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신석기시대 대표적인 문화유형별 토기 장식 문양의 특징 분석 연구

        장위치,강성곤 한국도자학회 2019 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3

        Neolithic Age was a very important stage in the social development of prehistoric times in China. The birth of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became the most prominent social and cultural turning point of this era. In addition, various aspects have shown that the various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and living tools produced by the birth of pottery have becom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 particular, the various types, forms, and decorative patterns on potteries in the Neolithic Age can be regarded as the valuable materials and evidence of cultural and spiritual consciousness and lifestyle in different areas in the Neolithic Ag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patterns on pottery in the Chinese Neolithic age by investigating various pottery materials. Through this research, the symbolic significance, developm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ultural types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al sciences, the evolution of the animal and plant patterns on the pottery reflects the transformation of the ancient ancestors from the fishing-and- hunting economy to the planting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art history, the pattern decoration on Neolithic pottery can be regarded as the pioneer of Chinese culture and the originator of art. Taking the decorative patterns on Neolithic pottery as the study object, this study used various study methods including documentary method, semiotics, archaeology etc. to analyze the decorative features of pottery patterns with different cultural types in the Neolithic Age. The main body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through sorting out and summarizing the representative patterns of pottery with different cultural types in the Neolithic Age, their respective decorat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he second part, the patterns appearing on potteries in the Neolithic Age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geometric patterns, animal patterns and plant patterns. The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of different types of patterns are analyzed and studied with examples.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pattern structure, the pottery patterning methods in the Neolithic Age were investigated. 신석기시대는 중국 선사시대 사회 발전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계였고, 신석기시대의 토기의 탄생은 이 시대의 가장 두드러진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큰 전환점이 되었다. 또한 토기의 탄생으로부터 발생된 여러 가지 생활환경과 생활도구의 변화는 보다 다양한 측면으로 반영되어 문화적 발전 요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가 되었다. 특히 신석기시대의 토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과 형태 및 장식 문양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도 신석기시대 일정한 지역의 문화와 정신 의식 및 생활양식에 대한 매우 귀중한 자료이자 증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신석기시대 토기의 장식 문양에 대하여 그 특징을 고찰하고 다양한 토기 자료들을 조사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유형별 상징적 의미와 시대적 발전 양상 및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며, 이를 자연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토기에 장식된 동물 문양 및 식물 문양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과정을 통해 고대인들은 수렵어로 생활에서 경작생활로의 전환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찾고자 한다. 또한 미술사적으로 보면, 신석기 시대의 토기 문양 장식은 중국 예술문화의 효시이자 중국 미술의 원초적인 표현 양식이라는 점도 인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신석기시대 토기의 장식 문양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문헌적, 기호학적, 고고학적 등의 다양한 연구 영역에서 신석기시대의 문화유형별 토기문양의 장식적 특징을 양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그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주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술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신석기시대의 문화유형별 대표적인 문양의 정리를 통해 각각의 장식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신석기시대 토기에 나타난 문양을 기하학적 문양, 동물 문양, 식물 문양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사례를 통해 유형별 문양의 특징 및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석기시대의 문양에서 나타난 표현 양식을 구조적 관점에서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따라서 중국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유형별 토기의 장식 문양을 연구자의 분석을 근거로 하여 정리한 결과, 토기는 조형적으로나 장식 문양으로나 소재가 풍부하고 독특한 장식 문양은 중국 고대인들의 삶에 있어서 미적 표현양식의 수준이 매우 높았으며, 중국의 높은 도자문화의 기초가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가 중국 고대 문화를 보존 계승하고 향후 중국 토기를 연구하고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귀리, 수수, 율무, 기장의 수확기에 발생하는 Fusarium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

        이미정,위치,함현희,최정혜,백지선,임수빈,이데레사,김점순,자영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5 No.1

