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전상학 ( Sang Hak Jeon ) 호남고고학회 2013 湖南考古學報 Vol.43 No.-

        진안고원은 지금까지 문화의 점이지대, 고대 교통의 중심지, 백제·신라·대가야의 각축장이라 불리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진안고원을 크게 고총고분이 밀집 분포하는 장계분지와 장수분지가 위치하는 장수권과 금산·무주·진안권으로 구분하고, 고총고분의 주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구조와 출토유물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수권에 밀집분포하고 있는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4~7세기대의 문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수권에서 새롭게 드러난 고총고분의 분포와 현황을 파악하여 장계분지 120여 기, 장수분지 80여 기, 총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밀집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들 고총의 규모나 배치·밀집도의 검토를 통해 삼봉리고분군과 월강리고분군을 중심고분군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장계분지에 자리한 120여 기 이상의 고총들은 금강 상류지역에서 최대 밀집도와 규모를 보이며, 이러한 고총들은 진안고원 가야의 지배자 집단이 조영한 고분으로 이해하였다. 고총의 입지는 분지 내에 펼쳐진 구릉과 들판이 내려다보이며, 분지를 감싸고 있는 산지에서 뻗어내린 지류에 자리하고 있어, 백두대간의 동쪽에서 조사된 가야계 고총의 입지와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봉토의 평면형태는 동서로 긴 장타원형으로 그 가장자리에 호석을 두른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가야계 고총 중 봉토 가장자리에 호석시설을 갖추지 않은 것은 하나의 분포권을 이룬다. 남원 월산리·두락리를 중심으로 함양, 산청, 장수지역이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진안고원에는 5세기 전반에 가야토기가 등장하여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대가야 양식 토기가 많은 양을 차지한다. 5세기 중반 이후 대가야토기의 확산이 이루어지지만 재지의 묘제 또는 재지토기양식과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대가야 중심집단으로부터 독립적인 자치권이 보장된 지역집단으로서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진안고원의 가야는 백두대간과 금남호남정맥 산줄기에 산성과 봉수를 축조·운영하였고, 200여 기 이상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을 조영하였으며, 5세기 전반에 등장하여 6세기 전반까지 가야계 소국으로 존속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Jinan plateau has been called transitional zone of culture, center of ancient traffic, and arena of competition for Baekje, Silla, and Daegaya,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it. Jinan plateau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Jangsu area with Janggye basin and Jangsu basin where ancient tombs are concentrated and the Geumsan/Muju/Jinan area, and the structure of Stone-Lined tombs, the main tomb style of ancient tombs and the overall trend of excavated articles were to be reviewed. Especially, centering on ancient tombs concentrated in Jangsu area, the cultural trend of 4th~7th century was examined. The distribution and current status of ancient tombs newly found in Jangsu area were examined and it was confirmed that 120 tombs in Janggye basin and 80 tombs in Jangsu basin to the total of 200+ of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were confirmed to be concentrated in distribution, and through reviewing arrangement/density of these ancient tombs, Sambong-ri ancient tomb site and Wolgang-ri ancient tomb site were taken as the central ancient tomb sites. Especially, 120 or so ancient tombs located in Janggye basin showed greatest density and size at the upper region of Geum River, and such ancient tombs were understood as those built by the ruler class of Gaya in Jinan basin. The location of ancient tombs had a view of the hills and fields within the basin and was in the tributary coming down from the mountain area surrounding the basin, exhibiting relationship to the location of Gaya-style ancient tombs found on the east site of Baekdudaegan. The planar shape was a long ellipse to west and east, and there was no trace of stone tigers around the boundary. There is an area of distribution for Gaya-style ancient tombs without tiger stone facilities around the tomb, to which Hamyang, Sancheong, and Jangsu area belongs centering on Namwon Wolsan-ri and Durak-ri. Gaya potterys began to emerge around 5th century in Jinan plateau, and after mid-5th century, Daegaya-style potterys account for a large amount. After mid-5th century, Daegaya potterys began to spread, but as it is observed that it coexisted with the local memorial service or local pottery style, it appears that they maintained an alliance relationship to Daegaya as a local group with right of autonomy from the central group of Daegaya. It is thought to be highly possible that Gaya of Jinan plateau built and operated fortresses and signal-fire on the mountain range of Baekdudagan and Geumnam-Honam vein, built 200+ Gaya-style mid/large-sized ancient tombs, and existed as a small Gaya country from 5th century to early 6th centu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 교육과정에 제시된 식물 세포 관찰 탐구 활동 개선 방안 및 적용: 설탕 용액과 스마트폰 현미경 어댑터 활용을 중심으로

