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중기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에 관한 고찰

        전상모(Jun Sang Mo)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조선중기는 외적인 전화와 내적인 당쟁과 결부되어 『莊子』는 다양한 차원으로 수용되었다. 본고에서는 於于 柳夢寅, 象村 申欽, 蛟山 許筠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장자』수용 양상과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을 고찰하였다. 이들의 『장자』수용은 문장학습의 차원에서 나아가 『장자』의 인식론을 수용하 여 새로운 사상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들은 정치현실이나 사회를 비판할 때『장자』의 사유와 문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들의 『장자』활용은 직접적 이며 불우함의 토로보다는 현실비판이 대부분이다. 우언을 사용하여 성리학적 관념 에 대해 회의하거나 부당한 현실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상대주 의 시각과 이를 통해 현실을 비판하는 장자적 예술정신과 상통한다. 於于는 문장과 서예로 不朽를 꿈꾸었으며 기묘명현의 한 사람인 金絿를 추숭하였 다. 황기로의 ‘奇’적인 ‘狂逸’한 서예를 높이 평가하고 학습하였다. 이는 당시 ‘기’적 인 서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안한다면 시대를 초월한 것이다. ‘기’는 일반적으 로 ‘正’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탈성리학적이다. 이러한 시기에 ‘奇’적인 서예를 높이 평가하고 자신도 그러한 서풍에 경도된 것은 평가받을 만하다. 象村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심미경지는 ‘玄’의 경지였다. 그리하여 삶을 온전히 하 고자 세속을 초탈하여 자연 속에서 유희하고자 하였다. 그는 서화를 ‘道’ ‘天籟’ ‘神’ 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상촌의 이러한 사유는 그가 지향했던 ‘玄’의 경지와 일치한 다. 상촌의 이러한 경지는 천지자연의 모습에 따르고 천지만물의 다양한 변화 순응 하며 무한한 세계에서 노니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절대자유의 경지라 하겠다. 蛟山은 이러한 ‘趣’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그는 화폭 속의 승사를 세속 밖에서 실천하려는 꿈을 꾸었으며 그림으로나마 도가적 삶을 살았던 고인들과 같은 삶을 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추구했던 심미경지를 실천하지 못하고 권력 싸 움에 말려들어가 처형되고 말았다. ‘趣’를 불가에서는 중생이 번뇌로 말미암아 말․행 동․생각 등으로 악업을 지어 죽어서 가게 되는 곳이다. 교산이 행한 말․행동․생각이 과연 악업이었는가에 대해서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조선중기 문인들의 서화평론에서 자신들의 새로운 미의식을 전개하였다. 장자적 사유에서는 고정불변한 것은 없다. 그들은 기존의 미의식을 맹목적으로 따르 기보다는, 기존의 고정된 틀을 부정하고 비판하면서 끊임없는 자기 변신을 꾀할 때만이 영원한 생명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한 인물들이라 하겠다. 『 The Chuang Tzu 』 has been associated with an external destruction by war and an internal party strife and accepted in many different dimension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analyzed Eou Yu, Mongin, Sangchon Shin, Heum and Gyosan Heo, Gyun and considered their acceptance aspects of 『 The Chuang Tzu 』 and their tendencies of『 The Chuang Tzu 』 in criticism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They have searched a possibility of a new thought not only by accepting 『 The Chuang Tzu 』 in terms of a sentence study but also by accepting the epistemology of 『 The Chuang Tzu 』 . They were used to take advantage of the thought and the literary style of『 The Chuang Tzu 』 when they criticized a political reality or a society. Their utilization of 『 The Chuang Tzu 』 was direct and not a complaint of the underprivileged but mostly a criticism of the reality. Also, they felt doubts about the concept of Neo-Confucianism and complained of an unjust reality by a fable. This aspect is correlated to Master Chuang Tzu’s art spirit which criticizes the reality through a relativistic view. Eou has dreamt of an immortal artist in literary and calligraphy and respected Gim, Gu, one of the noted sages who suffered a massacre of scholars in Gimyo(1519). He highly estimated Hwang, Giro’s calligraphy which is ‘abnormal’ and ‘wild and buoyant’ and learned it. It seems to transcend the times considering that an ‘abnormal’ calligraphy has been negatively cognized in this period. ‘Abnormality’ as opposed to ‘Rightness’ broke from Neo-Confucianism. It is deserved to be evaluated that he has highly assessed an ‘abnormal’ calligraphy and concentrated on the abnormal calligraphic style. The ideal aesthetic state which Sangchon thought was the state of ‘profundity’. Therefore, he intended to wander in the nature breaking from the world to complete his life. He evaluated calligraphy and paintings in terms of ‘Way’, ‘Natural sound’ and ‘God’,and it coincided to the state of ‘profundity’ that he aimed. Sangchon’s state is the state of absolute freedom which only the people, who follow the figure of the nature, adapt the diverse changes of the nature and wander in the infinite world, can enjoy. Gyosan has actively pursued ‘qù( 趣 , aesthetic ideals or flavour)’. He dreamt of realizing a good thing in the paintings out of the world and would like to live a life through the paintings as the deceased lived a Taoistic life. However, he has been executed without practicing the aesthetic state he has pursued by getting caught into a power struggle. ‘Qù ( 趣 , aesthetic ideals or flavour)’ is the place where the people, who committed misdeed through words, actions and thoughts due to the anguish, go after dying.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words, actions and thoughts Gyosan has done was misdeed. We developed their new theories in the criticism of literati’s calligraphy and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Nothing is set in stone in Chuang Tzu’s thought. They realized that they could attain eternal lives only when continuously changing themselves in denying and criticizing the existing fixed mould rather than blindly following the existing aesthetics.

