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에로티시즘, '관계에 대한 심리적 공간' 으로서의 일러스테레이션적 수용

        장우린(Woo Rin Chang)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1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Vol.8 No.-

        The lustrators have many advantages to realize the erotiasm in their works, because what is erotic needs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of `you` and `I`. It occurs in psychological aria which cannot be separated with the intelligence. The process of intelligence makes any kind of visual expression erotic, but st what we need is the illusion(or image), which contains the structure of `story telling`. It is reason why the field of illustration has many advantages to realize the eroticism. Espeaally, the illustrators should make un effort to create new paradigm which allows to exist the eroticism as a kind of art and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일러스트레이터를 위한 컴퓨터게임제작의 교육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장우린(Chang, Woo-Rin)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3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Vol.13 No.-

        In fact,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especially in the design colleges to break though the solid edge of game creation, because of it`s complexity. this complexity is due to the genre-fusion characteristic of computer game development. So, this is the research for a certain process to educate the illustrato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kind of creation. Today, the computer game is one of the new visual communication media and at once of the new entertainment industry which have already the power to change our culture and living paradig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방송플랫폼 융합의 국제적 흐름과 MCN에 대한 연구 -해외한국어방송사의 돌파와 지원을 위한 모색을 중심으로-

        장우린 ( Woo Rin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최근 새로운 방송 패러다임이 MCN을 통해 가시화되고 있다. 이는 디지털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화된 1인 또는 소규모 방송 플랫폼들이 통합되어 관리되는 시스템으로서, 현재 국가적으로 중요하지만 열악한 상황에 처해있는 해외한국어방송사들에게 특히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고 있다. 1인 또는 소규모 창작자들을 발굴하여 개인적인 선택과 취향에 더욱 근접한 맞춤형 콘텐츠로 특히 젊은 층의 시청자들을 엄청난 속도로 흡수하고 있는 MCN 기업들의 방법론은 기존 공중파와 케이블이 가진 중앙집중형 단방향 방송시스템과는 달리 방송에 있어서 쌍방향적 자가충족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슈머1)`` 계급을 부상시키고 있다. 게다가 각종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프로슈머들은 그들의 삶과 밀착된 진솔한 방송콘텐츠를 생산, 주로 현재의 대중화된 모바일환경에 힘입어 노출시키는데, 이들에게 있어서 1인 또는 소규모 창작 환경은 오히려 시청자의 요구에 대하여 기동성 있는 대응이 가능한 긍정적 요소이다. 거대자본이 투입된 고전적인 방송체계를 훌쩍 뛰어넘는 인기와 시청자 참여도로써 MCN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미 국내외 많은 메이저급 방송사들이 이 MCN 분야에 많은 자본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MCN의 패러다임을 또한 해외한국어방송사와 지원기관의 입장에 적용하는 본 연구는 해외한국어방송 시청자들과 제작자들에 대한 온, 오프라인 설문과 인터뷰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의 방송플랫폼 변화를 파악하기위해서 관련 세미나, 컨퍼런스, 연구보고서, 전문가 의견을 반영, 학술서적과 논문을 기초로 이해를 도모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빅데이터 시대의 방송콘텐츠 소비에 있어서의 새로운 메커니즘이 본격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음을 드러내려 하는 것이다. Recently, MCN(Multi Channel Networks2)) have emerged as a new paradigm of broadcast. MCN means a kind of network system which manages broadcasting platforms to unify; there are various one-man or small scale broadcast in the platform of digital network. Now, this MCN system gives a chance for overseas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to solve their inferior grade. The class called ``prosumer`` who is capable to create the broadcasting product not of centralized linear structure but of interactive self-satisfaction structure, owing to the MCN company`s methods which absorb dynamically young audiences with bespoke broadcasts aim at their individual taste; these broadcasting titles are able to be created only by one-man or small scale creators. Besides, being free from restrictions, these prosumers make honest broadcasting products reflecting their living, so their one-man or small broadcasting environment is rather suitable to step up to the plate and reply audience`s demands; these broadcasting products are showed mainly in mobile platform. Already, internally and externally, many major broadcasting companies have extensively invested in this area. Appling this paradigm of MCN to overseas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and support organizations, in this study,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are accomplished, and for understand recent changes about the broadcasting platform, one has explored informations from seminars, conferences, reports, specialists` advices; using books, and theses to ameliorate the understanding. This study would like to reveal that the serious running of new mechanism has started at the view point of broadcasting consumer in an age of big data.