        윤민지 ( Min Ji Yun ),전상학 ( Sang-hak Jeon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1

        과학 탐구 활동의 중요성이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 과학 탐구를 활성화 시킬 방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과학 교과서에 실려 있는 식물 세포 관찰 탐구 활동을 보완하기 위해 설탕 용액과 스마트폰 현미경 어댑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각 방법이 학생들의 관찰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존 관찰 탐구 활동을 접목한 수업에선 식물 세포의 세포벽과 세포막이 서로 붙어있었기 때문에 그 둘을 구별하여 관찰한 학생이 없었다. 하지만 20 % 설탕 용액을 활용하여 식물 세포의 세포벽에서 세포막을 분리해낸 결과, 세포막, 세포벽, 핵을 모두 관찰한 학생의 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현미경 어댑터를 활용한 결과, 식물 세포를 자세하고 정확히 관찰한 학생들의 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더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설탕 용액을 기존 식물 세포 관찰 수업에 추가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한 교육적 가치와, 현미경을 사용한 관찰 탐구 활동에 스마트폰 현미경 어댑터를 활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관찰 활동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e importance of inquiry-based activitie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focusing on how to utilize them in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instructions provided in the observation of plant cell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 suggested methods utilizing a sugar solution and microscope smartphone camera adaptor. In this paper, w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addition of the sugar solution and microscope adaptor on students’ observations. In classes where the existing method was used, none of the students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cell membrane from the cell wall since the cell membrane was attached to the cell wall. However, as a result of separating the cell membrane from the cell wall by using a 20 % sugar soluti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observed the cell wall and the cell membrane as a separate structure increased. Moreover, utilizing the microscope smartphone camera adaptor increased the number of students who observed plant cells accurately and in greater detail.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using sugar solution for plant cell observation is beneficial and that using a microscope smartphone camera adaptor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observation activities.

      • KCI등재

        생명과학 2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원핵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 관련 내용 분석

        안주현 ( Ju Hyun Ahn ),전상학 ( Sang Hak Jeon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5 생물교육 Vol.43 No.2

        In the 2015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decided to acknowledge two answers for a question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because of a presentational problem. In this research, the Korean science curricular and the Life Science2 textbooks were analyzed in order to diagnose the presentational problem, and we trie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m.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s a key process that explains the molecular control of genetic information, and since the fourth curriculum it has continuously been included in Korean science courses with the exception of the sixth curriculum. All textbooks written according to the 2009-revised curriculum contained the subject of gene expression control; however there is lack of explanation about the scientific terms and connection with the previous class in most textbooks, and there even was a case with scientific errors. The new scientific terms in Life Sciences2 should be sufficiently explained and linked to the basic concept of gene in modern life science perspective because many new terms appeared in modern life science textbooks, and most of them are on the gene concept. It also needs to reflect these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improve the expression for the terms in the new textbook.