      • KCI등재

        고운 최치원의 풍류사상과 그 서예미학적 체현

        전상모 ( Jun Sang-m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본고는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碑序)」에 내재된 고운 풍류사상(風流思想)의 주체성과 고유성을 검토하고, 고운의 풍류 사상이 그의 서예미학에 어떻게 발현되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는 `신라에 풍류라는 현묘지도(玄妙之道)가 있는데, 그 핵심은 삼교(三敎)를 아우르는 접화군생(接化群生)에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敎)를 설(設)한 근원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다`고 하여, 풍류가 어떤 사상적 체계를 갖춘 실체임을 밝혔다. 그는 풍류를 `포함삼교(包含三敎)`라고 하여 유·불·도 삼교를 풍류의 하위 개념으로 보고 있다. 이는 신라 고유의 풍류사상에 대한 자긍심의 발로이자, 유·불·도를 회통한 고운이 신라의 중심사상이 바로 풍류이자 자신의 지향점 역시 풍류임을 선언한 것이라 하겠다. 고운은 삼교 가운데 유가(儒家)와 선가(仙家)는 동방이고, 불교가 전래함으로써 3대 교문(敎門)이 정해졌다고 한다. 그는 “도불원인 인무이국(道不遠人 人無異國)”이라고 하여 `인간의 주체성`을 바탕으로 삼교가 서로 회통할 수 있고, 삼교가 하나로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이는 신라인의 `주체적 자각`이었다. 이는 고운이 우리의 고유사상을 탐구하고 이를 계승시키는데 노력을 집중한 결과 우리나라에 상호 이질적인 사상들을 하나로 융합시킬 수 있는 기반으로서의 풍류가 있음을 선언한 것이다. 그가 짓고 쓴 「진감화상비명(眞鑑和尙碑銘)」에서 우리의 전통 방언을 쓰는 등 `주체의식`과 `민중의식`을 드러내었다. 이런 정신이 바로 `접화군생`의 구현의지라 하겠다. 그리고 서예 역시 `현묘지도`의 신비성을 체현해낸 것이었다. <진감화상비(眞鑑和尙碑)> 전액 `易+?海東眞鑑禪師碑`의 서풍은 민족 고유의 `선(仙)`적인 신비성을 체현해 낸 것이며, 명문의 서예역시 `자성일가(自成一家)`한 것이었다. 왕명에 의해 「대숭복사비문(大崇福寺碑文)」을 짓고 쓰면서, 옛 명서가들의 고사를 들어 자신의 서예에 대한 자긍심을 표출하였으며 조조의 8자 고사를 들어 절묘하게 잘 지은 문장이라는 평가를 듣기를 기대하였다. 그는 당에서 귀국하여 기울어져 가는 신라의 현실을 목도하고 `접화군생`의 이상세계를 재현하려고 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자, 지방관을 전전하다 은거에 들어갔다. 전국을 소요하다 남긴 서각(書刻)을 비롯한 관련 유적들은 `접화군생`의 이상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현방안으로 `유오산수(遊娛山水)`, `무원부지(無遠不至)`를 실천하는 과정 중에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풍류`의 사전적 의미와 고운의 풍류사상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reviewed the subjectivity and the originality of Goun`s thought of Pungnyu embedded in Nannangbiseo(鸞郞碑序) and investigated how his thought of Pungnyu was expressed in his calligraphic aesthetics. He said `Silla has the profound Way called Pungnyu, and the key is based on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embracing the three doctrin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e also said `『Seonsa(仙史)』 contained the basis that a doctrine was established.` and determined Pungnyu was a substance that had an ideological system. He considered that Pungnyu embraced the three doctrines and regarded the three doctrines as the lower concept of Pungnyu. That was the expression of his self-esteem about Silla`s own thought of Pungnyu and the declaration of Goun, who was well-versed in the three doctrines, that Pungnyu was the main thought of Silla and his intention point. Goun assured that there were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East and the three doctrines were settled by introducing Buddhism. He said `The Way is not far from people, and people a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ies.` and believed that the three doctrines could understand each other and unify as one based on human subjectivity. It was Silla people`s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Striving to investigate and succeed our own thought, Goun assured that there was Pungnyu as the foundation to unify different thoughts in Korea. He indicated a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a public consciousness by using our traditional dialects in Jingamhwasangbimyeong(眞鑑和尙碑銘) that he composed and wrote. It was the will to realize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He also realized the mystique of the profound Way in calligraphy. The calligraphic style of `易+?海東眞鑑禪師碑` at the head of < Jingamhwasangbi(眞鑑和尙碑) > realized the national Taoistic mystique, and the calligraphy of the inscription also established a school of his own. Composing and writing Daesungboksabimun(大崇福寺碑文) by order of the king, he expressed his self-esteem about his calligraphy by quoting famous calligraphers` historical events and expected to receive high praise that his sentence was exquisitely written by quoting Caocao`s historical events in eight characters. Facing up to the reality that Silla had been falling, after coming back to Silla, he intended to reappear the ideal world of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However, it turned into fail, so he retired to hermitage after working as a local governor here and there. The remains including his calligraphy and carved characters that he created during wandering all over the country were his concrete realization plans to realize the ideal of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and they were creat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wandering the landscape`, `there is no place where people cannot go even though it is too far`. Therefor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Pungnyu and Goun`s thought of Pungnyu.

