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방의 역사: 고아열차와 빈곤 아동의 이미지

        전동호 ( Chun¸ Dongho ),전종설 ( Chun¸ Jongserl ),정익중 ( Chung¸ Ick-joo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7 No.-

        ‘고아열차(Orphan Train)’ 운동은 뉴욕 등 동부지역 대도시의 가난하고 집 없는 아이들을 미국 전역의 농촌으로 이주시킨 일종의 빈민 구제 프로그램으로 1854년과 1929년 사이에 총 20만 명가량의 빈곤 아동이 동부에서 서부로 이동한 것으로 추산된다. 즉 고아나 버려진 어린이들이 뉴욕시 등 인구밀도가 높은 대도시에서 인구밀도가 낮은 미국의 다른 농촌 지역으로 대량 이주했는데 이동이 주로 열차를 통해 이루어졌으므로 후에 고아열차로 알려지게 된 것이다. 사회개혁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브레이스(Charles Loring Brace, 1826-1890)는 1853년 뉴욕시에 아동구호협회를 설립했으며, 도시환경에서 버림받은 어린이들을 농촌의 기독교가정에 보내는 것이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했다. 그는 농촌 생활에 대한 낭만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기술을 배우고 노동자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농촌 지역으로 보낼 대담한 계획을 시도하였다. 이는 1854년 최초의 고아열차 운행으로 이어졌으며 아동구호협회의 고아열차 프로그램은 널리 모방되었다. 보스턴과 시카고의 수녀회(Sisters of Charity)는 4만 명의 어린이를 미국 농촌 지역 가톨릭 공동체에 보냈으며, 또한 영국, 독일, 노르웨이, 스웨덴을 비롯한 여러 유럽 국가에서도 비슷한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본고는 미국의 저명한 삽화가 로크웰(Norman Rockwell, 1894-1978)이 1951년 고아열차를 소재로 삼아 제작한 유화를 지렛대 삼아 국내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고아열차의 출현과 전개를 학술적으로 조명한 글이다. 이 고아들은 누구이며 왜 등장했고 고아열차는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한 것일까? 그리고 이러한 빈곤 아동이라는 사회적 문제에 대해 당대 미국의 미술가들은 어떻게 반응했을까? 본고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시론적 탐구의 여정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그간 학계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아동복지의 역사와 미술사학의 접점을 탐색하고 학제적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이 본고의 일차적 목적이다.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혹은 이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던 아동의 역사는 늘 주류가 아닌 변방의 역사였다. 이제는 아동의 관점에서 이들의 삶과 목소리를 재구성하고 재현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해서는 아동사와 아동복지학 그리고 미술사학 간의 학제적 협력과 고민이 절실하다. The Orphan Train Movement was an early American child welfare program that relocated destitute children from crowded Eastern cities of the United States to foster homes located predominantly in rural areas of the Midwest. The orphan trains operated between 1854 and 1929, transporting roughly 200,000 children. Initiated by Charles Loring Brace (1826-1890) and the Children’s Aid Society that he founded in 1853, the program placed homeless, orphaned and abandoned urban children, exceeding 30,000 in New York City alone in the 1850s, in rural homes throughout the country. They were mainly transported to new homes by trains, hence the term ‘orphan train’ was coined. The movement terminated in the 1920s with the advent of organized foster care in America. Brace’s idea that children are better looked after by families at home than in institutions, however, is the most fundamental keystone of modern foster care. Employing the 1951 painting of the orphan train by Norman Rockwell (1894-1978) as an interlocutor, this article explores the history of the orphan train and its visual representations, a subject hardly known in Korean academia. In doing so, it seeks to establish an interdisciplinary partnership between art history and child welfare studies.

