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케네디의 현실주의 베트남 정책 거부 -냉전외교의 한계-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1

        The paper examines how and how John F. Kennedy and their advisers made decisions on Vietnam between 1961 to 1963 during which American interventions began in a serious level. When Kennedy came into the office, the Vietnam situation waited for his decision on whether the United States would go deep inside the Vietnam including military intervention or just take modest steps of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to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 Kennedy who trusted the South Vietnamese leader Ngo Dinh Diem strongly urged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support the government including military aid, if necessary, as well as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He believed in “domino theory” as he considered Southeast Asia strategies to contain Communism. Most of his advisers also thought same as Kennedy. Some of his advisers such as Chester Bowles, John Kenneth Galbraith, Mike Mansfield, and George Ball moved beyond the paradigm of containment and falling dominoes. They provided a realistic assessment of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outh Vietnam for the United States and regarded the current American policy there as being futile and misguided. These four important advisors urged an American disengagement and supported a political solution of neutralizing Vietnam. Why did Kennedy disregard the advice of these men? First, there is Kennedy’s view that by backing Diem he was helping a government that offered a real alternative to Communism and , with American assistance, would succeed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Second, Kennedy’s own campaign proposal to stand firm against Communism might have trapped him in the growing Vietnam quagmire. He could not accept his realistic advisors suggestions which included a lot flexible reactions. That is why he took such a hard lines including military warfare and ideological battlefield in the region. America was conceived with a sense of mission and dedicated to the extension of freedom throughout the world. Americans also thought that abandoning Vietnam would produce a fundamental threat to the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Chonbuk National University) 본 논문은 케네디 대통령 임기 초기부터 논란이 되었던 베트남 정책에 대하여 케네디와 그 참모들의 논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미국의 베트남 외교정책이 어떤 과정을 거쳐 결정되는가에 대한 과정의 일면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대통령과 그 참모들을 포함한 고위 외교정책 결정자들이 정확한 정보와 합리적 논의과정을 거쳐 정책을 결정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편견에 더 많이 좌우된다는 상식적이고 매우 오래된 명제가 베트남 정책 결정과정에서도 예외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당시의 시대상황, 즉 냉전적 힘의 외교라는 공식을 거부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여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는 참모들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단 베트남 정책에만 해당되지 않겠지만, 당시의 강경한 냉전적 사고가 미국의 정치 외교를 지배했던 상황을 고려한다면 상당히 흥미로운 일이라고 여겨진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다룸으로써 케네디 행정부 시기 동안 베트남 정책 결정의 우여곡절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미국 외교의 세 가지 측면, 즉 예외주의, 현실주의, 국제주의 중에서 케네디의 베트남 정책도 예외 없이 미국의 예외주의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지만, 그 전과 후의 행정부에 비하여 현실주의자들의 주장이 상당히 설파되었다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논점이다. 케네디의 참모들 중 베트남 정책과 관련하여 현실주의 외교노선을 주장한 사람들은 보울즈(Chester Bowles), 갈브레이드(John Kenneth Galbraith), 맨스필드(Mike Mansfield), 볼(George Ball) 등이었다. 그들은 베트남이 미국 안보에 중요하지만 미국의 힘의 한계와 안보 중요성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고려한다면 국제연합의 주도하에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중국, 일본 등 관련국들이 베트남 중립화 방안을 합의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케네디에게 조언하였다. 그러나 케네디는 남베트남의 지엠 정부를 지원함으로써 그 지역에서 공산주의를 저지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었고, 1960년 자신의 대통령 선거전에서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공산주의에 대한 유화정책을 강도 높게 비난하면서 자신은 다를 것이라고 공언하였기 때문에 현실주의 정책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았다. 즉 이러한 그의 강경 발언이 베트남 수렁에서 빠져나기 어려운 상황을 자초한 측면이 있다. 즉 그는 국내에서 자신이 했던 비난과 똑같은 비난을 듣지 않기 위해 베트남에 대하여 강경노선을 견지할 수밖에 없었다. 국제 정치에서 힘의 지배를 근간으로 하는 미국외교의 오래된 원칙인 예외주의로부터 케네디도 예외는 아니었다.