      • KCI등재

        추사 김정희 예술에 나타난『유마경』수용의 흔적

        전상모(Jun, Sang-Mo)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1

        추사 김정희는 원찰을 소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71세 임종하는 해 봄에서 여름까지 봉은사에서 발우공양(鉢盂供養)과 자화참회(刺火懺悔) 등으로 끝까지 수행한 거사 불자였다. 본고는 추사의 『유마경(維摩經)』수용 배경과 그의 예술론과 서화창작에 나타난『유마경』 수용의 흔적을 추찰한 것이다. 추사는 명문거족이자 왕실외척으로서 원찰을 소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불교를 비교적 온건하게 수용하였다. 그는 불교에 있어서는 부처님의 경전을 통해서만이 부처님의 경지에 들 수 있다고 여겼으며 불학도 유학과 마찬가지로 도덕적 수양을 통해 이상적 경지인 극락에 도달하려는 인식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는 당대 불교와 승려들에 대한 비판의식이 담겨있는 것이다. 추사의 이러한 사유는 기본적으로 『유마경』이 기성 교단에 대해 성문(聲聞) · 연각(緣覺)의 편협되고 그릇된 수행임을 질타한 것과 상통한다. 추사가 거론한 모범적인 시인들은 『유마경』을 수용한 시인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가 제기한 시서화 · 선리 일경론(詩書畵?禪理一境論)은 일정 정도 『유마경』과 관련이 있으며 시서화?선리 일경의 전제 아래 서예의 경지를 사공도의 이십사품 과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였다. 또한 법계와 현상의 관계가 ‘일이이(一而二)’ ‘이이일(二而一)’의 관계라고 하면서 서화와 선리는 상통한다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이러한 경지는 객관세계의 외경과 주관세계의 자아가 한데 어우러진 것이다. 추사는 시서화 · 선리 일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체의 자유로운 의지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것은 어떤 외부적 영향이나 구속이 철저하게 배제된 절대자유의 정신경지이다. 이러한 면에서 추사의 예술정신과 창작실천은 그의 선지(禪旨)와 상통한다. 그가 작고한 해에 쓴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산사구작(山寺舊作)〉은 우연히 옛 자작시가 떠올라 ‘우연욕서(偶然欲書)’한 것으로 추사의 시 · 서 · 선리 일경의 경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었다. 그의 예술정신의 본령이라 할 수 있는 시 · 서 · 화 · 선리의 일경은 생애 마지막에 되어서야 〈불이선란(不二禪蘭)〉으로 실현되었다. 〈불이선란〉은 진공묘유(眞空妙有)의 경지에서 친 난이었다. 추사는 시 · 서 · 화 · 선리의 속성은 서로 일치한다고 본다. 이것들이 도달해야할 예술적 경지는 선리(禪理)의 묘오(妙悟)와 동일한 것이었다. 이러한 예술정신은 일반적인 창작정신이나 미적감수로는 추론이 불가하다. 추사의 서화작품을 분석해본 결과 그의 작품에서는 유마가 침묵한 것처럼 어떤 말이나 글로서도 표현해 낼 수 없는 절대적 경지였다.

      • KCI등재

        20세기 초 전통적 서화관의 근대적 변용

        전상모(Jun, Sang-mo)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Modern Korean calligraphy has sought a Korean identity between contemporary and traditional rather than unconditionally following westernization and modernization despite historical upheaval. In a broad sense, it w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paintings and calligraphy. Since the port opening, the era of imperialism has arrived, and painters and calligraphers tried to compromise the thoughts of expressing Eastern Way in Western frames and the theory of cultural enlightenment in the desire to accept modern culture. This thought continued until the 1920s, when it became involved in colonial cultural activities. At the time, those who held this thought include Oh Sechang, Kim Donhee, Kim Myeongsik, Kim Yutak, and Kim Gyujin. In this study, the five people mentioned abov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ncludes Oh Sechang, Kim Donhee, and Kim Myeongsik, and they maintained the perspective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of accepting Western cultures and techniques with maintaining Eastern thought and system. The other includes Kim Yutak and Kim Gyujin, and they ha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nlightenment by paintings and calligraphy. Oh Sechang’s theory expressed a strong sense of succession to the tradition in the fear that the traditional paintings and calligraphy of Joseon, which contained the spirit of our nation, would be los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Kim Myeongsik’s point of view was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expressing Eastern Way in Western frame under the consciousness that Eastern culture was equal as Western civilization. Kim Donhee’s theory was thoroughly built on the basis of tradition, so he showed a modern attitude based on tradition but sensitive to the new. Kim Yutak’s perspective of cultural enlightenment by paintings and calligraphy was about removing bad habits through paintings and calligraphy and moving on to new habits to enjoy the status of world-class civilization. Kim Gyujin’s perspective of cultural enlightenment by paintings and calligraphy showed that paintings and calligraphy represented culture and the culture wa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power, which meant that the development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was the national development. Coincidentally, all of them are the people who came together a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y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both new and old paintings and calligraphy, researching East-West art, and nurturing younger generation”. Some of them claimed the theory of cultural enlightenment by paintings and calligraphy. However, the activities of all of them were mainly under the auspices of the imperial family or the office of Lee Dynasty. Therefore, whether their perspective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started from the thought of expressing Eastern Way in Western frame or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enlightenment, it is the fact that they strongly perceived the value of traditional succession as a colony of Japanese imperialism. The thoughts arising from the conditions of social history influence the aesthetic activities of those who are close to the conditions. There is much debate over whether to see them as nationalists or as pro-Japanese apostasy. Now is the time to think about the significance of that distinction. They could be called nationalists in that they tried to succeed the national tradition, and pro-Japanese group in that they tacitly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Nevertheless, they had a strong traditional consciousness to inherit the national tradition. Why did they have no choice but to embrace the traditional paintings and calligraphy that had already lost their reason for existence due to Japanese imperial strength? The point of understanding their identity and perspective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might be here. 근대 한국서예는 역사적 격변을 거치면서도 무조건적인 서구화와 근대화를 추수하기보다는 당대와 전통 사이에 한국적 정체성을 모색해 왔다. 이는 넓은 의미에서 볼 때 그것은 한국 근대서화발전의 원동력이었다. 개항 이후 제국주의 시대가 도래하자, 근대적 문물수용의 욕구 속에서 서화인들은 東道西器와 文明開化論의 사유로 양자를 절충하고자 하였다. 이런 사유는 식민지 문화활동에 개입하게 되는 1920년대 이전까지 지속되었다. 당시 이런 사유를 견지한 인물로는 오세창, 김돈희, 김명식, 김유탁, 김규진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위에서 거론한 다섯 사람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오세창과 김돈희, 김명식을 실체화용론적 서화관을 견지했던 인물로, 김유탁과 김규진을 문명개화론적 서화관을 견지한 사람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오세창의 着色人文論은 일제강점기 하에서 우리 민족의 정신이 담겨있는 조선의 전통서화가 망실될 것을 우려하는 마음에서 전통에 대한 강한 계승의식을 천명한 것이다. 김명식의 실체화용론은 동서문명이 대등하다는 의식 하에서 동도서기론적 관점에서 전개된 서화관이다. 김돈희의 舊本新參論은 철저한 전통의 기반 위에 구축되었는데 전통에 기반하면서도 새것에 민감한 근대적 태도를 보여준다. 김유탁의 문명개화론적 서화관은 서화로 나쁜 습관을 제거하고 새로운 습관으로 나아가 세계 일등 문명의 지위를 누리자는 것이다. 김규진의 문명개화론적 서화관은 서화는 문명을 대표하고 문명은 국력의 발전이므로 서화의 발전이 곧 국가의 발전이라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이들은 모두 “신구서화의 발전과 동서미술의 연구와 向學後進의 교육 등을 목적”으로 내세웠던 서화협회로 결집했던 인물들이다. 이들의 활동은 주로 구황실 및 이왕직의 후원 내지 관계 하에서 이루어졌지만, 이들의 서화관이 동도서기의 사고방식에서 출발했든 문명개화론에 두었든 간에 일제의 식민지로서 급속히 文明開化가 진행되는 조건에서 반사적으로 전통계승의 가치를 강하게 인식한 것은 다름없다. 사회 역사의 조건에서 발생한 사상과 노선은 그에 가까이 다가선 이들의 미적활동에 영향을 끼친다. 이들을 인물들을 민족주의자로 볼 것인지 친일변절자로 간주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가 분분하다. 이제는 과연 그러한 구분의 유의미성에 대해서도 생각할 때가 되었다. 이들이 민족전통을 계승하려고 했다는 점에서는 민족주의자라고 해야 할 것이요, 총독부의 사업에 암묵적으로 협력했다는 점에서 친일세력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민족전통을 계승하려는 강한 전통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는 한가지이다. 그들은 왜 일제강점으로 이미 존재이유를 잃어버린 전통서화를 끌어안고 있을 수밖에 없었는가. 이들의 정체성과 서화관을 이해하는 지점은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성당의 음주문화와 광초, 그 서예문화적 의의

