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량용 지능형 네트워크에서의 동기식 이더넷중심 오류 주입 알고리즘 구현

        장은지 ( Eunji Jang ),김인영 ( Inyoung Kim ),이웅재 ( Woongjae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논문은 차량용 지능형 네트워크에서 각광 받게 될 이더넷중심의 프로토콜과 데이터 전송 시 임의의 오류에 내성이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구현과 검증을 시도하여 시스템의 유용성을 증명하였다. 기존의 차량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문헌 조사하고 최종적으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실제 차량용 실시간 데이터의 경우 임의의 값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임의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payload의 설정을 표준 형식에 맞추었다. 구현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고자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단일 데이터에서부터 혼합형 (Hybrid-type) 데이터까지 확인하였을 때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rotocol of Ethernet that will receive a popular interesting in the automotive intelligent network, it also attempts to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s to propose a fault tolerance algorithm when the data transfer on it. It has proven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in order to apply toward an existing automotive communication system. In the case of actual real-time data for automotive industry, we generated a randomly-generated data which is the set of payload into a standard format to complete the experiment. Among the implemented existing algorithms performance,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all range from a single data to mixed (Hybrid-type) data,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 KCI등재후보

        미세유체시스템을 이용한 효소 함유 하이드로젤 기반 알코올 분석 바이오센서 개발

        장은지 ( Eun Ji Jang ),박상필 ( Sang Phil Park ),이현종 ( Hyun Jong Lee ),임태극 ( Tae Geuk Lim ),한상원 ( Sang Won Han ),이혜원 ( Hyue Won Lee ),정의석 ( Ui Seok Chung ),고원건 ( Won Gun Koh ) 한국화상학회 2012 한국화상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미세유체시스템 내부에 효소가 고정된 PEG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어레이를 이용한 알코올 감지 바이오센서 제작에 대한 방법을 소개한다. 모델 알코올인 에탄올은 알코올 옥시다아제 (Alcohol oxidase, AOX)를 포함한 PEG 하이드로젤 마이크로어레이에 의해 광학적으로 분석되며, 다중의 미세채널 구조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농도의 알코올을 측정할 수 있다. 에탄올과 알코올 옥시다아제와의 효소촉매작용을 통해 H2O2이 생성되며 이는 페록시다아제 (Peroxidase, POD)와 반응하여 무색의 Amplex Red reagent를 붉은 형광을 띄는 resorufin으로 바꿔준다. 결과적으로 형광측정을 통해 에탄올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H2O2의 생성이 많아지고 resorufin의 형광강도가 강해지는 메카니즘을 통해 손쉽게 측정이 가능하다. 여섯 줄의 미세유체채널을 포함하는 미세유체시스템 내부에 각각 에탄올에 반응하는 알코올 옥시다아제가 고정된 PEG 하이드로젤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조하고 체내의 에탄올 농도인 1.0∼10mM을 반응시켜 형광변화를 통한 동시 측정이 가능한 바이오센서를 제작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simple method to fabricate a microfluidic biosensor that can optically detect alcohol. This system is composed of microchannels connected with six inlet and outlet, which have width and height approximately 100um and 30um, respectively. The oxidase enzymes were entrapped with the poly(ethyleneglycol)(PEG)-based hydrogel microstructure that was fabricated within the microchannels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Alcohol oxidase(AOX) and peroxidase(POD) were chosen as the model enzyme which resulted in a fluorescent hydrogel microarray that was responsive to alcohol. The hydrogel-entrapped AOX could perform enzyme-catalyzed oxidase of alcohol to produce H2O2 which reacted with POD to produce highly fluorescent resorufin.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hydrogel microstructures increased as the alcohol concentrations increased, and alcohol detection was possible 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1.0 to 10mM using fluorescence indicator in a single detection chamber.