      • KCI등재

        레이건 행정부의 소련에 대한 국가안보전략

        장준갑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3 동국사학 Vol.77 No.-

        Reagan’s approach to the Cold War was shaped by his concept of time. At the beginning of the 1980s, in a time of perceived US weakness and Soviet strength, Reagan administration needed to proceed with prudence, carefully managing superpower relations with an eye to a future in which they enjoyed greater leverage. By the end of decade, it was Gorbachev who wanted ‘a long period of peace’ to rebuild Soviet capabilities. Washington, however, was in no rush; US policymkers operated with a long time horizon. The United States could afford to wait, and would likely benefit from so doing, as Soviet problems only mounted. Gorbachev, on the other hand, operated on a short timeline, growing increasingly desperate for results and respite abroad as he found neither at home. Washing knew full well what it was doing, but responded sardonically. Two tracks coexisted in the Reagan administration’s grand strategy toward the Soviet Union from the outset: peace through strength and quiet diplomacy. But it was actually peace through quiet coercion because there was no meaningful diplomacy in terms of negotiations and deals for Gorbachev. Gorbachev complained later that US policy is one of extorting more and more concessions.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국가안보전략을 논할 때 두 개의 트랙, 즉 힘을 통한 평화와 조용한 외교라는 이중적 정책이 공존했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두 가지 요소 중 어떤 정책에 더 방점을 두었는지에 대한 견해는 다를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 특히 소련에 대한 국가안보전략에 있어서는 ‘힘을 통한 조용한 강요(peace through quiet coercion)’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레이건 대통령은 외교에 문외한이었고, 그의 행정부에서 외교를 관장했던 그의 참모들은 대부분 힘을 통한 외교가 미국을 더욱 강하게 할 것이라고 믿는 보수우파였기 때문에, 협상과 타협을 통하여 상대방의 필요를 어느 정도 충족시키면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온건한 협상가들의 기질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들은 고르바초프의 약점을 파고들어 원하는 바를 얻어냈다는 점에서 협상이라기보다는 강요나 강압에 의한 결과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미국의 국력이 점점 쇠퇴해지고 있는 오늘날에는 이러한 현상이 점차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그 결과는 국제정치의 혼돈과 무질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KCI등재
      • KCI등재

        존슨 대통령의 베트남 정책-신념과 리더십의 부재가 부른 참화-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3

        The paper examines how and how Lyndon B. Johnson and their advisers made decisions on Vietnam between 1963 and 1964 during which American interventions began in a serious level. When Johnson came into the office, the Vietnam situation waited for his decision on whether the United States would go deep inside the Vietnam including military intervention or just take modest steps of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to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 Johnson who trusted the advisors of Kennedy strongly accepted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support South Vietnam including military aid, if necessary, as well as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He believed in “domino theory” as he considered Southeast Asia strategies to contain Communism. Most of his advisers also thought same as Johnson. Some of his advisers such as Mike Mansfield, and George Ball moved beyond the paradigm of containment and falling dominoes. They provided a realistic assessment of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outh Vietnam for the United States and regarded the current American policy there as being futile and misguided. These important advisors urged an American disengagement and supported a political solution of neutralizing Vietnam. Why did Johnson disregard the advice of these men? First, there is a view that by backing Saigon he was helping a government that offered a real alternative to Communism. Second, Johnson’s own campaign proposal to stand firm against Communism might have trapped him in the growing Vietnam quagmire. He could not accept his realistic advisors suggestions which included a lot flexible reactions. That is why he took such a hard lines including military warfare and ideological battlefield in the region. He was conceived with a sense of mission and dedicated to the extension of freedom throughout the world. He also thought that abandoning Vietnam would produce a fundamental threat to the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Jeonbuk National University) 본 논문은 베트남 전쟁을 논하는 데 있어 미국 전투 병력이 파견되는 시점을 전후한 시기 미국 정책 결정자들 사이에서 어떤 논의가 오갔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서 대량 학살과 참혹한 결과를 초래했던 군사적 개입이 결정되었는지에 관하여 다루었다. 케네디를 이어받은 존슨 대통령의 결정에 초점을 맞추어 보면, 비록 그의 참모들 대부분이 베트남에 군사적 개입을 주장하는 강경파들이었지만, 전쟁을 회피할 수 있는 결정을 할 수도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럽의 동맹국들 지도자들과 일부 미의회 지도자들, 그리고 대통령의 온건파 참모들이 끊임없이 베트남에 대한 군사적 개입은 전쟁의 확대를 불러올 것이고, 베트남 분쟁의 미국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슨은 최종적으로 군사적 개입을 통한 확전을 선택했다. 그의 이러한 결정은 전쟁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상황 파악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강경파 참모들에 둘러싸여 정치적 유불리와 비판의 모면에만 몰두한 나머지 내려진 지도력의 부재가 부른 참화였다. 존슨 대통령은 엄청난 참사를 불러왔던 전쟁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소극적이고 미온적으로 행동함으로써 참모들이 그 결정을 대신하다시피 했다는 점은 그에 합당한 역사적 평가를 받아야 한다.