        전상모(Jun,Sang-Mo)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3 No.-

        예술의 역사는 祭酒에서부터 飮酒로 전이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狂草가 풍미했던 성당의 서예문화는 술과 분리해서는 생각할 수 없다. 당대는 경제가 발전하고 문화의 교류가 빈번했다. 경제의 번영은 예술가들이 생활고에서 벗어나 문학이나 예술에 진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으며, 그들의 시야를 넓혀주어 광초가 생겨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도교와 불교는 무 속의 자리를 대신했다. 도교는 일종의 인본주의 사상으로 자유를 원하는 문인들과 지식인들의 환영을 받았으며, 현실 속의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깨달음을 얻을 것인가 하는 자각과 반성의 분위기 속에서 선종도 관심을 끌었다. 이런 사상적 바탕에서 술은 무속이 물러난 자리를 대신하여 예술의 유력한 동반자가 되었다. 경제발전은 음주의 대중화를 열었다. 인구의 1할을 음주인구로 계산하더라도 양곡이 500만 근이나 소비되었다. 술이라는 정신적 양식이 확보된 그 지점에서 예술이 시작되었다. 상공업이 발전하면서 도시와 시장이 생겨나고 화폐가 증가했다. 교통과 화폐의 발달과 주점이나 반점의 성행은 행인들에게 이동의 편리를 제공함으로써 행로문화의 발달에 기여했다. 주점이나 반점은 공연장이었으며, 그 중심에는 酒狂과 그 狂士 가 휘두르는 광초가 있었다. 현실에서의 억압된 자아를 풀어주는 것은 상상이다. 이상상은 술에 의해서 활성화되고 고양된다. 서예는 고전시가와 마찬가지로 심령의 자유를 지향하는 표현예술이다. 그것은 구속을 초월하여 낭만적인 자유를 지향하는 酒 神精神과도 일치한다. 장욱과 회소의 광초는 고전시가와 마찬가지로 주광의 상태에서 정신적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을 믿고 마음껏 비상했던 자취이다. 성당의 광초가 사람들에게 칭송받은 이유는 바로 인간의 정감을 표현해냈고 대중과 호흡했기 때문이다. 당시 시인들이 노래했던 광초는 바로 지면 위의 강렬한 무용이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유념해야 할 것은 광초가 왜 그렇게 사람들에게 회자되었던가 하는 것이다. 하나는 취광의 상태에서 인간의 정감을 숨김없이 발산하는 행위예술이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관중들도 창작할 때의 감흥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공연예술이기 때문이다. The history of art is a process of transition from libation to drinking The calligraphy culture in the prospering period of Tang Dynasty, when the wild cursive script has been prevalent, can not be considered apart from alcohol.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economies developed, and cultural exchanges were frequent. The prosperity of the economy has laid the ground for artists to concentrate on literature and art, escaping the difficulties of life, and It also provided an atmosphere in which artists can broaden their horizons and create the wild cursive script. Taoism and Buddhism took the place of shamanism. Taoism was a kind of humanistic thought, and it was welcomed by literary and intellectuals who wanted freedom. Zen Buddhism also attracted attention in the atmosphere of awareness and reflection that people concerned about how they would gain enlightenment in the real world. On this philosophical basis, alcohol became a powerful companion of art on behalf of shamanism. Economic development opened the popularization of drinking. Even if the population of drinking population was calculated as 1% of the population, the grain was consumed by 2 and half million kilograms. Art began at that point where spiritual forms of alcohol were secured. As commerce and industry developed, cities and markets emerged and money increased.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urrency, and the activities of bars and restaurant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traveling culture 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passengers. The pub or restaurant was the theater, and at the center was the drunken madness and the wild cursive script that the mad man wielded. It is an imagination that releases the oppressed self in reality. This imagination is activated and enhanced by alcohol. Calligraphy, like the classical poetry, is an expression art that aims for the freedom of the spirit. It coincides with the spirit of liquor that is transcending redemption and aiming at romantic freedom. Like the classical poetry, ZhangXu and HuaiSu’s wild cursive scripts were trails that have escaped from the spiritual bondage in the state of drunken madness and believed in himself and emerged to his heart. The reason why the wild cursive script in the prospering period of Tang Dynasty was praised by people is because it expressed the human feeling and breathed with the public. The wild cursive script that the poets sang at that time was the intense dance on the paper. What we should keep in mind is why the wild cursive script was the talk of the town. One is because it is a performance art that freely expresses the feeling of human being in the state of the drunken madness. The other is because it is a performing art that the audience can share with the inspiration of the creation.

