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TU-D SG1 장애인과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이들을 위한 ICT 접근성 연구과제(Q7/1)의 COVID-19 상황에서의 장애인 접근성 제고 논의 분석

        전선민(JUN Seonmi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국제전기통신연합 개발부문(ITU-D) 연구반(Study Group) 1의 주요 연구과제 중 하나인 Q7/1(장애인과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이들(여성, 노년층 포함)을 위한 ICT 접근성)의 2020년 연구활동, 특히 COVID-19 대응에 있어 장애인의 ICT 접근성 제고를 위한 노력에 주목하였다.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과제이며 Q7/1 의장단은 한국을 포함한 회원국들의 판데믹 상황에서의 장애인 ICT 접근성에 대한 모범사례를 제시하여 개도국 정책 입안자들에게 대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은 동 연구과제의 의장단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고, ITU-D 연구반에서의 활동은 한국의 모범사례를 공유한다는 차원에서 뿐 아니라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의 사례, 관심 및 동향을 파악한다는 데서도 큰 의미를 가지며 ICT 개발협력사업과 연계 및 다양한 네트워크의 장으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도시 리버빌리티(Livability) 측정 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전선민(Jun, Sunmin),윤정우(Yoon, Jeongwoo),박지용(Park, JiYong),정주철(Jung, Juchul)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5

        리버빌리티는 모든 시민들이 적정한 주거, 건강관리, 교육기회, 소비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생활여건에서 살 ‘권리’이다. 이러한 적정수준의 생활여건을 측정하고 살 권리를 지킬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리버빌리티 측정을 위한 지표의 체계적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방법으로 도시 리버빌리티 지표를 도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관련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연구기관인 JBI와 PRISMA-ScR의 지침에 따라 2000~2021년에 출판된 1,193개의 문헌에서 20개의 문헌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 리버빌리티 측정을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지표가 사용되었으며, 도출된 영역별 지표는 서로 연계되거나 교차가 빈번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 리버빌리티 지표의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리버빌리티 지표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도하였고, 지표를 영역별, 시간 단계별로 도출한 점이 기존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향후 국내 도시 리버빌리티 측정을 위한 지표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Livability is the “right” to live where all citizens can enjoy adequate housing, health care, educational opportunities, consumption, and leisure. This definition can be used as a tool to measure an area’s standard of living conditions and protect the residents’ rights to a standard of living. Therefore, a systematic review of indicators for measuring livability is essential. In this study, urban livability indicators were derived by the “Scoping Review” method. Based on the guidelines of JBI and PRISMA-ScR, research institutes that provide guidelines related to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20 articles were extracted from 1,193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1.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irst, multi-dimensional indicators were used to measure urban livability. Second, the derived indicators for each dimension were linked or frequently intersected. Third, a conceptual framework of urban livability indicators was presented.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it attempted a a scoping review of urban livability indicators research and derived indicators according to spatial scale and time step.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토종홍화씨의 급여가 실험동물의 늑골골절 회복중 골조직에 미치는 영향

        김준한(Jun-Han Kim),전선민(Seon-Min Jeon),안미영(Mi-Young An),구세광(Sae-Kwang Ku),이재현(Jae-Hyun Lee),최명숙(Myung-Sook Choi),문광덕(Kwang-Deog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4