      • KCI등재

        미국의 나토 확장과 그 대안들에 대한 평가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3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9

        Why did the United States push for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s (NATO) enlargement into Eastern Europe after the Cold War? Has this effort aided or undermined US national security? Moreover, what were the roads not taken at Cold War’s end: What alternatives to NATO enlargement at it occurred were possible after 1990-1991, and what benefits and drawbacks might each of these options have entailed? These alternatives to NATO enlargement help define the plausible roads not traveled when it comes to post-Cold War European security. In turn, evaluating how these options may have operated, and what their prospective merits and drawbacks entailed, helps us understand the actual course, conduct, and outcomes of post-Cold War European security. After all, many scholars and practitioners views NATO enlargement as the “original sin” that set the trajectory of Russian-Western relations toward their current deleterious state. Still, missing in these discussions is a serious assessment of the merits and drawbacks of the policy chosen compared with the alternatives considered. In this paper, there are three parts to take up this task. First, I describe the key decision points that progressively created the policy of NATO enlargement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 then evaluate the rationale for the policy chosen and outline its costs and benefits. Finally, I consider the alternatives that were raised inside and outside the US government and suggest the costs and benefits of those approaches. My focus in this paper is narrowly on sharpening the parameters of the debate on NATO expansion in ways that can inform scholarly evaluations and highlight future policy options. 냉전 이후 미국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를 동유럽에까지 확장하려 했던 이유가 무엇일까? 이러한 노력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도움이 되었을까?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냉전 종결 이후 미국의 나토 확장 정책을 논하고자 한다. 나토 확장을 논하는데 있어서 당시 그것을 대체할 수 있었던 대안적 제안들은 탈냉전 시기 유럽의 안보 정책을 논의하는데 있어서 채택 가능한 노선들을 토론할 때 도움이 되고 향후 유럽 이외의 다른 지역에 대한 미국의 안보 정책을 논의할 때도 참고가 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대안적 제안들이 실제로 운용 가능한 것이었는지 여부를 평가해 보는 것과 이것들의 장․단점들을 논의하는 것은 실제 채택된 노선과 탈냉전 시기 유럽 안보의 결과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사실 많은 학자들과 분석가들은 나토 확장을 러시아-서방 관계의 궤적을 현재처럼 악화된 방향으로 나가게 만든 “원죄”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논의들의 특징은 채택된 정책의 장․단점을 제시된 대안들과 비교․검토하는 진지한 평가가 결여되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측면에서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지난 30년 동안 나토의 확장 정책을 초래했던 핵심적인 정책 요소들을 평가한다. 둘째, 채택된 정책에 대한 근거를 평가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한다. 셋째, 미국 정부의 안팎에서 제시된 대안들을 알아보고 그 장․단점들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나토의 확장이 옳았는지, 그리고 그것이 냉전 이후 미국에게 가장 좋은 선택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글이 아니다. 그것보다는 냉전 종결 이후에 추구되었던 가장 중요한 정책들 중 하나였던 나토의 확장에 대한 논의를 학술적인 평가를 통하여 좀 더 분명하게 해보고, 향후 어떤 정책적 대안들에 대한 생각에 약간의 도움을 보태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케네디의 외교적 리더십: 현실적 평화주의자