      • KCI등재

        왕양명의 ‘광자(狂者)’ 정신과 그 자득 경지

        전상모 ( Jun Sang Mo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40 No.-

        공자의 ‘狂狷’ 사상은 중국사상사에서 혁신적이면서도 혁명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양명은 그야말로 전무후무한 ‘狂’의 聖者이자 ‘聖’의 ‘狂者’였다. 양명은 양지학에 대한 자기 확신이 있어 다른 사람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狂者의 胸次’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는 ‘성’의 경지에 들어섰지만 ‘광’을 배척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광’을 포기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광’과 ‘성’을 하나로 보았으며 심지어는 ‘광’을 ‘성’이 되는 필수조건으로 보았다. 그는 공자가 제시한 ‘광견’ 사상을 적극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서로 다른 ‘유가적 聖人’과 ‘유가적 狂人’의 사상으로 발전시켰다. 그 자신도 ‘狂病’을 치유하기 위해 ‘광자’ 정신을 일생 견지했던 ‘聖狂’이었다. 양명은 ‘광자’를 성인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지닌 사람으로 보았다. 그런 ‘광자’의 기질을 지닌 曾點을 높이 평가했다. 증점의 기상은 어떠한 의도나 기필이 없기 때문에 증점과 같은 ‘광자의 흉차’를 지닌 사람은 어떤 장애나 막힘도 없어서 어디를 가든 ‘自得’하지 않음이 없다는 것이다. 양명은 각 개인들이 지니고 있는 기질이나 자질의 특성을 중시했고, 궁극적 지향점은 양지의 실현에 있었다. 양명은 기질의 특수성을 지닌 증점을 중용의 덕을 갖춘 군자로 평가했는데, ‘광자’의 기상을 인식하는 것이 학문을 하는 과정에서 ‘자득’의 관건이 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양명은 政事에 관여하건 名敎를 실천하건 행위 주체의 ‘和樂’한 정신경계가 선재되어야 한다고 했다. 양명이 말하는 ‘화락’은 주변 환경의 반향이나 평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심적인 자아감수에 있다. 양명은 이를 ‘자득’이라고 일컫고 그가 추구하는 최고의 경지도 또한 어디를 가든 자득하지 않음이 없는 것이었다. 양명은 광자가 세속적인 오염을 초탈하는 데 용감할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일체의 세속적인 인연이 모두 性의 本體가 아님을 아는 데 있다고 한다. 이는 양지의 경지 즉, 혼연히 하나가 되어 분별이 없고, 對待가 없는 자유자재의 경지이다. 이런 경지가 세속적인 구속을 초월하는 것은 ‘자득’의 관건이다. 창조적 영감은 초월에서 나온다. 그런 점에서 양명의 ‘광자’ 정신도 자유의 정감이 표출된 자유정신의 변형이라 하겠다. Confucius' thought of ‘Progressiveness and Obstinacy(狂狷)’ has innovative and revolutionary meaning in Chinese history of thought. Yangming was a ‘Saint’ of ‘Progressiveness’ and a ‘Progressive Man’ of ‘Saintliness’. Yangming was able to attain ‘the mind of a progressive man’ without being shaken by the evaluation of others because he had self-conviction about the study of the innate knowledge. He reached the stage of a ‘Saint’, but he did not reject nor give up ‘Progressiveness’. He rather viewed ‘Progressiveness’ and ‘Saintliness’ as one, and even saw ‘Progressiveness’ as a necessary condition to become a ‘Saint’. He actively interpreted Confucius’ idea of ‘Progressiveness’ and ‘Obstinacy’, and developed it into the two different ideas of ‘Confucian saint’ and ‘Confucian progressive man’. He was a ‘saintly progressive man’ who adhered the spirit of a ‘Progressive man’ for a lifetime in order to heal his ‘ills of progressiveness’. Yangming regarded a ‘progressive man’ as a person who had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saint, and he highly appreciated CengDian(曾點) with such a temperament of a ‘progressive man’. Because CengDian’s spirit has no intention or assurance of fulfillment, the person who has the ‘mind of a progressive man’ like CengDian does not have any obstacles or interruptions so that he is always able to accomplish ‘self-attainment’ wherever he goes. Yangming emphasized the temperaments or qualities of each individual, and his ultimate goal was to realize the innate knowledge. Since Yangming believed that the recognition of a progressive man’s spirit was the key to accomplish ‘self-attainment’ in the process of studying, he evaluated CengDian, who possessed the specificity of the temperament, as a man of virtue who possessed a virtue of the mean. Yangming said that the spiritual boundary of ‘Harmonious Enjoyment’ of an action subject should preexist regardless of whether he was involved in political affairs or practiced the teaching of Confucius. ‘Harmonious Enjoyment’ that Yangming said is not in the repercussions or evaluation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in the individual's inward self-supervision. Yangming referred to this as the ‘self-attainment’, and the highest stage that he pursued was to accomplish self-attainment wherever he went. Yangming said that the fundamental reason why a progressive man can be courageous in avoiding secular corruption was because he knew that all secular ties were not the substance of nature. This is a stage of the innate knowledge, and it is a stage of liberty in which there is no differentiation or correlation. It is the key to accomplish the ‘self-attainment’ that such a stage transcends the secular restraint. A creative inspiration comes from transcendence.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hat the spirit of a ‘progressive man’ that Yangming pursued is a variation of the spirit of liberty that the feelings of liberty is expressed in.