        한국산 토종홍화씨의 분말의 급여가 수술적 방법에 의해 유도된 흰쥐의 늑골골절상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정상식이를 급여한 대조군(C group)과 홍화씨분말을 사료의 10% 수준으로 급여한 홍화투여군(S group)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골절의 치유과정 동안 일어나는 골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치유기간에 따라 관찰하였다. 골절치유 초기에 형성된 가골의 구조에서 홍화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초자연골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연골내골화의 경우는 대조군에서 골절 유도 후 11일째인 C2군에서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나 홍화투여군에서는 골절유도 후 8일째인 홍화투여군에서부터 이미 관찰되기 시작하여 이 그룹에서 치유가 대조군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골에서의 막성뼈 발생과정인 막성골화의 경우에서도 홍화투여군에서는 골절 8일째부터 11일째에 해당하는 S1군에서부터 S2군에 걸쳐 광범위하게 관찰된 반면 대조군에서는 골절 11일째와 16일째에 해당하는 C2와 C3군에서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골흡수과정 역시 홍화투여군에서 빠르게 개시되어 골절유도 후 30일째인 S5군에서는 대부분의 지주골(trabecular bone)이 이미 흡수되었으나 C5군에서는 여전히 다량의 지주골(trabecular bone)이 남아 있었다. 골절 후 형성된 가골의 흔적도 대조군보다 홍화투여군에서 일찍 사라진 것으로 보아 홍화씨 분말의 급여는 골절의 치유과정에서 골조직의 회복속도를 빠르게 하여 치유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 of Korean safflewer(Cartharnus tinctorious L.) seed powder on bone tissue during the recovery of rib-fracture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of 10 weeks old, weighing 370±5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group(C group, AIN-76 semipurified diet) and safflower seed group(S group, AIN-76 semipurified diet + 10% safflower seed powder) and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12 days after adaptation period. After this period, the 9th right rib was fractured surgically and sham-operation was also performed. Rats were fed with experimental diets for up to 30 more days after rib-fracture. The degree of bone repair was evaluated during the recovery period at the 8th, 11th, 16th, 21st, 30th days after the surgical operation by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fractured rib tissue. In callus formation, the portion of hyaline cartilage was noticably higher in S group than C group. The intracartilagenous ossification was observed at the 8th day in S group, but at 11th day in C group. The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in callus was widely found over the 8th day to the 11th day in S group, but it was shown over the 11th day to the 16th day in C group. Bone resorption was also occured more rapidly in S group as indicated by large numbers of osteoclasts observed. At the 30th day, most of trabecular bones were disappeared in S group, whereas still shown in C group over wide ranges of fractured rib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upplementation of Korean safflower seed powder influences in the recovery of bone fracture by accelerating the process of bone repair.

      • SCOPUSKCI등재

        홍화종실분말 식이가 고지방 - 고콜레스테롤섭취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준한(Jun-Han Kim),전선민(Seon-Min Jeon),박영애(Young-Ae Park),최명숙(Myung-Sook Choi),문광덕(Kwang-Deog M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8 No.3

        10% 묶음홍화종실분말 식이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섭취 흰쥐의 혈장과 간장의 지질대사 및 간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대조군과 홍화종실군에 있어서 식이섭취량, 체중증가량 및 장기의 중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혈장 중성지방은 홍화종실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혈청의 지단백질인 β-lipoprotein함량은 홍화종실군은 72.70±4.08㎎/dl로 대조군의 119.82±7.42㎎/dl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p<0.001). 또한 혈장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홍화종실군이 72.94±2.78㎎/dl로 대조군의 89.41±4.1㎎/dl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또한 혈장 HDL-C수준은 홍화종실군이 39.28±5.64㎎/dl로 대조군의 32.49±1.61㎎/d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또한 혈중 LDL-C의 수준은 홍화종실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낮았고 혈중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C의 비율은 홍화종실군이 53.8%이고 대조군은 36.3%로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직, 특히 간장으로 운반함으로서 콜레스테롤 제거기능을 하는 HDL-C의 작용이 홍화종실군에서 더욱 현저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홍화종실의 급여가 흰쥐의 혈중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저하의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총콜레스테롤과 HDL-C 농도의 차이를 HDL-C농도에 대한 백분비로 나타내는 동맥경화에 대한 위험성 척도인 AI(atherogenic index)는 홍화종실군이 0.86으로 대조군의 1.75에 비하여 약 1/2 수준으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홍화종실분말의 급여가 흰쥐의 고지혈증의 개선 및 동맥경화예방에 뚜렷한 효과가 있음이 재확인되었다. 또한, 간장의 총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의 경우에는 대조군과 홍화종실군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중성지방은 대조군이 52.47±13.46㎎/g로, 홍화종실군의 41.18±15.27㎎/g에 비해 약 25% 정도 높게 나타났다(p<0.01). 간장 콜레스테롤수준은 홍화종실군이 9.77±3.69㎎/g로 대조군의 10.81±2.51㎎/g과 비교해 약 11.1%의 감소를 보였다(p<0.05). 그러나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에스테르화에 관여하는 ACAT의 활성도는 두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A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fflower seed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in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fed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of 10 weeks old, weighing 325±5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C group, high fat(10% lard) and high cholesterol(1% cholesterol)) and safflower seed group(S group, 10% safflower seed powder), they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6 weeks. Food intake, body weight gains and organ weight had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ncentration of β-lipoprotein in serum was remarkably lower in S group than in C group. Serum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 group(72.94±4.08㎎/dl) than in C group(89.41±4.19㎎/dl).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was higher in S group than in C group. The level of serum LDL-C was significantly lower in S group than in C group. The ratio of HDL-cholesterol to total cholesterol were higher in the S group than in the C group, too. The value of atherogenic index(AI) was determined to be low in S group. The content of liver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in the S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C group. ACAT activities which involves in cholesterol esterification in liv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따른 도시열섬의 형성 가능성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박지용(Park, Jiyong),강승원(Kang, Seungwon),전선민(Jun, Sunmin),정주철(Jung, Juchul)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5

