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전리상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장애인근로자들의 차별경험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장애인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차별경험과 삶의 질 사이에서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전라남도 지역 장애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검증을 위해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 자아존중감, 삶의 질 척도 등을 선정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은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차별경험과 삶의 질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장애인근로자들의 자아존중감이 차별경험과 삶의 질 사이에서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애인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제언하면, 첫째, 참여대상의 지역적 연구범위와 표본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차별경험의 영향을 완화・개선할 수 있는 변수들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성인장애인 평생교육의 성과인식과 삶의 질의 관계-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전리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Performance andQuality of Life in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Leesang Ch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life of adult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on lifelong education of the disabled and conducted a survey to verify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abled people were often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Second, the learning outcomes such as cognitive, learning, affective, and social domains and the quality of life were correlated.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lifelong edu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f the disabled. Fourth, only social domain among the performance recognition areas of lifelong education learn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that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is necessary based on the area of performance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future studies, it is required to verify the performance awareness of each lifelong education program. Key Words: Adult with Disability, Lifelong Education, Learning Outcome, Perception of Performance, Quality of Life 성인장애인 평생교육의 성과인식과 삶의 질의 관계-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전 리 상** 요약: 이 연구는 성인장애인 평생교육에 관한 성과인식과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평생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들이 평생교육 참여경험과 참여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인지적 영역, 학습적 영역, 정의적 영역, 사회적 영역 등의 학습성과 영역들과 삶의 질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장애인들의 평생교육 참여 경험 여부에 따라 평생교육 성과인식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넷째, 평생교육 학습의 성과인식 영역들 중 사회적 영역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인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성과인식 영역을 토대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별로 성과인식에 관한 검증이 요구된다. 핵심어: 성인장애인, 평생교육, 학습성과, 성과인식, 삶의 질 □ 접수일: 2022년 5월 16일, 수정일: 2022년 6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본 연구는 초당대학교 2021년도 학술연구과제 연구보조비 지원으로 이루어짐. ** 초당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조교수(Professor, Chodang Univ., Email: chonls@cdu.ac.kr)

      • 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여가생활 유형, 문화생활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전리상,조홍중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tyles of leisure activity style and enjoyment of culture activ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fluence to life's satisfaction. For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t performed to survey on disabled perso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t was used to statistical analysis by SPSSWIN 21 windows package. Analysis method w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First, kill time activity of leisure styl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much more than the other. Second, satisfaction degree of culture activ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less than ordinary level. Third, satisfaction degree of culture activ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ppeared to influence positively for life's satisfaction of them. To increasing of life's satisfaction degre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have to supply systematic equipments and programs to increasing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y and enjoyment of culture activity. But because less power of explanation for this regression equation, it have to be more additory and specific research for generalizing this research‘s resul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여가생활 유형과 문화생활 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58명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적 통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위한 도구로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여가활동 유형은 소일활동의 유형(1주일에 주 4회 이상이 53.5%)이 다른 여가활동 유형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문화활동 향유는 일반적 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문화생활 만족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여가활동 참여와 문화활동 향유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와 프로그램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에 대한 설명력이 낮아 보편적 적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노인의 심리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분석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전리상,조홍중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심리적 특성들 중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탐색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존감, 소외감, 상실감, 우울감 등의 심리적 특성을 선정 하였으며,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18부를 회수하여 부실한 응답을 제외한 203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양적분석 방법을 택하였 으며, SPSS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비율분석, 기술적 통계분석,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들의 심리적 특성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노인들의 자존감, 소외감, 상실감, 우울감, 삶의 만족 등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노인들에게 있어서 소외감 과 우울감은 삶의 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존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실감은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해 볼 때,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존감 향상, 그리고 소외감과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을 개발해 운영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o achieve this purpos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alienation, loss, and depression were sele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lderly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218 copies were collected and 203 copies were analyzed, excluding poor responses. To draw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SPSSWIN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The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d ratio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elf-esteem, alienation, los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econd, for the elderly, alienation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owever, lo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policies and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and reduce alienation and depress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리상,조홍중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2