      • KCI등재

        CQI 텍스트 분석을 통한 대학 수업 질 개선의 교육현상학적 방안 모색 : H대학을 중심으로

        장은지(Jang Eunj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포스트코로나시대 상황 속에서 대학 수업 질 개선의 교육현상학적 방안 모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교과목 CQI 자료에서 나타난 텍스트 분석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H대학 2021학년도 1학기 교과목 CQI 자료의 텍스트 분석 가운데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총 2,429개 텍스트 중 단어의 빈도 수에 따라 상위 100개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대학 수업과 관련한 전반적인 경향성을 검토하였다. 주로 ‘코로나’, ‘대면’, ‘온라인’, ‘소통’, ‘피드백’, ‘개선’, ‘향후’, ‘예정’, ‘부족’, ‘상담’, ‘실습’, ‘전공’, ‘능력’, ‘핵심역량’, ‘성취’, ‘평가’ 등의 텍스트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9학년도 1학기부터 대두된 ‘코로나19’ 사회현상이 대학 교육현장에도 영향을 미친 결과임을 확인시켜 준다. 그리고 텍스트 마이닝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상위 30개의 텍스트가 추출되었고, 도출된 토픽 주제군은 6가지였다. 이 연구에서 설명력이 가장 높은 토픽 주제군은 토픽1인 ‘코로나시대 교육’이었다. 토픽2의 주제군은 ‘강의중심 교육’, 토픽3의 주제군은 ‘역량기반 교육’, 토픽4의 주제군은 ‘CQI기반 교육’, 토픽5의 주제군은 ‘수요자중심 교육’, 토픽6의 주제군은 ‘성과관리 기반 교육’으로 나타났다. 토픽 간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토픽 1, 2, 3, 5는 상대적으로 유사도가 높은 군집들인 반면에 토픽4와 토픽6은 나머지 토픽 주제군과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그간 교과목 CQI의 내용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거의 없었던 한계점을 감안하면서도, 포스트코로나시대 교육현장의 요구를 받아들여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현장 속에서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사실들의 의미를 도출하는 교육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텍스트 분석의 학술적 타당도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an educational phenomenon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classes in the post-COVID-19 era. The us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 led to having extracted the 100 text among 2,429 texts that were shown in curricular subject CQI data of the H university 2021 school year. And the topic modeling led to having progressed the work of classifying the texts of being revealed in CQI data as the curricular subject of A university into a topic group. The characteristics in texts, which were sampled from all the curricular subjects, the liberal arts subjects, the teaching subjects, appeared differently. Second, a topic group that was sampled through the topic modeling included 6 things. It was indicated to be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1, ‘Lecture-center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2,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3, ‘CQI-bas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4, ‘User-center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5, ‘Performance management-based education.’ for the topic group in Topic 6.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similarity among topics, Topic 1, 2, 3, 5 could be clustered into one group. On the other hand, Topic 4 and Topic 6 were confirmed to be clustered into other group,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de a new attempt by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post-Corona era, while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few studies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ubject CQI.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secure the academic validity of text analysis through an educational phenomenon approach that focuses on deriving the meaning of facts that occur dynamically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nterpreting their meaning.

      • KCI등재

        Big 5 성격요인에 따른 청소년 성격특성의 발달적 변화

        장은지(Eun-Ji Jang),최은실(Eun-Sil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 2,260명을 대상으로 Big 5 성격요인에 따른 청소년 성격특성에 발달적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성격 5요인의 발달적 변화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고, 더불어 신경증 하위요인을 추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기 문제행동 시기와 특성을 확인 하였다. 분석에는 일원배치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난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격 5요인 특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신경증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격 5요인 특성 모두에서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기 성격특성에 대한 성별에 따른 학년별 발달적 경향성에서도 성별 간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과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 남자는 중등 2학년, 여자는 고등 3학년에서 성격특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경증과 관련된 외현화 행동문제는 중등 1·2학년에서 내현화 행동문제는 고등 3학년에서 주로 발현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 성격특성의 발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상이한 정신건강문제가 발현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adolescent personality regarding personality traits of Big 5 model in 2,2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change of personality 5 factor according to sex and grad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timing and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by analyzing the sub - factors of neurosis. Analysis was used for One-Way ANOVA. if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we proceeded post hoc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ve personality traits of the adolescent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 girls were higher than boys in the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In contrast, the boys were higher than girls in the Neuroticism.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five personality trait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rade. Third, Gender-specific developmental grade tendency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personality trait shows a different pattern in gender. Especially, in the analysis by gender and grade boys showed that personality traits prominent in the middle school Grade 2. likewise, girls showed that personality traits prominent in the high school Grade 3. Then, associated with Neuroticism th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found to be expressed in the middle school Grade 1 and 2. likewise, the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found to be expressed in high school Grade 3. Therefore, this study was able to determine the current developmental change in personality traits adolescence of our country. Also it found that mental health problems can be a different expression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 KCI등재