      • KCI등재

        澹軒 李夏坤의 書畵美學思想 硏究

        전상모(Jun, Sang-mo) 한국서예학회 2012 서예학연구 Vol.20 No.-

        澹軒 李夏坤(1677-1724)은 문예활동을 통해 자기만의 ‘사상의 자유’를 구가했던 대표적 문인으로 문예비평가ㆍ장서수집가ㆍ서화수장가ㆍ서화감평가였다. 그는 조선조 문인들의 전통적 사유였던 ‘以道爲文’에서 벗어나 ‘道’ 대신 ‘識’을 설정하여 문예의 독자성을 주장하였다. 그는 ‘識’의 ‘高博’이 ‘文’의 ‘高博’을 좌우한 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儒ㆍ佛ㆍ道 및 陰陽ㆍ占術ㆍ醫術ㆍ星曆 등 모든 학설을 통섭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전의 문인들이 사용하지 않았던, ‘自得’ㆍ‘眞文’ㆍ‘胸 中流出’ㆍ‘信手相應’ㆍ‘習氣’ㆍ‘眞詩’ 등의 비평용어를 구사하였는데, 이는 唐宋派의 唐順之와 公安派의 三袁으로부터 온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양명학적 학술사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그렇지만 당순지가 주장한 ‘本色’의 표현이나 이하곤이 주장한 ‘識’의 확충은 인간 본연의 개체성을 인정하고 주체자아를 중시하는 양명학적 사유이다. 그는 산수 유람에서 얻은 견문이나 절경을 시문으로 표현하거나 그림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 한편, 소식의 ‘詩情畵意’, 원굉도의 ‘眞’, 동기창의 ‘山水傳神’ 등을 主體自得的으로 해석하여, 자연대상으로부터 회화가 갖는 독립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수준에 이르는 단서를 보여 주었다. 서예에서는 서체의 전형을 二王에 두고, 작가의 ‘本色’을 중시하였다. 서예를 鑑評하면서 ‘習氣’를 경계하고, ‘辭意飛動’한 글씨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가 중시한 ‘본색’은 작가의 영원한 독자성이었다. 회화에서는 士大夫畵를 이상적으로 여기고 ‘邪甛’와 ‘院氣’를 부정적으로 여기면서, 詩意와 畵意를 기준으로 삼았는데, 그가 제시한 방법론은 ‘神情‘ㆍ‘自家胸中流出’ㆍ‘信手揮灑’ㆍ‘天機’ 등이었다. 비록 정치하지는 않지만 우리산천의 ‘眞面目’을 그려내기 위한 自得的 방법론의 모색이었다. 요컨대, 이하곤은 ‘博學高識’을 바탕으로 당순지의 ‘本色論’을 비롯하여, 명ㆍ청대의 문예론과 서화론을 주체자득적으로 수용하고, 창조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자신의 독특한 서화미학사상을 펼쳤다. As Damheon Lee Ha-gon(澹軒李夏坤)(1677-1724) i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had enjoyed his own 'freedom of thought through literary activity, he was a literary criticㆍbibliophileㆍprivate collector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ㆍappraiser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He asserted originality of literature by establishing 'Vijnana(識)’ instead of 'Tao(道)’ with escaping from 'needing to control sentence with the Tao(以道爲文),’ which had been traditional thinking in literary people of Joseon dynasty. He insisted on uniting all theories such as Confucianism(儒)ㆍBuddhism(佛)ㆍReligious Taoism(道) & yin and yang(陰陽: the cos-mic dual forces)ㆍdivine(占術)ㆍmedical practice(醫術)ㆍastrology-calendar(星曆) with sticking to the position as saying that ‘height and broadness(高博)’ in 'Vijnana’ controls ‘height and broadness’ in‘sentence(文).’ He made good use of critical terms such as ‘self-complacency(自得)’ㆍ‘perfect writings(眞文)’ㆍ‘being automatically motivated from the heart(胸中流出)’ㆍ‘Being naturally harmonized even if writing as oneself likes(信手相應)’ㆍ‘bad habit(習氣)’ㆍ‘true poetry(眞詩)’ that hadn't been used by former writers. This is what came from Tang Shun-zhi(唐順之) in a group of writers who followed tang-song literature(唐宋派) and The Three Mr. Yuan Brothers(三袁) in a group of writers who followed Gong-an literature(公安派). However, he was negative to their Yang-ming school-based academic thought. However, the expression of 'one's original mind(本色)', which was asserted by Tang Shun-zhi, or the expansion in 'Vijnana,’ which was asserted by Lee Ha-gon, is the Yang-ming school-based thinking that recognizes the natural individuality in a human being and emphasizes the subjective ego. He had knowledge or superb view, which was obtained from travelling to mountains and waters, as the basis of expressing it with poetry and prose or evaluating picture. Meanwhile, he showed a clue of reaching the level of recognition on independent value that painting has from natural object, by analyzing Su Shi's ‘poetic state of mind and the significance of paintings(詩情畵意),’ Yuah hong-dao's(袁宏道) ‘truth(眞),’ and Dong gi-chang's(董其昌) ‘reflecting the spirit of the landscape (山水傳神)’ based on self-complacency. In calligraphy, he emphasized writer's 'own original mind' with putting a model of calligraphic style in Wang Xi-zhi and son(二王). With making appraisal of calligraphy, he looked to 'one's original mind’ and highly rated handwriting with ‘what was talked with writing or word is literally alive(辭意飛動).’ 'One's original mind' that he stressed was a writer's eternal originality. In painting, he had a poetic state of mind and the significance of paintings as the basis while regarding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士大夫畵) as ideal and deeming ‘greasy(邪甛)’ and ‘decorative painting(院氣)’ as negative. Methodology that he suggested included ‘vitality(神情)‘ㆍ‘Jagahyungjungyuchul(自家胸中流出: being automatically motivated from own heart(mind))’ㆍ‘Writing in own way(信手揮灑)’ㆍ‘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天機).’ Even if being not exquisite, it was a pursuit for self-acquired methodology in order to depict ‘one’s true self(眞面目)’ in our mountains and streams. After all, Lee Ha-gon did spread his unique thought of the calligraphic aesthetics by accepting and creatively re-analyzing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the theory of calligraphic painting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including Dangsunji's 'discourse on one's original mind(本色論)’ based on‘erudition and a high knowledge(博學高識).’