      • KCI등재

        18세기 영국귀족과 여배우

        전동호(Chun, Dong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4 美術史學 Vol.- No.28

        엘리자베스 파렌(Elizabeth Farren, 1762-1829)은 18세기 말 영국의 연극무대를 풍미했던 대표적 희극 여배우이다. 본고는 제4대 영국 왕립미술원(Royal Academy of Arts) 원장을 역임했던 초상화가 토마스 로렌스(Thomas Lawrence, 1769-1830)가 더비백작(Earl of Derby, 1752-1834)의 주문을 받아 1790년 완성한 파렌의 초상화를 집중적인 탐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어려서부터 초상화에 특출한 재능을 보여온 로렌스가 약관 20세에 제작한 이 유화는 세로 238.8 cm, 가로 146.1 cm 이라는 규모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그의 초창기 야심작일 뿐만 아니라 현재 소장자인 뉴욕의 메트로폴리탄박물관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초상화는 1790년 런던에서 열린 왕립미술원 정기전에 처음 출품되어 당대 비평가들의 격찬을 받은 이후 현재까지 유럽과 미국의 다양한 전시회에서 수많은 관객의 사랑을 받아왔다. 이에 필자는 이 초상화가 가지는 다층적인 의미를 먼저 연극을 중심으로 한 당대의 문화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후, 이를 다시 초상화의 제작자인 로렌스, 주문자인 더비백작, 그리고 주인공인 파렌의 다양하고 굴절된 욕망의 교차로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특히 필자는 영국출신의 상징인류학자 터너(Victor Turner)가 발전시킨 ‘리미날리티(liminality)’라는 개념을 파렌 초상화 분석에 적용하여, 이 그림이 궁극적으로 재현하는 실체는 연극과 실제가 불명확한 상황속에서 평민에서 귀족으로, 여배우에서 귀부인으로 변화해가는 파렌의 자기조작과 이에 동조한 로렌스의 욕망으로 파악한다. 저항할 수 없는 그녀의 고혹적 미소,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그녀의 푸른 눈길은 바로 이러한 리미날리티가 함축하는 희망과 동경, 그리고 이루어질 수도 혹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었던 로렌스와 파렌, 더비백작의 뒤틀리고 꿈틀거리는 복합적인 욕망을 배태하고 있다. 결국 이 그림은 한 유명 여배우의 단순한 초상화가 아닌 18세기 말 영국의 화단과 연극무대, 그리고 귀족사회를 관통하는 문화정치의 변증법이 고스란히 담긴 욕망의 화석이다. Elizabeth Farren (1762-1829) was one of leading comic actresses in late eighteenth-century London, specializing in aristocratic roles such as Hermione in Shakespeare"s The Winter"s Tale, Beatrice in Much Ado about Nothing, and Lady Teazle in Sheridan"s The School for Scandal. Thanks to her vivacious character and modesty, she became the mistress of Edward Stanley, 12th Earl of Derby in the 1780s. Due to Lord Derby"s ardent patronage, she was introduced into the cream of English high society and was even placed to manage the Duke of Richmond"s private theatricals at Richmond House which the royal family, along with major figures from the theatre, arts and politics regularly attended. Upon the death of the reckless Countess of Derby in 1797, Farren immediately married Lord Derby and enjoyed a doubtlessly happy marriage afterwards. This paper is a critical investigation into Thomas Lawrence"s full-length portrait of Elizabeth Farren, exhibited at the Royal Academy in London in 1790 to wide public acclaim. Locating the picture"s production and consump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thriving theater culture in late eighteenth-century London, it seeks to address the entangled web of refracted desires at the very heart of the painting of the three parties concerned- Lawrence the painter, Lord Derby the patron, and Farren the sitter. Employing the concept of liminality developed by the British symbolic anthropologist Victor Turner, this article in the final analysis argues that the painting is not just a portrait of a famous actress capturing the likeness of a late eighteenth-century English beauty but a material signifier to register the transient human desires for fame, lust, and status.

