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세계시민의식 교육 모형연구

        장진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Media Literacy and Global CitizenshipEducation Model Through FilmJintae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media literac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using world films, and to redevelop the teaching model by verifying its effectiveness. After the researcher was in charge of teaching and design and developed the subject, the student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zoom interviews during the semester. Text coding and nodes were created using Nvivo 12, a computer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and searched and analyzed focusing on keywor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tudents’ positive answers to access and analysis ability, which are components of media literacy, showed high scores, while evaluation and creativity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questions about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ll scored high in human rights awareness, multi-cultural awareness, and global community consciousness, but relatively low in actual questions asking for particip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focus more on critical evaluation and productive creation than students’ access abilit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organize educational programme to substantially improve global problems through participatory culture. Key Words: Film, Media Literacy, Global Citizenship, Creative Ability, Participatory Culture 영화를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세계시민의식 교육 모형연구장 진 태* 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 영화를 활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와 세계시민의식 교육을 진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교육모델을 재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자가 교안과 설계를 직접 담당하고 과목을 개발한 후, 한 학기동안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줌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컴퓨터 질적 자료 분석 도구인 Nvivo 12를 활용해 텍스트 코딩 및 노드를 작성하고, 핵심어를 중심으로 탐색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미디어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접근능력과 분석능력에 대한 수강생들의 긍정적인 답변은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평가능력과 창조능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로, 세계시민의식 교육에 관한 수강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묻는 문항은 인권 의식, 다문화 의식 그리고 글로벌 공동체 의식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실제로 참여 의사를 묻는 문항에서는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수용능력보다는 비판적인 평가능력과 생산적인 창조능력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고, 세계시민의식 교육에서는 학생들의 단순한 인식과 태도 변화보다는 참여문화를 통하여 지구촌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교육 모델로 재구성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영화, 미디어 리터러시, 세계시민의식, 창조능력, 참여문화 □ 접수일: 2022년 3월 7일, 수정일: 2022년 3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한양사이버대학교 공유전공학부 교수(Professor, Hanyang Cyber Univ., Email: jintaecall@hycu.ac.kr)

      • KCI등재후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형을 이용한 신용보증기금의 경쟁력 분석

        장진태 신용보증기금 2018 중소기업금융연구=Journal of SME finance Vol.38 No.1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 중소기업 지원기관인 신용보증기금의 경쟁력 분석을 위해 2016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보고서를 토대로 포터의 다이아몬드모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포터의 다이아몬드모형은 국가간 경쟁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유용한 툴로서 인정받고 있는 데, 핵심적인 내용은 국가나 산업의 경쟁력은 생산요소조건, 시장수요조건, 경영여건, 관련 산업 및 지원사업이라는 4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으로, 국가를 하나의 조직으로 볼 수 있다면 13개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의 경쟁력 분석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결과, 13개 공공기관들은 평균적으로 생산요소조건, 시장수요조건, 경영여건에서 비교적 양호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련 산업 및 지원사업 분야가 열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보의 경우 전체적으로는 분석결과와 동일한 경쟁력 구조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타 기관과 비교했을 경우에는 경영여건 분야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신용보증제도를 포함한 정책금융제도 상호간의 효율성 분석 또는 경쟁력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신보의 경쟁력이 약한 것으로 분석된 부문에 대해서는 보완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신보는 정책의 단순한 수용자가 아닌 적극적 재생산자로서 역할 변화를 해야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체된 기관의 성장세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던 신보의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포터의 다이아몬드모형을 탐색적으로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의 한계점은 향후 연구진행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영어 성찰일지 쓰기를 통한 자기주도학습의 향상