      • KCI등재

        문화역사 활동이론 관점에서 예비과학교사 공동체의 수업에 대한 반성 분석- 3년간의 생물 실험교실 프로그램 운영 사례

        심현표 ( Hyeon Pyo Shim ),유금복 ( Kum Bok Ryu ),전상학 ( Sang Hak Jeon ),황세영 ( Se Young Hw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와 학교 현장의 연계를 통하여 진행된 실험교실의 사례에서,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나타나는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을 문화역사활동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Engestr.m이 제안한 활동 체계를 이용하여 사회문화적 요소를 파악하였고, 반성의 양상을 ‘반성 주제의 다양성’과 ‘반성의 실제성’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동체의 반성과 실행의 순환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3년간의 수업 후 평가회에서 예비교사 공동체 반성의 사회문화적 요소는 변화하였는데, 수업평가회의 정례화, 도구의 도입, 평가회 운영 주체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과정 속에서 반성의 주제는 다양해지고,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시간 관리, 학생의 참여, 지도서인 ‘멘토의 역할’에대해서는 반성적 실천이 발전되지 못하고 매번 비슷한 패턴의 논의가 반복되었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토대로 활동체계의 측면에서 예비교사 공동체의 반성적 논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eflection of pre-service teacher community in three years of post-class discussions (PCD) on the basis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in the case of an biological laboratory class program. We figured out the sociocultural elements of co-reflection of community using activity system suggested by Engestrom. We also analyzed the aspect of reflection in terms of both ``the diversity of reflection subjects`` and ``the practicality of reflection.`` Finally, limitations of co-reflection were sought in a process of continuos circulation of reflection and pract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sociocultural factors of 3-year-PCD changed, and in these changes, ``regular PCD,`` ``introduction of tools for facilitating reflection,`` ``transition of the subject in PCD from researcher to pre-service teachers`` are remarkable. And in these process, co-reflection made positive progress since the content of reflection became diverse and practical. However, in some subjects such as ``managing time,`` ``participation of students,`` ``mentor``s role (a kind of teaching manual),`` reflective practice have not developed and similar patterns of discussion were repeated.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ed ways of facilitating pre-service teacher community``s co-reflection from the viewpoint of an activity system.

      • 인체 유방암 세포에서 과다발현 시킨 Cyclin D2의 영향에 대한 연구

        김현준(Hyun Jun Kim),이근수(Geun Soo Lee),전상학(Sang Hak Jeon),공구(Gu Kong)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2004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Vol.24 No.1

        Three D-type cyclins (D1, D2, and D3) are expressed in G1 phase of the cell cycle and have been implicated in cell transformation and neoplasia in human and mouse. Cyclin D1 overexpression or amplification was described in various human cancers.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role of cyclin D2 in cell cycle progression and human carcinogenesis. Specially, loss of cyclin D2 is involved in a vital tumor suppressor function in normal breast tissue, and that its loss may be related to tumorigenesis. The author examined to effect over-expression of cyclin D2 on the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cell cycle using cyclin D2 transfected stable T47D breast cancer cells to investigate whether cyclinD2 functions as a positive regulator or negative regulator in cell proliferation. Overexpression of cyclin D2 led to the suppression of cell growth in cyclin D2 transfected T47D in both in its expression level and a time dependent manner with up to 50% reduction of cell growth at 72 hours. Therefore, the authors performed the cell cycle phase analysis using the flow cytomet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clin D2 on the cell cycle phase in cyclin D2 transfected stable T47D cells. The flow cytometry analysis revealed increased sub G0 phase in cyclin D2 transfeted cells up to 23% at 72 hours. To confirm these results induced by overexpression of cyclinD2, the apoptotic bodies were counted in control and cyclin D2 transfected T47 cells. There are markedly increases of apoptotic bodies in cyclin D2-transfected cells up to 18%.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yclin D2 suppresses the cell proliferation in breast cancers cells via the induction of apotosis.

      • KCI등재

        실시간 비대면 실험실 탐방 프로그램

        황요한 ( Yohan Hwang ),문공주 ( Kongju Mun ),김재근 ( Jae Geun Kim ),전상학 ( Sang-hak Jeon ),박혜경 ( Hyekyung Park ),이성재 ( Seongjae Lee ),정대홍 ( Dae Hong Je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1 현장과학교육 Vol.15 No.1

        이 자료는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대학 연구실의 접근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비대면 실험실 탐방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안한다. 본 교육 자료에서는 녹화된 비디오를 통해 연구 내용 및 장비를 소개하는 일반적인 온라인 랩투어 방법의 일방향적인 정보전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첫 번째는 홍보용 사전영상보기, 두 번째는 실시간 양방항 랩투어 행사, 세 번째는 행사 후 리뷰영상이다. 지금까지 운영한 8가지 프로그램 운영으로부터 이 같은 실시간 비대면 실험실 탐방 프로그램은 현재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효과적인 연구현장 탐방 교육의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코로나 이후에도 대학 연구실에 접근성이 낮은 지역 학생들의 참여를 돕는 방안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is educational material illustrates an effective method of non-face-to-face real-time lab tour program operational under restricted access of university labs caused by COVID-19. In order to figure out one-directional content provision of typical on-line lab tour programs, this program provides 3 step material. The first is pre-view video before the real-time event, the second is real-time bi-directional on-line lab tour, and the third is review video posted on-line after the real-time event. Based on six programs operated to date, it is confirmed that this method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of lab inquiry under COVID-19 pandermic and even after the pandermic this can widen opportunities of students who are less accessible to university labs.

