 범주가 생성되었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개선을 위한 실질적 지식의 습득을 위해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거리 및 기존 구성원과의 유대 관계 형성이 가입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 개선 체험, 구성원과의 긍정적 유대 관계 형성, 공동체 내 중요 역할 수행은 교사들의 지속적인 공동체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탄력적 운영, 수용적 분위기, 수업 개선 활동 유지가 효과적인 체육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단위학교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 및 구성원의 참여 양상과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 전문성 개발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연구 수행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tivational aspects that comprise of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of practice (CoP). Two PE teachers an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rder to collect dat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suggested by Corbin and Strauss (2008). A total of three themes were constructed. Firstly, the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CoPs in order to obtain practical knowledge leading the enhancement of PE lessons. Long distances to CoP meetings and difficulties of forming rapport were barriers toward participation in CoPs. Secondly, experiencing the improvement of PE lessons, positive interaction with members, and taking important roles in CoPs led to the teachers’ continuous participation. Thirdly, flexible management of CoP, supportive environment, and retaining focus of developing pedagogies were characteristics of CoP that contributed to the teachers’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future PE-CoP research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