        장진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학생들이 영어로 작성한 자기성찰일지가 그들의 자기주도적인 영어 학습과 영어쓰기 숙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EFL 상황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자기 성찰 일지를 통한 자기주도성과 영어쓰기에 대한 태도의 변화; 2) 자기성찰일지의 역할; 그리고 3)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사의 역할 등을 조사한다. 경기지역의 한 대학교에서 한 학기동안 이루어진 이 연구는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생들의 영어 성찰일지와 사전·사후 설문지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고, 이 자료들은 코드별로 분리되며 내용분석 기술에 의해 분석되었다. 참여자의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과 일지를 한 학기동안 작성함으로써 얻게 된 경험 그리고 학습 환경에 관련된 어려움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정보는 세심하게 연구주제별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의 학습일지가 영어쓰기의 자신감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매일 해야 할 일을 상기시켜 줌으로써, 그들의 학습목표와 목적을 분명하게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결과적으로,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을 활용하기위해서는 내적학습 동기가 과정 내내 부여되어야 하고, 영어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학습을 메타인지적 전략을 통하여 구상화 하고, 구조화 할 수 있으며, 시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examines how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ffect their self-directed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English writing proficiency in a tertiary EF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1)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and English writing by keeping reflective English journals; 2) the role of reflective journals; and 3) the teacher's role in improving the students' self-directedness in ELT. The participants were a group of voluntee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the course of an academic semester, and included a pre- and post-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reflective journals, and both individual as well as group interviews, which were analyzed by using an open-coding and content analysis. In so doing, the participants' discursive formation related to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nd professed difficulties from the experiences of keeping English journals throughout the course; learning environments were carefully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helped them to improve English writing confidence and furthermore to clarify their learning goals and objectives to deepen their learning purposes by indicating daily to-do lists. Consequently, in order to utilize self-directed English leaning, intrinsic motiv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out the course and English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underst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such as visualizing, mapping English learning contents and also to utilize effective use of time schedules.

      • KCI등재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학습자의 셀프 영어단어장 효과 연구

        장진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셀프단어장의 효과를 연구 실험을 통하여 밝히는데 있다. 여기서 셀프 단어장이란 학습자가 앱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어휘목록을 직접 만든다는 것을 뜻한다. 그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도권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을 각각 설정하였다. 실험반 참여자들은 약 3개월 동안 스마트폰 앱을활용한 수업방식으로 참여하였고, 비교반은 기존의 교재중심의 암기와 문제풀이 수업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사전 및 사후 영어 어휘능력 평가지, 설문지와 그룹 인터뷰, 그리고 참여자의 자기성찰일지 등이사용되었다. 영어능력평가를 전·후 실시한 비교한 결과, 실험반에 유의미한 점수 변화가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앱 사용에 관한 흥미와 만족도가이 그룹에 더욱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셀프단어장 활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주도적 학습뿐만 아니라 어휘학습에서의 자기효능감도 함께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self-produced English vocabulary using Smart-phone Apps through research experiments. The self-produced vocabulary means that the learner directly creates a list of vocabulary by means of an authoring tool.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an experimental and a comparative group were set up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class were taught using the Smart-phone App for about 3 months, and the comparative class was taught by the teaching materials of English textbook, based on memorization and problem solving techniques.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pre- and post- assessments, questionnaire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s' self-reflection diaries. After conducting the assessments, significant changes in scores wer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degrees of interest and satisfaction with using Smart-phone Apps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use of self-produced vocabulary using Smart-phone Apps showed that students could have an opportunity to increase not only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ut also self-efficacy in learning vocabulary.

      • KCI등재

        이주여성과 한국인 남편 간의 내면적 갈등 연구

        장진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Study on Inner Conflict Between Immigrant Womenand Korean HusbandsJintae Ch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conflicts and feelings of inferiority caused by racial, cultural, and sexual discrimination that migrant women and Korean husbands who have married internationally might experience together in a multicultural family. To this end,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28 cou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ver half a year, and interview data were prepared through text coding and nodes using Nvivo12, a qualitative data analysis tool for computer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racial discrimination still exis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d inferiority complexes due to skin color and racial differences exist even between married couples. Second, they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each other’s culture due to different cultural experiences and heterogeneous customs among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Third, despite the widespread ideology of gender equality in Korean society,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still oppressed by the patriarchal male power and have a sexual inferiority complex.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 suggested Alfred Adler’s personal psychology on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life’s tasks, self-determination, and recovery of the community for multicultural families.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y Community, Discrimination, Inferiority Complex, Individual Psychology, Self-determination 이주여성과 한국인 남편 간의 내면적 갈등 연구장 진 태* 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국제결혼한 이주여성과 한국인 남편이 다문화 가정 속에서 함께 겪을 수 있는 인종적・문화적 그리고 성적 차별로 인한 내면적인 갈등과 열등의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8쌍의 다문화 가정의 부부를 대상으로 반년에 걸쳐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면담자료는 컴퓨터용 질적 자료 분석도구인 Nvivo12를 활용하여 텍스트 코딩과 노드(nodes)을 통해 작성되었다. 그 결과 첫째로, 한국의 다문화 가정에서 인종적인 차별의식은 여전히 존재하며, 부부간에도 서로 피부색과 인종적 차이로 인한 열등 콤플렉스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로, 국제 결혼한 부부간의 서로 다른 문화적 경험과 이질적인 관습으로 인해 그들은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로,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남녀평등사상이 매우 보편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가정 내에서는 아직도 이주여성들이 가부장적인 남성권력에 눌린 채 성적 열등 콤플렉스를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연구자는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학 차원에서 다문화 가정의 부부에게 삶의 과제인식과 자기결정력 그리고 다문화가정 공동체 회복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다문화가정 공동체, 차별, 열등 콤플렉스, 개인심리학, 자기결정력 □ 접수일: 2022년 1월 8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한양사이버대학교 공유전공학부 교수(Professor, Hanyang Cyber Univ., Email: jintaecall@hycu.ac.kr)