      • KCI등재

        의사소통행위이론에 따른 디지털 네트워크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연구

        장우린(Chang, Woo Ri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후기구조주의가 대중들에게 생산한 포스트모더니즘은 그 상대성으로 말미암아 주체와 타자간의 이성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회의적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디지털 네트워크화 된 시대를 사는 우리들에게는 타자들과의 복합적 대화의 관계망에 위치하면서 소통의 요구에 늘 직면하게 된다. 이제 다시금 대화하는 주체와 이해 가능한 타인에 대한 규정이 필요해진 것이다. ‘체계’에 의한 중재 자체가 목적이 아닌, 타인에 대한 이해가 목적이 되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은 후기구조주의적 상대성과 후기자본주의의 파편화된 대화 모두를 비판한다. 이를 통해 후기구조주의를 거치며 플라톤과 데카르트로부터 절대적 지위를 부여 받은 이 이성적 주체는 이제 반성적 주체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 이제 이 주체는 생활세계에 기반한 의사소통행위로부터 디지털 네트워크 속에서 자정작용을 갖는 건강한 유기체로 거듭날 수 있다. 하버마스는 이 지점에서 긍정적 가능성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후기구조주의의 시대를 거쳐 비판적 해석학으로 새롭게 주체를 부활시키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살펴보면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이론적 대변자로까지 일컬어지기까지 했던 후기구조주의의 대표자 푸코를 뛰어넘어, 하버마스로부터 이제 소통할 수 있게 된 창조적 주체를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연구의 방법론이기도 하다. 디지털 노마디즘은 이제 대화와 소통의 관계망 속에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되는 것이다. 후기구조주의에서도 우리는 체계에 대한 거부를 목격한다. 그러나 그 회의 이후 우리는 어떤 추구에 대하여도 항상 회의적일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그러므로 후기구조주의는 보수적인 성향을 갖게 된다. 하지만 하버마스는 이해와 소통의 조건으로서, 즉 의사소통행위의 가능조건으로서 "생활세계"를 지향하며 "체계"를 거부한다. 이해와 소통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이러한 적극적인 소통행위는 체계로부터 자유 하는 주체, 즉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생활세계 속의 주체를 필요로 한다. 이 주체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지향이 본 연구에서 디지털네트워크에 대한 의사소통행위 전략들을 수립하게 만들었다. 이 전략들의 요지는 첫째, 생활세계를 지향할 것, 둘째, 이해는 언어적 발화로부터만 기인할 것, 셋째, 텍스트 자체만을 대상으로 삼을 것, 넷째, 이해 목표가 설정될 것, 다섯째, 자정작용이 작동할 것, 여섯째, 객관세계로 이끄는 촉매역할을 할 것, 일곱째, 삶을 통해 실천될 것으로 정리된다. 이러한 입장은 소통을 위해 스스로 겸비하는 겸손한 주체, 늘 타인에게 귀 기울이는 주체의 원형을 마름질해 낸다. 한때 절대 이성의 소유자였던 주체는 후기구조주의를 통해 그 이념적 고착을 자각하고 진실하게 소통하려는 주체로서 하버마스에까지 이르렀다. 그리고 이러한 반성적 주체는 우리로 하여금 디지털 네트워크가 새로운 소통과 이해의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다시 꿈꾸게 하는 것이다. The postmodernism produced by the poststructuralism, it is skeptical about the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and others, but living in a digitally networked world we are not possible to avoid th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s, in the network which has a complex and massive interactivity; now again we need to have the definition of the others who could communicate with ourselves. Not a purpose to arbitrate by the System but to understand the others, Haberma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criticize the relativity of poststructuralism and the partial communication of postcapitalism, so the reborn has been accomplished: the rational subject has become self-reflecting one. And so on, this subject could become a complete organism which has a self-purification due to Communicative Action based on Lifeworld; here is Habermas" positive point of view. Researching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which resurrects a new subject using a critical hermeneutic through out the period of poststructuralism, and then overcoming Foucault who was considered the academic voice of digital technology, we could discover up the creative subject who is sufficient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s; it is also the main method of this research. Digital Nomadism becomes Digital Communication in the network of Communication Action, at last. In the field of poststructuralism, we could observe a strong rejection against System, but after this rejection, it is inevitable for us to be negative in front of all kind of pursuit, and therefore the poststructuralism takes a ply of being conservative. Meanwhile Habermas denies System for permit Lifeworld as a condition for potentiality of Communication Action. This Communication Action which tends to "communicate actively" needs to bring the liberal subject in Lifeworld: the term of Habermas. This positive and aggressive pursuit has produced the strategies about Communication Action in the field of digital network. Here are the essentials of these strategies: (1) Pursuit of Lifeworld, (2) Understanding coming from Speech Act, (3) Only the Text as Target, (4) Setting up a Goal for Understanding, (5) Activating the Self-purification, (6) Catalysis toward Objectivity, (7) Practice in Life. This kind of stand point allows to produce a prototype of subject which has a modesty to communicate and to listen always carefully to the others. The subject which had once a absolute rationality has arrived at Habermas, as one who has realized his ideological attachment and who is eager for sincere communication, and this existence of self-reflecting subject makes us dream of this: the digital network is capable to be a new space of communication.