      • KCI등재

        실험 탐구 수업을 이용한 감수분열 과정의 이해

        김희수 ( Heesoo Kim ),박기석 ( Ki-seok Park ),우제창 ( Je-chang Woo ),전상학 ( Sang-hak Jeon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07 현장과학교육 Vol.1 No.1

        감수분열은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일어난다. 감수분열의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은 첫째, 부모와 자식이 같은 염색체 수와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종을 유지하게 하며, 둘째, 유전자의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자손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생명현상이다. 감수분열은 9학년 및 10학년 과학, 그리고 12학년 생물 II에서 소개되지만 적절한 실험 재료의 부족 및 실험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의 부족으로 실험 탐구 수업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교육이 가능하도록 실험 재료 및 실험 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로는 호밀의 어린 이삭 및 양파의 꽃을 이용하였다. 호밀이나 양파에서는 제1 감수분열 및 제2 감수분열을 포함하는 각 단계들이 관찰됨으로써 그 성공률이 매우 높았다. 다양한 감수분열 단계를 보여주는 1.5 mm 크기의 양파의 꽃밥이나 4 mm 크기의 호밀 꽃밥을 이용하면 다양한 감수분열 단계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 크기보다 작으면 감수분열이 전기에 국한되며, 이 크기보다 크면 말기나 꽃가루가 관찰되었다. 호밀이나 양파는 염산을 이용한 연화 처리 없이 관찰함으로써 집단으로 붙어 있는 세포들로부터 다양한 감수분열 단계를 관찰할 수 있으며, 호밀을 연화처리하면 각 단계를 좀 더 뚜렷하게 볼 수 있고 염색도 선명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나 세포가 흩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양파는 연화처리 전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호밀과 양파는 연화처리 없이 매우 쉽게 감수분열 과정을 관찰할 수 있어 현장 교육에서 훌륭한 감수분열 실험 재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eiosis occurs in organisms undergoing sexual reproduction. Two important roles of meiosis are as followings. First, meiosis functions in maintaining the same number and structures of chromosomes as the parents. Second, it produces the diverse offsprings. Meiosis experiment is introduced in 'Science' textbook of the 9th and 10th grade, and in 'Biology II' textbook of the 12th grade. However, our survey showed that experimental class on meiosis have not been carried out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on proper experimental materials or detail experimental procedure. In our study we tried to suggest the solution on these problems. Onion flower or ears of rye was selected as experimental materials. We observed all stages of meiosis from both materials. All kinds of meiotic stages were obtained from the anther of 1.5 mm in onion and 4 mm in rye. Meiosis could be observed without softening by HCl treatment. However, the treatment of HCl to rye gave better images on each meiotic stages, but cells were scattered. Our study showed that onion and rye could replace materials for the meiosis experiment introduced in the present textbooks with the good possibility of success on meiosis experiment in school science.

      • KCI등재

        예비교사의 실험 수업에 대한 반성적 논의의 특징

        심현표 ( Hyeon Pyo Shim ),유금복 ( Kum Bok Ryu ),이은정 ( Eun Jeong Lee ),전상학 ( Sang Hak Jeon ),황세영 ( Seyoung Hw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discussion on their practical work-based teaching by focusing on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e connectivity of discussion. Eight afterclass discuss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finally analyzed in terms of theoretically driven categories such as aims, teacher knowledge and learner response which also respectively reflect the actual flow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ir discussion about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tific skill components were most emphasized, while teaching method and strategy were most frequently addressed in the discussion about teacher knowledge. But this also revealed problems in their discussions such as the lack of discussion about inquiry and student interest, difficulties in clarifying theoretical terms and the lack of discussion about instructional models and theories. Meanwhile, pre-service teachers` discussions were limited in terms of connectivity between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meaning that their discussion tended to deal with each component separately rather than occurr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Furthermore, when connections were made during the discussion, only few components of instruction appeared. Based on this result, the paper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tools to facilitate effective reflection in ways that incorporate various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enhance connectivity between the components and between the instru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