      • KCI등재

        星湖 李瀷의 經世的 書藝認識

        전상모(Jun Sang mo) 한국서예학회 2016 서예학연구 Vol.28 No.-

        인간다운 삶이 어떠한 삶인가를 지도하는 것이 유학의 목표이다. 따라서 유학은 禮敎를 통하여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한 敎化를 사회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星湖 李瀷은 생전에는 근기남인의 학문적 종장으로 존경받은 인물이다. 그는 성리학적 실학자이기에 앞서 폭넓은 문예적 소양인이었다. 본고는 성호의 문예인식과 서예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성호는 ‘文以載道’ ‘道本文末’적 사유를 견지하였다. 이러한 사유는 효용적 측면에서 문예를 보고, 문예를 통해 經國濟世를 실현하고자하는 현실참여 의지를 반영한 실용적 문예관이다. 첫째, 성호는 理와 氣를 大와 小로 그 역할을 구분하는 새로운 理氣論을 구축하고 실제적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하학정신으로 관념적인 공허한 논쟁보다는 功效를 중시하는 실천적 經學觀을 전개하였다. 둘째, 성호에게 문예란 公的인 理의 성질을 가진 善(道)을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문예란 治國의 道를 실현하고 사회를 경장하는 수단이 된다. 셋째, 성호는 시문과 서화를 ‘儒士之害’라 하여 경중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無用之技’라고까지 하였다. 이같은 성호의 서화인식은 철저한 경세의식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성호의 서예본질론은 外樣에만 경도되어 필획을 마음대로 첨삭하거나 자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 있던 당대 서가들을 비판하고 형태와 정신의 통일을 강조한 것으로 이해된다. 넷째, 성호는 서예의 외적인 形質보다는 필획에 응축된 神彩와 精神을 강조하였다. 성호는 書의 본질적인 면을 중시하였다. 그는 篆書를 서의 전범으로 삼아 그 전형으로 眉叟篆을 내세웠는데, 이는 미수전이 내포하고 있는 정신사적 의미를 깊이 인식하고 거기에 큰 의의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요컨대 성호의 경세적 서예인식은 서예의 본질회복운동이자 사회개혁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The goal of Confucianism is to teach people how they live like a human being. Therefore, Confucianism tries to educate people through Propriety in order to let them live like a human being for the purpose of social education. Seongho Lee, Ik has been respected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South school in the vicinity of capital until he died. He was not only a realist of Neo-Confucianism but also a man with a wide knowledge of literature. This study investigated Seongho’s consciousness of literature and calligraphy. Seongho sticked to the thought of ‘Wenyizaidao(文以載道, Loading Way into literature)’ and ‘Daobenwenmo(道本文末, Way as an essence and literature as an end)’. This thought is the practical view of literature that a will to participate in reality to govern world through literature by accepting literature in utilitarian aspect reflected on. Firstly, Seongho established a new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distinguishing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into the roles of Big and Small. Also, he had an interest in practical issues. In addition, he developed the practical view of studying classics emphasizing virtue rather than an abstract and empty argument. Secondly, to Seongho, literature was to express Goodness(Way) with the nature of a public Principle. Therefore, he considered literature as a means to realize the Way of governing a country and to reform a social system. Thirdly, Seongho regarded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s as not only harm to Confucian scholars but also a useless art. Seongho’s consciousness of calligraphy was based on a thorough governing consciousness. Seongho’s essentialism of calligraphy criticized the calligraphers of the time who were away from the essence of calligraphy by correcting the strokes or changing the forms. Also, it emphasized the unification of form and spirit. Fourthly, Seongho emphasized internal spirit condensed in strokes more than external form. On the other words, he emphasized an essential aspect of calligraphy. He made the seal script a model of calligraphy and suggested the style of Misu’s seal script as an example of the seal script. It showed that he realized a spiritual meaning in the style of Misu’s seal script and impart a significant meaning to that. In conclusion, Seongho’s governing consciousness of calligraphy could be a restoration movement of calligraphy’s essence and a social reform movement.

      • KCI등재

        성호 이익의 실학적 회화미학

        전상모(Jun, Sang-Mo)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3

        星湖李瀷(1681~1763)의 학문은 참으로 깊고 넓다. 본고는 성호의 성리학적 실학자로서의 사실주의적 인식론과 그것에 바탕한 실용주의적 회화론을 전개하였다. 성호의 인식론은 性과 理를 구별하여 성을 인간의 형기 속에 품부된 하나의 속성으로 파악하고, 性命은 公이고 善이며 形氣는 私이고 善惡을 겸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그에게 예술이란 공적인 리의 성질을 가진 善(道)을 표현하는 것이었다. 또한 그는 리와 성을 구별하고 성의 주재적 역할도 부여하지 않고 성을 대신한 심의 기능을 새롭게 강화하였다. 성호의 이러한 사유는 회화미학 형성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성호의 회화정신은 진경에 대한 가식 없는 묘사로 표현의 시각적 효과를 중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조형의식은 사의중시로 인한 폐단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비록 사의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나 대상의 眞形에 어긋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이었다. 이러한 형사정신은 모방적 관념적 작풍에 대한 반성의 계기로 작용하였다. 성호는 회화를 入道次第의 수단으로 본다. 그가 주자와 퇴계의 서원이 있는 〈武夷圖〉와 〈陶山圖〉에 관심을 가진 것은 주자와 퇴계가 성호에게는 동격의 위상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들의 학문에 대한 존숭의 표시에서였다. 이러한 성호의 회화미학은 그림 자체에 대한 가치관이 아니라 유자적 관념에 입각한 상대적 가치관이라 하겠다. Study of Seongho Yi Ik (1681~1763) is truly extensive and profound. This thesis is to develop Seongho’s realist epistemology as a scholar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ilhak) and pragmatic painting theory based on his epistemology. Seongho’s epistemology considers that Xing (性) is an inborn attribute within Hyeonggi (形氣, human’s external shape and spirit) by differentiating Xing (性) and Li (理) and that one’s life is of publicness and virtue while Hyeonggi is of privateness and both virtue and vice. Art from his perspective, therefore, is to express virtue with public nature of Li. In addition, he differentiated Li and Xing and newly reinforced functions of mind (心) which replaces Xing even without giving Xing’s presiding role. Seongho’s such thinking acts as one factor to form painting aesthetics. Seongho’s painting spirit puts emphasis on expression’s visual effect with candid description of real landscape. That formative sense of his was to overcome negative effects incurred due to stress on expressing one’s inner feelings. Even though he did not deny the expression of inner feelings itself, he was deeply negative to a point that it is against an object’s true shape. Such imitating spirit worked as a chance of self-reflection on imitative and conceptual idiom. Seongho regards painting as a means of order to reach the realm of Confucian ethics (入道次第). That he was interested in Muido (武夷圖) and Dosando (陶山圖) with Xhu xi’s and Toegye’s vows means that Xhu xi and Toegye were of equivalent status to him and that Seongho expressed respect for their studies as well. Seongho’s painting aesthetics can be considered as relative values based on Confucian ideas rather than ones on painting itself.