        A total of 244 cereal samples (oat, sorghum, adlay, and proso millet) were collected from fields to examine the contamination of Fusarium mycotoxins in cereals during harvest season in 2017 and 2018. The contamination levels of deoxynivalenol (DON), nivalenol (NIV), and zearalenone (ZEA) were analyzed individually by using the immunoaffinity column clean-up method with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fumonisins (FUM) were analyzed by using the QuEChERS method with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ighest level of NIV contamination (120.0-3277.0 mg/kg) was observed in oat samples among the analyzed cereals. In the adlay samples, DON contamination was the highest (maximum level 730.0 μg/kg). The proso millet samples had a high frequency of detection of NIV and ZEA (61.5% and 57.9%, respectively), but the levels were low (average detection level of NIV, 75.6 μg/kg, for ZEA, 21.5 μg/kg). Among the cereal samples, sorghum had the highest contamination frequency of DON, ZEA, and FUM, and the co-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 was 70.0%, which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29.9%. In order to safely manage Fusarium mycotoxin levels in cereals,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ntamination prevention technologies together with monitoring of mycotoxin contamination is needed.

      • 국내 다소비 채소류의 조리에 따른 회분, 비타민 B<SUB>5</SUB> 함량 비교

        박진주,박은지,위치,하나,한혜경,황효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많이 소비되는 채소류의 조리에 따른 회분과 비타민 B5 함량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공심채, 방울다다기양배추, 땅두릅, 참두릅, 머위대, 호부추, 아욱을 선정하였으며, 비가식부를 제거한 시료에 섭취 형태를 반영하여 생 것, 데친 것, 찐 것으로 전처리한 후, 액체질소로 동결한 것을 분쇄하여 균질화한 것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회분 함량은 아욱 생 것이 2.13±0.00 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머위대 데친 것에서 0.66±0.00 g/100 g으로 가장 낮았는데, 아욱 데친 것이 1.60±0.00 g/100 g, 머위대 생 것이 1.12±0.00 g/100 g으로 나타나 생시료에 비해 데쳤을 때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타민 B5 함량은 방울다다기양배추 생 것이 1.116±0.043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데친 것에서 0.765±0.023 mg/100 g, 찐 것에서 0.893±0.024 mg/100 g으로 확인되었고, 호부추 생 것이 0.586±0.010 mg/100 g, 데친 것은 0.257±0.006 mg/100 g, 찐 것에서 0.239±0.004 mg/100 g의 함량을 보여 생시료에 비해 조리 후에 비타민 B5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 것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 채소류의 영양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다소비 과채류의 섭취단위별 비타민 B<SUB>5</SUB> 함량 비교

        박진주,박은지,위치,하나,한혜경,황효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소비 과채류의 가식부를 기준으로 1개, 100g 및 1컵(200 mL)에 대한 비타민 B5 함량을 비교함으로써 섭취되는 단위에 따른 영양정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고수, 모과, 블루베리, 양상추, 참외, 체리, 파슬리를 선정하였으며, 1컵에 대한 중량은 비가식부를 제거한 시료를 1×1×1 cm³의 크기로 썰어 비커에 담아 측정하였고, 비타민 B5의 함량은 HPLC-DAD로 200 nm의 파장에서 분석하였다. 1개에 대한 중량은 블루베리가 2.17±0.26 g으로 가장 낮았고 양상추가 721.60±104.2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컵에 대한 중량은 블루베리가 138.83±1.05 g으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식부 100g에 대한 비타민 B5 함량은 참외가 0.649±0.021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섭취단위별 중량을 반영하면 참외 1개의 경우 1.361±0.044 mg, 1컵의 경우 0.808±0.026 mg의 비타민 B5를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수는 가식부 100 g에 대한 비타민 B5 함량이 0.419±0.009 mg으로 나타났으며, 1컵 기준으로는 0.196±0.004 mg의 함량을 보였고, 파슬리는 0.404±0.008 mg/100 g, 0.072±0.001 mg/1개의 비타민 B5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제 섭취되는 식품의 중량과 영양성분 함량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