      • KCI등재

        몸짓기반 게임 활동을 통한 초등영어의 리듬과 강세 연구

        장진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6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otion-based game activities (clapping & jumping)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hythm and str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udy, students were grouped into two: a motion-based game group and a text-based communicative group. Variability indices of syllables were acoustically measures to calculate the rhythm and stress of the students while two native speakers of English participated in evaluating the data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 that motion game activities as well as text-based communicative activities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English rhythm and stress, In particular, this study carried out an objective rhythmic calculation of utterances using acoustic measurements as well as perceptual evaluation of native speakers. Based on observation and group interview data, the results implies that English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by using motion-based game activities, could help their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listening and speaking practices and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of rhythm and stres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분절음에 대한 영어 발음교육차원으로 몸짓 게임 활동(리듬에 맞추어 손뼉 치기, 점프 하기 등)을 통하여 영어의 리듬과 강세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학급 두 개 반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연구 대상자 그룹을 실험집단 즉, 몸짓 게임 활동을 통한 영어의 리듬과 강세 수업 적용대상과 비교집단 즉, 영어교과서를 이용하여 듣고 따라 말하는 일반적인 수업 적용대상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녹음내용을 분석하기위해 리듬과 강세 학습 전·후의 학습자 발화 리듬을 음성분석 프로그램(PRAAT 6.0)을 통하여 측정하고, 객관적인 리듬 지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 발화녹음을 토대로 두 명의 원어민의 주관적인 청취 평가 점수도 반영하여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반과 비교반의 평균값이 수치상으로는 근소한 차이를 보이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비록 몸짓기반 게임을 활동했던 실험반이 약간 우위를 차지했지만, 각 수업방법 모두 연구수업 이전에 비해 영어학습에 교육적인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났다. 통계적 결과로서는 비록 몸짓기반 게임 활동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영어의 리듬과 강세교육에 더욱 우월하다는 점을 입증하지 못했지만, 질적 연구의 방법인 참여자 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자신감의 향상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그 주제를 연구 질문에 따라 1) 참여자 중심의 과업수행과 흥미정도 2) 박수와 외침을 통한 자신감 표출 3) 리듬을 통한 영어듣기와 말하기 실력 향상 4) 단어와 문장의 이미지 연상과 영어의 음악성(musicality)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몸짓기반의 게임 활동은 교사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발성과 적극성 그리고 몰입감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어의 리듬감과 강세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단어연상과 이야기구성을 통한 초등영어 어휘 지도

        장진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and perspectives of teaching vocabular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word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The subjects were sixty-four students in the fifth grade in Gyeonggi-do.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twelve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explore the students' perspectives on learning vocabulary and focused on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ocabulary lear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as found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howing no improvement in vocabulary learning ability. Secondly, learners showed interest and satisfaction toward the use of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while learning vocabulary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are suggested: 1) word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should be considered pedagogically in vocabulary instruction to promote interest and confidence in young learners; and 2) various activities based on word association and story-telling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for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to enhance student vocabular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영어 어휘 지도방법 중에 하나인 단어의 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통한 교 실내 지도 방법을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그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1) 단어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통한 어휘지도방법은 초등 학습자의 단어 이해와 암기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2) 초등영어 학습자들은 연상과 이야기구성을 통한 어휘 지도방법에 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소재 M 초등학교 5학년 중 2개 학급 총 64명이다. 초등 5학년 영어교과서에 제시된 단어를 토대로 자유연상과 이야기 구성의 지도방법을 실시한 한 개의 반 31명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시하지 않은 또 다른 반 33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초등 학습자의 목표 어휘 학습의 이해력과 암기력의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영어어휘 능력 평가지, 사후 설문지와 그룹인터뷰, 그리고 연구자의 비디오 수업 관찰 일지 등이 사용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 어휘능력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집단내의 사전·사후 어휘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런 차이는 단어 연상과 이야기구성을 통해 학습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어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낸다. 영어 어휘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즉, 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학습방법의 효과에 관한 설문에서는 전체적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영어어휘학습에 대한 소감문의 결과로서, 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중심으로 한 어휘학습의 효과는 연상을 통한 기억강화와 이야기 구성을 통한 의미연결이라는 주제에 맞추어 구분되었다. 이런 연상과 이야기 구성을 통한 의미중심의 어휘학습은 기존의 일반적인 단어의 철자 및 음성 반복중심의 어휘학습보다는 학생들에게 집중력을 높이고,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 영어학습자의 상·하위권 수준별 독해전략