      • KCI등재

        변방의 미술: 엘리자베스 키스의 동양 그리기

        전동호(Chun, Dong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0 美術史學 Vol.- No.40

        영국 출신의 화가 엘리자베스 키스 (Elizabeth Keith, 1887/8-1956)는 20세기 전반 조선, 일본, 중국 등 주로 동아시아의 풍경과 풍습, 인물을 담은 180여점의 판화 및 수채화를 남겼다. 특히 ‘신판화 (新版画)’라는 장르로 분류되는 키스의 일본식 채색목판화는 생전에 그녀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키스는 사후 본국인 영국이나 그가 오랫동안 거주했던 일본보다는 한국에서 더 큰 인기와 명성을 얻었다. 그 결과 키스에 관한 연구도 서구보다는 국내에서 더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 국내 키스 관련 연구 상당수는 새로운 1차 사료를 발굴하려는 노력이 미미하다. 그 결과 출처가 불확실하거나 부정확한 추정이 마치 역사적 사실처럼 통용되기도 한다. 새로운 1차 사료를 발굴하려는 노력의 부재와 더불어 대다수 국내 키스 관련 연구가 지닌 또 다른 문제는 비판적 시각의 결여이다. 대부분의 기존 국내 연구는 서양인인 키스가 식민지 조선의 모습을 편견 없이 객관적 혹은 따듯한 시선으로 그려냈다는 다분히 위인전류의 서술이나 해석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키스가 활동하던 시기는 제국주의가 절정에 달했던 시대이고 더구나 키스는 제국주의의 본산이라 할 수 있는 영국 출신이었다. 따라서 키스 개인의 의도 여부를 떠나 키스의 활동과 작품 또한 제국주의적 논리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다. 본고는 미출간된 편지 및 당대 신문이나 잡지 기사 등 필자가 발굴한 1차 사료를 중심으로 기존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거나 논의되지 않았던 키스의 삶과 작품세계를 재조명하고 이를 좀 더 비판적인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물론 한 편의 논문에서 키스의 삶의 궤적을 오롯이 재구성하거나 그가 남긴 모든 작품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는 대다수 기존 국내 키스 관련 연구가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향후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몇몇 방향을 제시하여 20세기 전반 동서양 미술사의 접점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기존 미술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Elizabeth Keith (1887/8-1956) is a British artist who has produced over 180 pieces of watercolors and prints showing various peoples and customs of East Asia. Her Japanese-style woodblock prints, in particular, brought her substantial fame and fortune during her life but she fell into oblivion rapidly after death. Her posthumous reputation, however, has grown steadily in Korea due mainly to the rediscovery of her prints which depict various aspects of Korean culture that have mostly disappeared. As a result, there have been a substantial amount of Korean studies on her and her work. Most of these works, however, lack in original research into unpublished manuscripts and contemporary newspapers and magazines, resulting sometimes in unsubstantiated claims and blatantly spurious information. To make matters worse, most current Korean writings on Keith tend to take hagiographical approaches to her life and work. Based largely on primary contemporary sources, this article seeks to redres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Keith scholarship in Korea by providing solid new documentary evidence and by introducing some critical interpretative framework for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her life and work. This paper, however, does not aim to analyze any particular images she has produced as it would constitute a different line of investigations.

      • KCI등재

        The Image of the Ideal Doctor: Reviewing Luke Fildes’ The Doctor of 1891

        Chun, Dongho(전동호) 서양미술사학회 202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3 No.-