        장준갑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9 동국사학 Vol.47 No.-

        본고는 케네디 대통령의 외교적 리더십을 재평가하기 위한 논문이다. 케네디는 냉전이 가장 치열했던 시기인 1950-60년대에 정치활동을 했던 정치 지도자로서 1960년대 초반 대통령을 역임했기 때문에 그의 외교적 지향은 강경한 냉전주의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그가 대통령이 되기 이전인 1940년대 후반과 50년대의 연방 하원과 상원 시절의 정치 활동을 평가한다면 그러한 평가가 매우 적절하고 정확하다. 또 케네디가 젊은 시절에 갖게 된 국제 평화에 대한 신념과 대통령이 된 이후에 그가 행했던 언행을 관찰해보면 상당히 일치하는 측면을 발견하게 된다. 본고는 그가 하버드를 졸업한 이후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면서 전쟁 경험에서 얻은 교훈과 전쟁 직후 언론사 기자로서 유엔 창설과정을 지켜 보면서 갖게 된 국제 평화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고, 대통령이 된 이후에 그러한 젊은 시절의 신념과 국제 정치관이 냉전적 대결 상황에서 대화와 타협이라는 수단으로 외교 정책에 반영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케네디는 특히 대통령으로 취임한 직후에 발생한 피그만 침공사건과 베를린 위기에 직면하여 소련과 대 결하거나 타협할 것을 선택해야 하는 외교적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한 상황에서 핵대결을 불사할 것을 권고하는 강경주의자들의 요구를 물리치고 전쟁이 재발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지신의 신념에 따라 소련의 강경대응을 우회적으로 회피하면서 대화와 타협의 정책을 추구하여 결국 군사적 충돌을 피하면서 대화의 국면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그의 정책은 당시 힘의 우위를 점유하고 있으므로 소련을 힘으로 굴복시켜야 한다는 미국 국내의 강경한 분위기를 고려할때 선택하기 쉽지 않은 유화적인 방법으로서 그가 평화에 대한 신념과 의지가 확고한 지도자임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볼 수 있다. 많은 정치적 ? 도덕적 결함에도 불구하고, 케네디는 외교적 측면에서 냉전적 대결 논리에 순응하지 않고 자신의 평화에 대한 신념과 철학을 관철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했던 현실적 평화주의자였던 것이다.

      • KCI등재

        탈냉전 초기 미국의 외교안보 정책: 파나마 침략을 중심으로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71

        냉전 종식 직후 미국은 평화를 누리기보다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 동유럽, 서태평양 군사기지 등 세계 각지에 진군해 들어갔으며, 미국 국방부는 이들 지역에서 정권교체, 내란, 장기적인 대테러 전투 등을 수행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미국 주도의 자유 시장경제 체제를 공고히 하고 소위 ‘민주주의’를 정착시킨다는 ‘자유주의적 우위(liberal primacy)’ 의 미국 외교안보정책은 소위 ‘불량국가’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순조로운 실행이 어려웠으며, 정상적인 외교를 재고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미국은 각 지역에서 복잡한 방식으로 외교안보 정책을 구사해야 하는 숙제를 떠안게 되었다. 승리에 도취된 미국의 관료들과 정책결정자들은 냉전 종식 이후 전개된 이러한 복잡하고 상황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책임감으로 충만했다. 실제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에 점점 불안정해진 국제적 상황은 강한 미국의 주도권을 요구하는 환경의 토대가 되었다. 미국의 군사적 행동이 학살을 멈추게 하고, 약자들을 돕고, 인권 침해를 자행하는 독재자들을 축출하는 데 사용되는 한 정당화될 수 있다는 논리였다. 본 논문은 탈냉전 초기에 미국이 새로운 국제적 역할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부시(George H. W. Bush) 정부가 여러 옵션들 중에서 국제정치의 안정화와 자유 민주주의의 확립 및 확산을 명분 삼아 최초로 파나마 침략을 감행했던 상황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탈냉전 초기 미국의 외교정책이 냉전 시기에 비하여 어떤 변화과정을 겪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The chief legacy derived from the Panama invasion was how it altered the American public’s perceptions of the military after the frustrating war in Vietnam. The ease of Panama helped pave the way for the Iraq War. One intervention elided into another in the post-Cold War period. Operation Just Cause was a catalyst for Washington’s new role not only as worldwide policeman, but as global armed social worker. The United States encountered sinister new authoritarian regimes in Pyongyang, Tehran, and other capitals, for which the Cold War really ended. But before that return of great-power rivalry, the United States entered into a string of military actions in the world’s far corner: Panama. There, the Department of Defense found itself in wars, regine change, and forever counterterrorism campaigns. The Panama military operation went almost flawlessly. The overwhelming success of JUST CAUSE must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PDF(Panamanian Defense Force) did not put up serious or sustained resistance.