        도시열섬은 폭염을 유발해 사망위험을 높이고 열사병 등 온열질환을 야기히는 등 문제를 낳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따른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개발제한구역이 온전히 보전된 상태인 2000년과 최근 기록적인 폭염을 기록한 2018년의 두 개 시점에 대해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따른 여름 지표면 평균기온 변화의 차이를 LISA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러스터 맵에서 개발제한구역이 해제된 곳 중 핫스팟으로 변한 지역이 전체의 약 28.14%에 달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진행되는 신도시개발, 산업단지 조성,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등으로 인한 녹지 감소 및 불투수 면적 증가 등의 토질 변화가 도시의 기온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도시열섬 형성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잠재적으로 개발을 야기하는 정책수단이라는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해당 지역의 도시열섬 형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또한 개발제한구역이 본래의 기능 외, 방재계획 차원으로 도시열섬현상을 완화하는데 있어 주요한 도시계획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보여준다. We analyzed the temperature changes in cities and regions due to the lifting of the green belt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temperature change in the summer surface due to the lifting of the green belt was analyzed in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LISA) for the two points in 2000, when the green belt was fully preserved, and in 2018, when the recent record heatwave was recorded. Consequently, approximately 28.14% of the areas where the green belt was lifted from the cluster map became a hotspot.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changes in the soil quality,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creation of industrial complexes, reduction of green areas, and an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due to largescale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following the lifting of the green belt, lead to the temperature rise in the city, thereby causing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revealing that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can be affected in the long term depending on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involved in the lifting of the green belt. In addition to its original function of preserving the environment and preventing urban sprawl, the green belt can be a major urban planning tool for mitigating the rising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caused by climate change, which demonstrates its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지진해일 긴급대피소 입지 적정성 평가

        배경완(Bae Kyung wan),박형준(Park Hyung jun),전선민(Jun Sun min),정주철(Jung Ju chul)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는 지진해일 대비 긴급대피장소의 입지 적정성을 안전취약계층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해일의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재난 발생 전에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지진해일의 경우 신속한 대응(대피)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긴급대피소의 접근성 부분을 사전에 평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피에 취약한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주민대피지구 내 안전취약계층은 긴급대피소까지 1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가? 라는 연구질문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지진해일의 위험성이 큰 부산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부산광역시 내 지진해일 주민대피지구와 긴급대피장소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GIS 네트워크 분석 및 중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부산시의 긴급대피장소는 안전취약계층의 관점에서 신속한 대피가 불가능한 곳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의 총 주민대피지구 대비 약 38%의 지역에서 10분 이내에 긴급대피장소로 이동할 수 없었다. 특히 안전취약계층이 밀집하고 있는 위험지역에 상대적으로 긴급대피장소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부산시는 지진해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향후 지진해일 대비 주민대피계획 수립시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고려를 통해 긴급대피장소의 입지를 선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재난계획과 도시계획의 연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priety of location of emergency evacuation shelter in terms of vulnerable people. Since Korea is no longer safe from tsunami, it needs to be prepared before the disaster. Especially, in case of tsunami, rapid response (evacuation) is essential, so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the emergency shelter in advance. In particular, it needs to be considered about vulnerable groups to evacuate in order to minimize loss of life. Therefor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 “Can the vulnerable groups in the evacuation area reach the emergency shelter within 10 minut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the tsunami evacuation zone and the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as the case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which has a great risk of tsunami. We employed network analysis and overlay analysis by ArcGIS. Results showed that some of the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are located in a inappropriate sites for vulnerable groups. It was impossible to move to the emergency evacuation site within 10 minutes from the area of about 38% of the total resident evacuation district in this study.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mergency shelter is insufficient in the area where the vulnerable groups are concentrated.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earthquake tsunami, Busan City should make efforts to select an emergency evacuation site by considering the vulnerable classes when establishing a resident evacuation plan against the tsunami.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preparedness planner and urban planner should be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