        This study is positive research to figure out enculturation types and to analysis influence of enculturation types on life's satisfaction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By precedent study, enculturation types was classified by integration factor, separation factor, assimilation factor and marginalization factor. To achieve objectives of study, we carried out sampling,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result of study, integration factor and assimilation factor were appeared positive influence and separation factor was appeared negative influence statistically on quality of life of them. Therefore for quality of life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it need to develop interact system with native persons, support opportunity to associate with koreans, and promote fair treatment and interaction of koreans for them. And government have to execute multiculturalism policy more than assimilation policy. this study have that was samples’s regional limitation, few variables limitation, and cross-sectional research’s limitation. Therefor it needs more wide and depth research than this for future.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문화적응 유형을 파악하고, 이 유형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문화적응유형을 동화 요인, 변화 요인, 주변화 요인, 분리 요인 등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응유형들 중 통합 요인, 동화 요인 등이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분리 요인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결혼이주여성들이 우리나라에 잘 적응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의 본국 가족, 친구 등과의 교류장치 개발, 또한 한국 사람들과 어울릴 기회 확대, 한국 사람들의 친근한 처우와 교류 촉진 등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에서의 거시적 정부정책도 동화주의 정책 보다는 다문화주의를 지향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는 표본의 지역적 한계,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 변수의 한계, 횡단적 연구로의 한계 등으로 앞으로는 더 폭넓고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전리상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과 삶의 질 관계에서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검증을 위해 장애인근로자의 차별경험, 장애수용, 자아존중감, 삶의 질 척도 등의 변수를 선정하여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인근로자로 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은 삶의 질과 긍정적인 관계를 갖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은 차별경험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장애인 근로자의 차별경험 영향의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차별경험과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이, 그리고 장애수용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장애인근로자들에게 장애수용과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For verification, variables such as discrimination experience, disability acceptanc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cal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nd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rker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the Jeollanam-do region,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life.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Third,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to improve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steem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by confirming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self-esteem through research.

      • 시각장애인의 「물리적 접근권」에 대한 인식 연구

        전리상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7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접근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의 접근권을 밝히는 것은 그들의 접근권 향상을 위해서는 물론 복지서비스 정책의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조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시각장애인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사용한 접근권 척도는 전부 24항목이며 5개 하위영역(도로교통, 공중·공공이용시설, 교통연결, 공중이용기기, 교통수단)으로 구성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Alpha)가 0.873이었다. 5개의 개별적인 하위영역별 접근권에 대한 인식의 결과는 각 영역별 요인에 대하여 각기 다른 만족도나 불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접근권에 대한 각각 하위영역별 만족도는 「교통수단」, 「도로통행」에 있어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교통연결」, 「공공·공중이용시설」, 「공중이용기기」의 영역에서는 매우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시각장애인의 접근권과 복지정책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 KCI등재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특성 분석

        전리상,조홍중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nalysi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According to the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Leesang Chon & Hongjoong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propose its necessity.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preceding study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conducted a survey to verify it, and conducted t-test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lienation, los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awareness, and economic statu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liena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need to develop and utilize various leisure and welfare program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Key Word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elf-esteem, Alienation, Depression, Loss, Life Satisfaction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특성 분석전 리 상*ㆍ조 홍 중**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심리적 특성의 분포를 비교 분석하고, 그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분석과 교차분석을 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연령,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 인식 정도, 경제적 상태에 관한 인식 정도 등에 따라 자존감, 소외감, 상실감, 우울감, 생활만족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 유무에 따라 자존감, 소외감, 우울감, 생활만족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 및 제언: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을 토대로 여러 가지 여가 및 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해 활용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핵심어: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자존감, 소외감, 우울감, 상실감, 생활만족 □ 접수일: 2022년 9월 12일, 수정일: 2022년 9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초당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Chodang Univ., Email: chonleesang@hanmail.net)** 교신저자,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학부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onnam National Univ., Email: chohj@jnu.ac.kr)

      • 장애인 여가문화의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전리상,오종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9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6 No.2

        여가문화의 권리는 인간의 기본적인 사회권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도 이러한 여가문화적 권리를 누릴 권한이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은 여가문화적 권리를 향유하는 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의 여가문화에 대한 실태와 욕구를 조사하는 것이다. 장애인들의 여가문화의 실태와 욕구를 밝히는 것은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물론 복지서비스 정책의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조사는 전국의 장애인 2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장애인의 소득, 여가유형, 여가지출 비용, 여가문화에 대한 욕구 등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 장애인들은 여가시간을 생산적,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보다는 소비적이고 소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과 지역사회의 장애인 여가문화적 여건의 미비로 인한 것이었다. 따라서 장애인이 여가문화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여가문화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고 지역사회의 장애인 여가문화 활동에 대한 분위기 및 여건의 조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장애인의 여행실태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전리상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As focused on attention on travel, this study’s goals are to explore travel’s actual condition, the variables to influence self-esteem of the disabled. For this reason, it was deduced research model through the precedence research and surveyed by sampling in Jeollanamdo and Gwangju city. It was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and a target of analysis was 285 c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ate of disabled’s travel appeared more low than that of the whole peoples. Second, the subjective cognition of the disabled’s about health and travel satisfaction influenced to self-esteem statistically. Third, the disabled is restrained more than the non-disabled because of economical cost and convenient facilities to travel. Hence, for improvement of self-esteem of them, it need to improve the subjective cognition about health and travel satisfaction. But this have limitation by a few samples, regional limitation, and a few variables. 여가의 효율적 활용에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여행실태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지의 탐색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진행하고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WIN 18.0을 활용하여 총 285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전체 국민들에 비해 여행 빈도가 낮았으며, 둘째,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과 여행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장애인들은 경제적 비용과 숙박 및 관광지의 편의시설 문제로 인해 여행에 제약을 받고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 장애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과 여행만족도 향상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의 제한점, 연구범위의 공간적 한계, 소수의 변수만을 대상으로 한 것에서 한계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