      • KCI등재

        양명 심학의 미학적 이해

        전상모 ( Jun Sang-m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본고는 양명 심학의 미학적 의의를 밝히기 위해 양명의 3대 학설을 각각 심물동체(心物同體)의 본체미학(本體美學), 사상공부(事上工夫)의 실천미학(實踐美學), 심상공부(心上工夫)의 체인미학(體認美學)으로 정의하고 양명 심학을 미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양명의 ‘심즉리설(心卽理說)’로 보면, 가치의 주체를 벗어나서는 그것의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양명이 말한 ‘심외무물(心外無物)’은 ‘심외물(心外物)’의 실재적 존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심외무물’의 가치적 존재를 말하는 것이며, 그것은 이미 일종의 주객관이 통일된 의상(意象)이다. 양명에 의하면 의의의 세계는 ‘심(心)’이라는 이 본연의 존재를 떠날 수 없고, 단지 대상이 심체에 들어갔을 때만이 심체는 비로소 의의를 건립하고 구성 할 수 있다. 오직 대상세계를 심령 중에 납입시켜야만, 대상세계를 주체세계에 대해서 말해야만 비로소 의의가 있는 것이다. 주체의 관조를 떠난다면 대상세계의 존재는 다만 하나의 자연의 존재일 뿐이고, 주체에 있어서는 아무런 의의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심물동체의 본체미학이라 하겠다. 양명 심학의 ‘지행합일(知行合一)’설은 ‘지’와 ‘행’이 본래 하나의 공부이고, 그것들은 하나의 과정의 두 가지 측면이다. 이런 관점으로 보면 지식이나 ‘도(道)’(‘미(美)’)의 획득은 실천 공부로부터 오고, 진정한 지식도 단지 모든 행동이 있어야만 비로소 의의를 가진다. 인격의 수양을 완성하여 양지의 가치적 잠재가 심미적 실천의 ‘지행합일’ 과정에서 체현된다. 양명은 심미활동이 일종의 정신활동일 뿐만 아니라 실천 속에서 인격의 완선함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그리하여 유가의 실천미학의 전통을 더욱 높고 더욱 자각적인 경지로 끌어 올린 사상공부의 실천미학이라 하겠다. 양명 심학에서 ‘치양지(致良知)’의 목적은 바로 사람들의 ‘물욕’을 제거하고 양지를 체득하는 것이다. 양명은 양지를 명백하게 깨달아 오직 습속에서 만들어진 의미의 세계를 없애야만 비로소 치양지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여겼다. 마음의 본체는 언어를 사용해서는 파악할 수 없으며 오직 마음으로만 ‘도’(‘미’)의 파악할 수 있고 ‘도’(‘미’)의 자체에 도달할 수는 없다고 여겼다. 이와 같은 양명의 직각적 관조 방식은 이성적 분석을 배제하고 전체적 깨달음과 파악을 중시하는 심상공부의 체인미학이라 하겠다. In order to clarify the aesthetic significance of Yangming school of mind, this study defined the three major doctrines of Yangmingism as Substance aesthetics which considered that mind and things had the same substance, Practical aesthetics of studying through practice, and Experiential aesthetics of studying mind, and it intended to aesthetically understand Yangming school of mind. From the perspective of Yangming’s ‘doctrine that mind is the very Principle’, there is no value beyond the subject of value. Yangming’s thought that there is no things without mind does not mean the actual existence that exists outside of mind but the value existence of the thought that there is no things without mind, which is a kind of imagery that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unified. According to Yangming, the world of meaning can not leave the original existence of ‘mind’, and only when the object enters the core of mind, the core of mind can attach the meaning. It is significant only if the world of object should be put into the spiritual mind and only if the world of object is related to the world of subject. If the world of object leave the contemplation of the subject, it exists as a natural existence, and it has no significance in the subject. Therefore, it can be called the substance aesthetics which considers that mind and things have the same substance. The doctrine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Yangming school of mind is originally a study of ‘knowledge’ and ‘action’, and they are two aspects of a proc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r the ‘Way’(‘Beauty’) comes from a practical study, and a true knowledge has significance only if all actions are followed. The potential value of the innate knowledge is realized in the process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by completing cultivation of personality. Yangming believed that the aesthetic activity was not only a kind of mental activity but also an attainment of personality of complete goodness in practice. Therefore, it is the practical aesthetics of studying through practice which brings up the tradition of Confucian practical aesthetics to the higher and more self-conscious state. The purpose of the extension of the innate knowledge in Yangming school of mind is to eliminate people’s ‘worldy desires’ and to experience and attain the innate knowledge. Yangming believed that people were able to reach the state of the extension of the innate knowledge only after they clearly realized the innate knowledge and got rid of the world of meaning made in the conventional world. The substance of the mind can not be grasped by using the language, and only the mind can grasp the ‘Way’(‘Beauty’) but can not reach the ‘Way’(‘Beauty’) itself. This kind of Yangming’s intuitive contemplation method is Experiential aesthetics of studying mind that emphasizes the whole enlightenment and grasp by excluding ration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