        장진태,이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H 중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성취도별로 학습자들의 실제 읽기전략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해 설문지 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학습자 수준별로 어떤 전략 지도가 필요한지를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상위학습자가 주로 활용하는 읽기 전략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는가? 둘째, 중학생 하위학습자가 주로 활용하는 읽기 전략과 그 한계는 무엇이며, 상위학습자가 사용하는 전략과 어떻게 다른가? 결론적으로 상ㆍ하위권 학습자에 따라 읽기 전략을 가르칠 때, 중점을 두어 보완해야 할 점은 각각 무엇인가를 논의하며,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하위 학습자들 모두 전략별 빈도의 순위를 매겨보면 문제해결 독해전략(PROB), 총체적 독해전략(GLOB), 지원적 독해 전략(SUP)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읽기 능력에 따른 읽기 전략의 사용 빈도를 알아본 결과 상위권일수록 읽기 전략을 더욱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같은 전략을 사용하더라도 상위 학습자와 하위학습자가 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상위 학습자는 같은 읽기전략을 사용하여도 텍스트의 전체적인 의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였지만 하위 학습자는 국부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기 위해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상·하위 학습자 모두 문제해결 독해전략을 가장 빈번하게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는데 이것은 내신과 시험 중심의 학습 환경의 영향으로 학습자가 주로 문제해결을 위한 목적으로 독해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으로 기인된 것이라 판단된다. 교육적 제언으로는 입시위주의 문제풀기 읽기 전략 사용을 지양하고, 영문독해의 다양한 접근방식과 흥미를 함양시키기 위해 이야기 자체에 관심을 불러 올 수 있는 읽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지도하여 다양한 읽기 전략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among Korean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s regards their reading proficiency. This evalu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in orderto provide useful guidance to English teachers for teaching reading strategies to their students. The main questions are which reading strategies are frequently used by high-proficiency students and how do they use them which reading strategies are frequently used by low-proficiency students and what are their weaknesses in using reading strategies and what are thebetween high-level students and low-level students' reading due to their strategy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use reading strategies in the order of problem solving strategies (PROB), global reading strategies (GLOB) and support reading strategies (SUP). Second, high-proficiency groups show a far greater use of all reading strategies. Third, there are qualitative differences in reading-strategy use between the two groups. The high-level students use reading strategies to understand the overall text, while the low-level students use the same reading strategies to focus on speci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high-proficiency students need to perceive larger reading units. Since their different scope of reading units affects reading strategy use, high-proficiency students need practice using them in larger meaning units. For low-level student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y use information from the context to infer the meaning of the text rather than from their background knowledge since the main source of misunderstanding is from their inappropriate background knowledge.

      • KCI등재

        셰익스피어 작품의 온라인 교육모형 평가

        장진태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셰익스피어 작품을 온라인 교양과정으로 개발하여 그 가치를 평가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인 평가 항목으로는 1) 이것이 온라인 교양교육 모형으로서 적절한지, 2) 심리학과 연계된 융・복합 모델로서 효율적인지, 3) 온라인 영어학습과정으로서 효과가 있는지를 이 과목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선 이 교육과정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양과목으로서 적합하며, 고전적인 셰익스피어 과목도 얼마든지 온라인 학습으로 개발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심리학과 연계된 이 과정을 통하여 수강생은 셰익스피어의 전형적인 인간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응답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 작품을 통하여 실용영어를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은 높은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온라인 교양과정으로서 셰익스피어 교육을 논의하였고, 향후 4차 산업의 교육과정에 필요한 융・복합 콘텐츠의 하나인 교육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Shakespeare’s work as an online liberal arts curriculum. The specific evaluation items are 1) whether this is appropriate as an online liberal arts teaching model, 2) efficient as a multidisciplinary education model linked to psychology, and 3) whether it is effective as an online English language learning course.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telephone interview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urse is suitable as a liberal arts and any classical Shakespeare’s work can be developed as an online learning. The researcher has also received a positive response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a concept of humanism through this curriculum connected with psychology. However, the fact that students could learn practical English through Shakespeare’s work was not highly supported. This paper discusses the Shakespeare education as an onlin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ggests a teaching model in various types of converged contents for the 4th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