        AHP분석기법에 의한 카페 공간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로봇 바리스타가 도입된 카페 중심으로-

        장은지(Jang, Eun-Ji),한혜련(Han, Hae-Ry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9 No.6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idential and commercial spaces that implemented robot systems is exponential. Moreover,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nabled commercial space designs to introduce robot systems. The recent outbreak of Covid-19 has triggered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non-face-to-face space, causing robot systems not only to be implemented in the production field but also to be closely involved in our lives. In addition to these external changes, a customer-oriented environment has also gained interest.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ack of grounds for a better physical environment to counter the planning as general commercial spaces in most cas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importance of elements of café space design by applying AHP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weight and priority among the evaluated element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management that can contribute to café space planning in the future where robot baristas are introduced. In doing so, this study utilize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a review of literature and theorie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pace in café selection and concepts of café space elements and VMD elements. Second, the elements of café space and VMD are reclassified to derive Level 1, which includes upper hierarchy items, and Level 2, which includes the lower hierarchy items, via brainstorming. Third, case document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s on users are conducted, respectively, to identify relative importance. Fourth, the results of the case document analysis are summarized, followed by deriving the results with mathematical statistics from the statistics of the questionnaires by using CR, the AHP analysis program.

      • KCI등재

        사회적 연결망의 다양성이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비빈곤학생과 빈곤학생의 비교

        장은지 ( Eunji Jang ),최재성 ( Jae-sung Cho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가진 사회적 연결망의 다양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빈곤집단과 비빈곤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1 패널 6차년도(2015년도)의 고등학교 3학년 청소년 중 결측치를 제외한 1,754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학생들 중 315명(18%)이 빈곤집단으로 확인되었으며, 빈곤집단은 비빈곤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적 연결망의 다양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연결망의 다양성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사회적 연결망은 빈곤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비빈곤학생에게는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통제변수인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은 두 집단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들로 분석되었다. 더하여서, 빈곤집단의 경우 문화활동, 우울, 삶의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변수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빈곤학생에게 다양한 인적·사회적 자원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빈곤 청소년의 경우 비빈곤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로정체감 수준 및 사회적 연결망의 다양성 수준이 낮음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다양하고 전문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접근성 향상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최신 데이터를 활용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ocial network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by comparing the poor and the non-po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middle school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in 2015 in which were a total of 1,754 students in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showed that firstly, 315(18%) out of 1,754 students were identified to be poor.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network of the poor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hat of non-poor group. Secondly, it showed that social network affected poor students’ career identity, whereas whether social network influenced non-poor students’ career identity or not was not identified. Thirdly, it was found that both friend relationship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of two groups. Moreover, in case of the poor group, cultural activit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additionally identified to be variables influencing high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y. This study suggests that programs allowing poor high school students to link to various individual and social support, and policy intervention are necessary. It is because the levels of not only career identity but the variety of social network among poor high school stud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non-po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c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hrough the diverse and professional mentoring program was suggested. Also, further studies using recent data were suggested.