        19세기 후반 영국의 대표적인 사회적 사실주의 작가로 널리 알려진 루크 필즈의 작품 〈의사〉는 서양미술의 역사상 가장 대표적인 의료인 이미지 중 하나이다. 가난한 오두막집 실내를 배경으로 잠에 깊이 빠진 어린 아이와 옆에서 이를 걱정스럽게 지켜보는 중년 의사의 극명한 대비를 통해 이 작품은 삶과 죽음이라는 인류 최고의 드라마를 조용하지만 격렬하게 펼쳐낸다. 〈의사〉는 1891년 왕립미술원 전시에서 폭발적인 대중적 인기를 끌었고 곧 판화로도 제작되어 영국 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커다란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당대 인기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과 관련해서는 주문자가 빅토리아 여왕이라는 등의 여러 잘못된 정보가 아직도 난무하고 있다. 그렇다면 여전히 영미권 의료인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있는 작품인 〈의사〉의 주문자는 누구이며 실제 당대 평론가들은 이를 어떻게 평가했고 또한 커다란 대중적 성공의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본고는 현재까지 미발굴되었던 당대 평론가들의 비평과 작가 자신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 작품의 생산과 수용에 대한 미시사적 재구성을 주요 목표로 한다. 이 과정에서 〈의사〉의 주문자는 당대 대표적인 영국미술 후원자인 테이트(Tate)임이 밝혀지고 평범하지 않은 주제 선택에는 작가의 가슴 아픈 개인사가 녹아있었음이 드러난다. 더구나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실제 당대 비평은 반드시 호평 일색이 아니라 비판적인 평가도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대중적 인기는 빅토리아 시기 영국인들이 지녔던 이상적인 의사상을 필즈가 절묘하게 형상화했다는 점에 있음을 논증한다. The Doctor, painted in 1891 by the English artist Luke Fildes, has been widely hailed as one of the most famous medical images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Set in an impoverished rural English cottage, it highlights the moment of life and death facing a sick child, attended by a caring doctor, and presents the doctor as an unsung hero of the weak. Drawing largely on a variety of contemporary reviews of the picture scatter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many of which have remained hitherto undiscover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wofold. First, it reconstructs the immediate contexts in which the painting was produced and received. In the process such obvious misinformation, still widely circulating on the internet, that it was commissioned by Queen Victoria is definitely quashed. Second, it argues that Fildes succeeded in giving a concrete visual form to an invisible image of the ideal family doctor in Victorian Britain, and that this success was at the heart of the painting"s immense popularity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image of the selfless family doctor, however, is illusory as the vision of selflessness itself may be an illusion that has hardly existed in reality but only in art.

      • KCI등재

        근대 유럽의 공공전시와 미술비평의 등장

        전동호(Chun, Dong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30

        미술비평이란 무엇일까? 미술사가들과 비평가들은 미술비평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나름의 정의를 제시하려고 오랫동안 꾸준히 노력해왔지만, 만인이 합의하는 정의는 아직까지도 없는 실정이다. 물론 미술비평을 단순하게 건축이나 조각, 회화 등 시각매체에 대한 글쓰기나 말하기로 간단히 정의한다면 미술비평은 고대로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서양 고대에서 보이는 단편적인 감상을 넘어서 르네상스기에 들어오면 미술가 및 미술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담론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따라서 근대적 미술비평의 기원을 15세기 이탈리아에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이 시기가 되면 고대에 뿌리를 둔 오랜 문학비평의 전통, 철학적 미학, 인문주의 수사학 등 미술비평이 등장할 수 있는 지적토대가 갖추어졌고, 또한 미술품 수요가 급증하면서 작품에 대한 평가가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르네상스 시기 적지 않은 주문자가 미술가나 자신이 주문한 작품에 대한 논평을 남겼고, 알베르티는 심지어 『회화론』이라는 저서를 저술하기까지 했지만, 이들의 언술을 진정한 미술비평으로 간주하기에는 한 가지 결정적인 문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이들의 진술은 극소수 사람들만이 접할 수 있는 편지나 필사본의 형태로 남겨졌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대다수의 사람들이 상식적으로 이해하는 미술비평이란 우선 과거의 작가나 작품이 아닌 동시대 작가와 작품을 대상으로 하고, 또한 이에 대한 논쟁이나 평가가 몇몇 소수가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인쇄물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근대적 의미의 진정한 미술비평은 수많은 대중이 쉽게 동시대 미술작품을 접할 수 있는 공공전시회가 활성화되고, 이러한 공공전시에 대한 평가가 역시 다수의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인쇄물의 형태로 처음 등장한 18세기 유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고는 18세기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한 미술비평을 당시 급성장한 공공전시와의 연관속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18세기 유럽의 미술비평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연구는 아직 서양의 미술사학계에서도 걸음마 단계이고, 국내에서는 18세기 유럽 신문과 팜플렛 등 방대한 1차 사료에 대한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본고에서는 서양학자들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18세기 유럽, 그 중에서도 프랑스와 영국에서 공공전시와 미술비평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이들의 성격을 정리하고 소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What do we mean by the term ‘art criticism’? Art historians and critics have long been trying to suggest tentative definitions of it, but no definition seems to have been proposed so far that is satisfactory enough to encompass all the activities falling under the umbrella notion of art criticism. If art criticism is taken to connote any kind of discourses, either written or verbal, on visual media, it has been around ever since ancient Greece and Rome. Renaissance Italy, nonetheless, witnessed a series of sustained commentaries on visual arts beyond fragmentary observations, making it feasible to claim that art criticism proper developed in 15th-century Italy. The combination of literary criticism rooted in classical authors, philosophical aesthetics, and humanistic rhetoric all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serious discourses on visual arts, in addition to the rapid growth of demand for artworks for private and public consumption. A number of Renaissance patrons and agents left in written form their impressions and thoughts on what they had seen or commissioned. Although a humanist scholar named Leon Alberti even drafted in 1435 a book called On Painting in Latin, it stops short of being regarded as a piece of art criticism per se since it was not printed until nearly 100 years later, during which it had been circulated in manuscript form among a limited circle of learned scholars and artists. Most people of common sense nowadays would take art criticism to be some literary exercises on contemporary artists and their works, not so much on past art. Moreover, Such exercises are expected to be published in print form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share them openly and easily. In this sense, the modern form of art criticism first appeared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public art exhibitions to which ordinary people had easy access were regularly mounted and remarks on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s were easily available so that anybody who wished or bothered to know about them could be readily informe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some critical moments in the emergence of modern art criticism in eighteenth-century Europe in relation to vibrant public exhibition culture. Given the near inaccessibility from South Korea to primary sources in the form of numerous newspapers and pamphlets housed in European archives, this paper cannot be argued to contain substantial amount of original scholarship, but purports to present a summary account of the historical advent of art criticism in France and England in the eighteenth century.