      • KCI등재

        욕망분석을 위한 표본으로서의 디지털 미디어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장우린(Woo Rin Chang)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2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Vol.11 No.-

        Digital media produces something psychological as a result, and not intelligence but also desire has to do with the structure of digital media. `Text` and `regard` are a kind of mechanism in this structure. That is why one finds out some theory of J. Lacan and of J. Derrida in this study. Through out a combination of this two theory, we could attain to the conclusion : digital media could be a model about the formation of human mind.

      • KCI등재

        아메리칸 코믹스의 히어로 캐릭터에 나타나는 디자인 개념, "자연-되기"에 대한 연구

        장우린(Woo Rin Ch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4

        We are able to find out the design concept, `becoming-nature` in the hero characters of DC and Marvel comics which are the range of this study, at the standpoint of Vogler`s heroic prototype and Deleuze`s theory of `becoming`, to catch up a kind of public americans` dream or desire. `Hero` is one of prototypes in the field of narrative, the prototype circulate through every type of story telling contents. Certainly, one could apply this prototype to the case of hero design in american comics. At the same time, the americans are familiar with the `becoming-nature`, design concept which helped to build up by Deleuze. The concept `becoming` need three components: desire, intensity, and deterritorialisation, which are relative to each other organically. Finally, in the concept of becoming-nature, we fall into discover a kind of fluid substance, which incessantly keep moving, streaming and forming to reach not only the side of becoming nature but also of becoming human, us. It means that in the becoming-nature, there are alternative modification among human and nature. It shows us in america, the two important motivation: gigantic nature which provoke the dignity in front of human being and human`s desire and challenge for the nature. These two factor produce the american cultural base, not exceptionally in the case of public hero. As a result, it is the code of `becoming nature` for americans to identify their scientific culture as a part of huge and wild nature. Here is the theoric process consisted in these 4 steps: first, studying on the Vogler`s heroic prototype, second, studying on Deleuze`s theory of `becoming`, third, studying on the american hero characters in DC and Mavel cooperation, and finall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study at the standpoint of Deleuze. As a result, in this study, one could put out a kind of `codes` hidden by the american comic book hero characters, and could read that the public americans` dream which tell us that even a high level of scientific civilization should be a part of great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