      • AE-MDB 시험과 EuroNCAP 측면 시험 비교 연구

        장은지(Eun-ji Jang),김요셉(Joseph Kim),범현균(Hyen-kyun Beo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09 No.11

        In response to enhanced regulation of vehicle safety, manufactures have improved vehicle design and stiffness. ECE Regulation 95 is a side impact test for European regulation and so be EuroNCAP side impact test for market requirement. Two tests are nearly same test method. However various researches report that ECE Regulation 95 barrier face does not reflect evolving vehicle design and impact performance. EEVC(European Enhanced Vehicle-safety Committee) Working Group 13 has recently made a proposal for an improved barrier face, AE-MDB(Advanced European-Mobile Deformable Barrier). In this paper, 2 tests -AE MDB, EuroNCAP Side test - were carried out and compared with current product vehicles with similar structure. The weight of AE-MDB is 550kg heavier and its deformable barrier face is stiffer than current EuroNCAP barrier. As a result, AE-MDB test shows higher vehicle velocity and dummy injuries (HIC36, rib compression, pelvis force) than EuroNCAP. However the differences of two test results were not that big due to airbag to protect dummy head and chest. Passenger dummy head contacted to c-pillar and injury was higher than driver dummy. So it needs to be installed restraint system to protect dummy head and chest like driver dummy. B-pillar intrusion of AE-MDB test increased 14% and rear of front door intrusion was increased.

      • KCI등재

        현대 소비자의 소비가치는 소비상황에 따라 다르게 작용하는가? - 여대생 소비자의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에 따른 4가지 소비상황을 중심으로 -

        장은지 ( Jang Eun Ji ),김기옥 ( Kim Kee-ok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현대 소비자가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다양한 소비상황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소비자학에서 소비가치를 다룰 때 간과한 소비상황을 고려함으로써 소비가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상황을 소비지향성(타인지향, 자기지향)과 소비목적(실용목적, 쾌락목적)의 두 가지 측면에서 2x2, 즉 4가지 소비상황(타인지향-실용목적, 타인지향-쾌락목적, 자기지향-실용목적, 자기지향-쾌락목적)에서 소비가치를 탐구하였다, 국내 4년제 여자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관성 분석, 대응표본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첫째, 각 소비상황에 해당하는 제품으로 실제 어떤 제품을 구매했는지 알아본 결과, 타인지향-실용목적에서 스마트폰을, 자기지향-실용목적에서 노트북을, 타인지향-쾌락목적과 자기지향-쾌락목적에서 색조화장품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의류(코트)는 타인지향과 자기지향의 복합적 소비지향성이 나타났고, 핸드백은 실용과 쾌락의 복합적 소비목적으로 구매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인형은 자기지향-쾌락목적에서만 두드러지게 응답되었다. 둘째, 다양한 소비상황에서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구체적으로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자기지향-실용목적 상황을 제외한 모든 소비상황에서 여대생들이 가장 많이 추구하는 소비가치는 감정적 가치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지향-실용목적에서는 기능적 가치가 가장 높게, 사회적 가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셋째,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에 따라 소비가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타인지향 상황일 때 사회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를, 자기지향 상황일 때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더 많이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용목적 상황에서는 기능적 가치를, 쾌락목적 상황에서는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를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의 4가지 소비상황에 따라 소비가치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기능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는 자기지향 상황에서 전자는 실용 후자는 쾌락목적 상황에서, 사회적 가치와 상황적 가치는 실용이든 쾌락이든 타인지향 상황에서, 진귀적 가치는 자기지향이든 타인지향이든 쾌락목적 상황에서 더 많이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4가지 소비상황에서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연령, 주거지(서울겅기 대 비서울경기), 아르바이트, 전공(인문사회 대 자연과학), 주관적 사회계층, 월평균소비지출액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대상자인 여대생 소비자가 추구하는 소비가치는 소비지향성과 소비목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각 소비상황별로 추구하는 소비가치가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소비가치를 다룰 때, 소비상황 요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소비상황에 따른 소비가치에서 가장 두드러진 결과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을 우선시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대 소비자는 어느 소비상황에서나 주관적 가치를 반영하고 자신의 만족을 충분히 충족시켜줄 수 있는 선택 대안을 구매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보다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무엇보다도 소비자 스스로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가치 확립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change in consumption values by different consumption situations. Consumption situations are classified with two dimensions, one with consumption orientation either others-oriented or self-oriented, and the other with consumption purpose either utilitarian or hedonic. Consumption situations are divided into four with the two dimensions: others- oriented utilitarian purpose, others-oriented hedonic purpose, self-oriented utilitarian purpose, and self-oriented hedonic purpose. Three hundred nineteen college women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fifteen replies were deleted. Date for this study was consisted with 304 replies. Th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women replied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item in others-oriented utilitarian purpose situation as smart-phones, in self-oriented utilitarian purpose situation as notebooks and in the rest situations as cosmetics. Clothes are the most frequently replied items in either others-oriented or self-oriented situations. Dolls are highly replied in self-oriented hedonic purpose situation. Second, college women pursued highly ‘emotional value’ in all consumption situations except self-oriented utilitarian situation, while ‘functional value’ was highly pursued in self-oriented utilitarian situation. Thirdly, college women pursued highly ‘social value’, ‘epistemic value’, ‘situational value’ in others-oriented situation, while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were highly pursued in self-oriented situation. They pursued highly ‘functional value’ in utilitarian purpose situation, while ‘social’, ‘emotional’, and ‘epistemic’ values were highly pursued in hedonic purpose situation, Fourthly,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were highly pursued in self-oriented situation, while ‘social’ and ‘situational’ values were highly pursued in others-oriented situation. ‘Epistemic value’ was pursued highly in hedonic purpose situation. Fifthly, consumption values pursued in four consumption situations were partially different by socio-democratic backgrounds such as age, region, work, major fields, perceived social class, and average monthly consumption expenditures. This study revealed the fact that consumers pursue different consumption values in different consumption situations.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consumers most highly pursued ‘emotional value’. This implies that contemporary consumers put high importance on self-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therefore, ‘emotional valu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any consumption situation. This highlights the fact that understanding consumption situation should be preceded when dealing with consumption value in consumer science. In conclusion, consumers always pursue their subjective values in any consumption situation and purchase items that can satisfy their values the most.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consumers accurately understand what value they pursue in any consumption situation in order to be rational consumer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인천시를 중섬으로-