      • KCI등재

        미모 만들기: 18세기 영국 메리 그레이엄의 초상화

        전동호(Chun, Dong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4 美術史學 Vol.- No.48

        토마스 게인스버러 (Thomas Gainsborough, 1727-1788)는 영국 회화의 황금기로 알려진 18세기 후반 영국 화단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게인스버러가 남긴 수 많은 초상화 중에서도 1777년 완성된 <메리 그레이엄의 전신 초상화>는 제9대 캐스캐트 남작 (Lord Cathcart)의 둘째 딸이자 스코트랜드의 부유한 지주였던 토마스 그레이엄 (Thomas Graham)의 아내인 메리 그레이엄 (Mary Graham, 1757-1792)을 화폭에 담았으며 당대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메리 그레이엄은 동시대인들도 이구동성으로 인정한 미인으로 특히 초상화 속 그녀는 18세기 귀족적 아름다움과 우아함의 화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그림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게인스버러 특유의 거친 붓질 (brushstroke)이 선명히 드러나며 이를 통해 관람객은 우리 앞에 서 있는 여인은 현존하는 실제 인물이 아니라 화가의 붓을 통해 탄생한 재현임을 불현듯 깨닫는다. 그렇다면 그림 속 메리의 미모 또한 실재가 아니라 화장술 및 화가의 붓끝을 통해 탄생한 허상일까?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과거 초상화 속 여인의 아름다움은 자연의 선물인가 아니면 만들어지는 것인가? 만약 만들어지는 것이라면 창작 혹은 왜곡의 주체는 누구인가? 초상화의 주인공인가 아니면 화가인가? 본고는 메리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이러한 질문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해답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초상화에서 ‘미모(human beauty)’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성찰해 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메리의 초상화는 초상화 속에 또 다른 초상이 숨어있는 일종의 ‘메타 회화’임을 밝히고 자연의 산물인 메리의 미모를 재현하는 작업은 단순히 ‘모방 (mimesis)’이 아니라 작가인 게인스버러의 ‘창작 (invention)’임을 역설한다. Thomas Gainsborough (1727-1788)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in the history of British painting. He has produced a number of idyllic scenes of rural England as well as iconic faces of British celebrities in the eighteenth century. Among his numerous portraits, The Honourable Mrs Graham, exhibited at the annual exhibition of the Royal Academy of Arts in London in 1777, is the epitome of his mature style to combine the realistic rendition of the aristocratic sitter’s physical beauty, and elegance with his imaginative use of detailed props such as the fluted column and plinth. Mary Graham was a noted beauty and this portrait is known to have captured her likeness so vividly that one contemporary reviewer deemed her “a divinity.” On closer examination, however, one easily finds Gainsborough’s typical sketchy brushstrokes especially on her skirts, revealing that what one sees is not a beautiful woman in flesh and blood but a pictorial representation of a human being. This realization compels us to ponder over the nature of her beauty: is she just endowed with the Nature’s blessing or is her beauty manufactured by her cosmetics and Gainsborough’s artistry?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mbivalent dynamics of human beauty depicted on canvas by focusing on the interplay between Mary’s beauty as a natural property and her beauty as a representation. In the final analysis, it is argued that the painting is a self-aware image, a meta-picture to refer its presence to itself and that to represent Mary’s beauty is an act not only of mimesis but also of an engaging invention on the part of Gainsborough.