      • KCI등재

        케네디의 베트남 정책: 냉전 승리를 위한 색다른 방식

        장준갑 한국미국사학회 2010 미국사연구 Vol.32 No.-

        John F. Kennedy, known as ‘a cold warrior,’ struggled to suggest a proper solution on Vietnam problem not in terms of cold war paradigm which emphasized an unilateral military victory over the enemy but in a vision of political settlements centering on peaceful negotiations and agreements during his presidency. This paper traces why and how Kennedy applied his unique policies toward Vietnam. The main thesis of the paper is that the major reasons for peaceful negotiations that Kennedy pursued with communists were his political thoughts and ideas in which no honorable victory could be achieved by direct military conflicts in a sharp confrontation of the Cold War. He believed that a durable and reliable peace between West and East blocs would be gained by patient talks and negotiations with the enemy. This idea gave him rooms for different kinds of vision and leadership in dealing with the Vietnam problem. Kennedy, seized in the center of the Cold War system, stood firm against his hard-line advisers who argued him for sending large military supports and combat units to Vietnam. Military responses, he believed, would call for counter-military actions and more military forces would be involved on and on. Kennedy’s non-military responses toward Vietnam dissatisfied some of his hard-line military and civilian advisers and the Cold War warriors, but made the possibility of peaceful negotiations more available despite of his unwilling action of sending Vietnam small groups of American military advisers. Even though Kennedy had fear and hatred toward communists, he did not believe that an unilateral or sweep victory over communists would bring the world peace. The one-sided victory, if possible, could be only achieved after completely destructing each other. That is why Kennedy tried talks and negotiations with the enemy avoiding military conflicts and tirelessly pursued another way of overcoming the Cold War. That is a different kind of leadership that Kennedy showed to the World during his presidency. 본고는 케네디의 베트남 정책을 분석함에 있어서 케네디가 물려받은 냉전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소신과 철학을 어떻게 정책에 적용했는지를 판단하여 미국이 베트남 전쟁이라는 수렁에 빠져드는 데 그가 과연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케네디가 공산주의의 확대를 저지하려고 노력했다는 면에서는 여타의 냉전 전사들과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러나 그는 일관되게 냉전에서의 승리를 군사적 분쟁이나 전쟁이 아닌 평화적 방법으로 성취하고자 노력했다는 면에서는 상당히 다른 차원의 리더십을 보여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그가 베트남 문제에 대하여 즉각적인 전투병 파견과 군사적 개입을 주장하는 자신의 강경파 참모들의 판단이나 제안을 완전히 묵살하지 않으면서도 결코 그들의 요구를 들어 주지 않았던 측면은 이러한 그의 독특한 리더십을 잘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케네디는 베트남 정책에서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듯이 경직된 냉전적 사고에 입각한 군사적 승리를 위하여 전진하지 않았으며 존슨 행정부의 베트남 개입에 초석을 깔아준 장본인이 아니었다. 그는 냉전에서 승리를 원했지만 전쟁회피라는 자신의 신념과 견해를 양보하지 않았으며, 그가 베트남에 군사고문단을 파견한 것은 베트남 전쟁의 서곡이 아니라 대규모 군사적 충돌을 회피하면서 승리를 얻으려는, 또 국내외의 강경한 반공주의자들과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려는 고민의 산물이자 최소의 희생으로 최대의 평화를 얻으려는 고육지책이었던 것이다. 케네디는 공산주의에 대한 혐오감과 증오심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일방적인 승리만이 세계의 평화를 보장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군사적 승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냉전을 끝내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소신은 베트남 정책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동시대에 냉전적 사고를 갖고 있었던 많은 사람들과 차별되는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