        장은지 ( Eun Jee Jang ),이상희 ( Sang Hee Lee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9 아동복지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의 운영주체에 따른 유형 중 국공립 ? 민간 ? 가정 보육시설 보육교사들의 직 무만족도는 어떠한지,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개인 관련 변인(연령, 학력, 경릭)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가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였다 연구대상은 179병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빈도분석(상equency analysis)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εff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운영주체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 즉, 국공립 보육교 사는 민간 ? 가정 보육교사보다 높은 직무만족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 (직무자체, 인간관계, 근무환경, 보수, 사회적 인정)에서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다- 즉, 국공 립 보육교사는 5가지 하위요인에서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냈고 가정 보육교사는 5가지 하위요인에서 가 장 낮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교사의 개인변인관련에서는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차이 가 없으나 학력과 경력에 따른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았다 가정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특히 가정 보육교사에 처우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으며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 5가지 중에서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은 요인의 1위는 보수, 2위는 근무환경, 3위는 사 회적 인정으로 나타났기에 우선적으로 보수와 근무환경 부분에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보육교사들은 유아의 여러 가지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처우개선 부분에서 보육교사들을 위한 복지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이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보육시설에도 재정적 지원이나 보육프 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서비스가 요구되고, 부모들에게도 보육료 지원이나 육아휴직제 등을 실시하여 누 구나 혜택을 누릴 수 였는 꼭 필요한 보육정책이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the basic materials for better daycare services based on daycare teachers better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stability. This can be attamed by more effective and high-quality nurturing and education. For this purpose, 179 daycare teacher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follows. First, fo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aycare center,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p < .001). National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than Private ones. Second, for job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sub factors,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p < .001). National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than Private ones. Thir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ycare teacher is as follows. For changeable factors of general daycare teachers, features in the sex, marriage or non-marnage, age,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license, type of facilities, and venfied Second, for job satisfaction factors according to sub factors,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p < .001). National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than Private ones. Third,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daycare teacher is as follows. For changeable factors of general daycare teachers, features in the sex, marriage or non-marnage, age,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license, type of facilities, and venfied is very difficult for them to form Job satisfaction. Therefore, Improvements of labor conditions which reflect the real work place of daycare teachers should be inspected mor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