      • KCI등재

        닮음의 한계: 에마 해밀턴의 초상화

        전동호 ( Dongho Chu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2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0 No.-

        It is commonly assumed that a good portrait captures the sitter’s likeness faithfully and the individual represented would be easily identified. Recognizing a likeness seems to be an instinct that requires no intellect or education. What does it mean, then, when one fails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the same individual painted in many different portraits by one or more painters? Does it simply indicate different artists have different styles? Does it have to do with the sitter’s different makeup or dress? Does it show the painters’ different levels of technical skill in capturing the sitter’s likeness? Or does it point to the beholder’s lack of ability to notice the resemblances? What complicates the matter even more is the fact that there is no ‘original’ to be compared with faces on canvas when it comes to historical portraits for which the sitters have been long deceased. How do we, then, make sense of the issue of likeness in historical portraiture? This paper addresses this question of pictorial likeness in the case of Emma Hamilton, an internationally noted English beauty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who mesmerized countless contemporary men from all walks of life. Since nobody living today has ever seen her, no one can confirm that her extant portraits capture her likeness. What do her portraits resemble, then? What are they portrayal of? This paper explores the cultural politics and dynamics of Emma’s portraits, focusing on those executed by George Romney, and argues, following Marcia Pointon’s contention, that they are in essence ‘factish,’ combining facts and fetishes.

      • 시각문화론적 연구를 위한 시론

        전동호(Dongho Chun)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06 Visual Vol.3 No.-

        This paper outlines a programmatic scheme for an investigation into the English aristocracy’s consumption of visual culture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It aims to address one of the most intriguing but neglected historical questions in the history of art: how did a landed aristocracy, its political and social power firmly rooted in a rural economy, manage to forge and guide national tastes in arts? Based on a wide survey of the literature on English aristocracy and visual arts, the proposed study examines the cultural politics of art patronage and collecting with a view to reformulating it as part of visual cuture studies. In doing so, the study locates the reception of the visual arts by the English aristocracy within the context of identity formation, nation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Although the study construes the English nobility’s achievements as a group, it also presents a detailed picture of some prominent individuals’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of national taste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visual arts helped to negotiate historical contingencies and to meet human desires.

      • KCI등재

        고상한 취미: 영국 그로브너 백작 가문의 미술 후원과 수집

        전동호 ( Chun Dongho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8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1 No.-

        미술 후원과 수집은 지난 30여 년간 미술사학의 중요 탐구 분야로 급성장하였다. 그 결과, 개별 미술후원자나 수집가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증가하여 유명 후원자나 수집가에 대한 연구 성과도 상당히 축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지식은 지극히 제한적이다. 즉, 이미 발굴된 후원자나 수집가보다는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미술애호가가 훨씬 더 많다. 영국미술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19세기 이전까지 영국의 주요 미술 후원과 수집은 왕족이나 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따라서 찰스 1세(Charles I)나 아룬델 백작(Earl of Arundel)을 비롯한 주요 귀족 후원자나 수집가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한 시대를 풍미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인물들도 여전히 많다. 그 중 대표적인 경우가 그로브너(Grosvenor) 가문이다. 현재 영국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 중 한 사람인 웨스트민스터 공작(Duke of Westminster)을 배출한 그로브너가문은 잉글랜드 체셔(Cheshire)지역에 뿌리를 둔 영국을 대표하는 명문가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18세기 그로브너 가문을 귀족으로 격상시킨 리차드 그로브너(Richard Grosvenor)와 그의 아들인 로버트 그로브너(Robert Grosvenor)의 미술후원과 수집을 조명한 글이다. 전통 깊은 지주 집안 출신의 리차드 그로브너는 18세기 중엽 자신의 부와 정치적 인맥을 이용하여 연이어 남작과 백작 작위를 받아 영국사회의 최상위인 세습작위귀족(peerage)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당대 영국주요 화가들의 후원자로 성장했다. 아들인 로버트는 웨스트민스터 후작(Marquis of Westminster)이라는 한 단계 더 높은 후작 작위를 받아 가문의 영광을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르네상스와 바로크 거장들의 작품을 집중 수집하여 19세기 초·중반 영국을 대표하는 미술수집가가 되었다. 본고는 현재까지 미발굴되었던 편지 등 1차 사료를 중심으로 아버지와 아들 그로브너의 미술 후원과 수집을 당대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새로운 자료와 분석을 바탕으로 지금껏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던 그로브너 가문의 미술 후원 활동을 소개함으로써 영국미술사 및 미술 후원과 수집의 역사에 작게나마 기여하려는 것이 필자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The history of art patronage and collecting has now been firmly established as a burgeoning area of research in art history, and countless articles, books, and even a respectable journal have been devoted to the subject. As a result, an unprecedented amount of knowledge has been accumulated on individual or institutional patrons and collectors in various countries throughout the entire human history. There are, nevertheless, huge gaps in our understanding of past collections which often do not exist anymore or exist in much different form from their original context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ll the gap by providing an incomplete preliminary account of one such neglected English aristocratic family of patrons and collectors, namely, the Grosvenors. Based on newly discovered archival sources as well as published materials, this essay focuses in particular on the achievements of the first two Grosvenors who founded an aristocratic dynasty and the germ of their art collection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In doing so, it seeks to throw some fresh light on the cultural politics of art patronage and collecting.

      • KCI등재

        조슈아 레이놀즈의 『미술담론 Discourses on Art』다시 읽기

        전동호(Chun Dongho),윤희경 서양미술사학회 2010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3 No.-

        Sir Joshua Reynolds's Discouses on Art constitute one of the most eloquent expositions of Neo-classical theory of art, Delivered originally as lectures to the students at the Royal Academy, the texts present in elegant language the art theory of the previous three hundred years and suggest attitudes preval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Reynolds's overall subject is the proper education of the artist, He is concerned with the key issues relating to the problem: the purpose of art, the nature of the creative process, the role of imitation and imagination in the creation of the artwork, the importance of hard work and ceaseless study of the Old Masters, etc, He deals with these questions with such a breadth and lucidity as to won the immediate admiration of his contemporaries and the book has continued to hold the attention of students of art history and criticism ever since. No other piece of writing on art by an Englishman has enjoyed such sustained respect, This essay is an attempt to introduce the texts to Korean students of Western art , locating the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academic setting for which there were intended, and of the contemporary reception and responses. In addition, it seeks to argue that Reynolds's theory adopted the terms and concepts of the discourse historians now describe as civic humanism. According to this account, the republic of the fine arts was seen to be structured as a political republic; the most dignified function to which painting could aspire was the promotion of the public virtues; and the genres of painting were ranked in accordance with their tendency to promote them. Since only free citizens of the political republic could embody these virtues, the highest genre, history painting was mainly addresses to them, serving ultimately the interest of this landed aristocratic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