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자인경영의 의미적 모호성과 그 의미구조 : 디자인의 의미를 중심으로

        장영중(Chang Youngjoong),장영중(Chang Youngjoo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디자인경영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다는 사실은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하는 매우 특이하며 주목할 만한 현상으로 디자인경영의 실행과 연구를 위해 디자인경영의 의미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디자인의 의미는 디자인경영과 매우 유사한 의미적 모호성을 내재하고 있으므로 디자인경영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의미적 모호성을 반드시 먼저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의 의미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속에 내재된 의미적 모호성이 무엇으로부터 원인하는지 설명하여 이로부터 디자인경영의 의미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의미의 모호성은 디자인이라는 하나의 단어가 구조적으로 감성과 논리라는 상반된 의미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미구조로 부터 발생한 모호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감성적 측면을 표현하기위해 사용된 디자인의 의미와 논리적 측면을 표현하기 사용된 디자인의 의미를 구분하여 이해하는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므로 디자인경영의 의미적 혼란을 극복하고 최선의 디자인경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첫째 디자인이라는 용어에 포함된 두 가지 의미 중 감성적 측면이 디자인 분야와 타 분야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과 둘째 디자인의 의미는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감성과 논리라는 상반된 특성이 어떻게 강조되느냐에 따라 디자인경영의 의미도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design management is not clear is a very unique and unusual feature that a lot of researchers have agreed on. However in order to study and implement design management in the futu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meaning. Since the meaning of'design' has very similar semantic ambiguity with design management to clearly understand design management first we have to understand the semantic ambiguity of design. Therefore this research clarifies what characteristics the meaning of design has. Starting with the explanation of the causes of semantic ambiguity the ambiguity of design is caused when two different natures - emotion and logic - act together. And we need to dissociate two directly-oppsed natures to solve this ambiquity of design and this research also emphasizes that we need strategie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design focusing on emotion then logic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 also mentions the meaning of design has close relations with th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Therefore to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design we should consider it varies between classification of design as a limited design process and design as whole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Lastly the research emphasizes if we clearly understand design's general structure of meaning then design management's semantic ambiguity can be easily understood.

      • KCI등재후보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진사례 연구 : 디자인경영을 중심으로

        장영중(Chang Youngjoong),김도현 (Kim Dohye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에 대한 연구 성과는 향후 디자인경영 교육과 인재 육성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을 연구하는 것은 디자인경영연구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정보화시대를 거쳐 감성사회로 진화함에 따라 디자인이 새로운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점이며 둘째 과거 공학교육과 경영학 교육이 다학제적 교류보다는 그들의 학문을 심화하고 그 심화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전공지식의 전달만으로는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는 반성과 셋째 디자인 역시 과거와 달리 기술과 마케팅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의 현황과 미래 모습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중심 다학제 프로그램인 핀란드 Aalto 대학의 IDBM 네덜란드 TU Delft의 IDE 미국 CMU의 MPD 그리고 캐나다 UT 경영대학(Rotman)의 DesignWorks를 문헌자료와 현장 방문을 통해 조사했으며 그 결과로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대학원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며 둘째 교재 중심의 교육이 아닌 실습 및 경험 중심이라는 점이며 셋째 학제 간의 융합을 넘어 기업과 학교의 융합으로 계속 진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은 본질적으로 논리적 사고와 감성적 사고라는 극단적으로 다른 유형의 사고가 서로 융합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다학제 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양적 균형과 같은 물리적인 결합을 중시하게 된다면 실질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디자인 중심 다학제 교육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서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떻게 화학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인가에 더 집중해야 할 것이다. There are three reasons why we need design-centered multidisciplinary education. The first reason is that design has become a core competitiveness in the new evolving emotional generation.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engineering and business education system have started reflecting on their traditional way of research and education methods because they have recognized that they no longer have competitiveness unless they change and innovate their education system along with the evolving generation. The third reason is that design alone cannot solve the technology and business problems.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future of design-centered multidisciplinary education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world famous design-centered multidisciplinary programs in IDBM(Aalto Univ. Finland) IDE(TU Delft Netherlands) MPD(CMU USA) and Design Works(UT Canada). Our finding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Firstly they operate the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Secondly the programs are mainly focusing on experiences and practices not on knowledge transferring based on textbooks. The third feature is that they make every effort on pursuing joint projects with the industry.

      • 디자인사고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자발적 다학제 교육 : The DEMA Studio 사례를 중심으로

        장영중(Youngjoong Chang),정은기(Eunki Chung),김광현(Kwanghyun Kim),유성지(Sungjee Yoo),김서륭(Suhrewng Kim),윤자영(Jayoung Yoon),박인영(Inyoung Park),강지혜(Jihye Kang)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We are in the middle of 21st century where changes are happening at fast pace and different fields of studies are expanding its domains. In this age, a creative and innovative individual from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required rather than an individual who is capable of only one point of view. Here we introduce a group of students, The DEMA Studio, where students have been studying design management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since 2007. This group includes undergraduate students with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desig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nd is practicing design thinking and radical collaboration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location and potential of this group who interpreted and applied the latest strategy of abroad interdisciplinary system with applicable curriculum and included implications for further discussions of convergence.

      • KCI등재후보

        경영학과 디자인에서의 문제해결방법 : 디자인사고와 문제구조화기법

        김도현(Kim Dohyeon),장영중(Chang Youngjoo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기업경영에 있어 일상성을 벗어난 창의성과 혁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으로 인해 디자인영역에서의 문제해결방법을 경영활동에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최근 활성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디자인분야의 문제와 경영자들이 부딪히는 문제의 유사성을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소위 두 분야 모두 이른바 심술궂은 문제(wicked problem)에 대한 해결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심술궂은 문제를 풀기 위한 디자이너들의 문제접근방법 즉 "디자인사고"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 심술궂은 문제에 대한 경영분야의 대안이라 할 수 있는 문제구조화방법론 (Problem Structuring Method)와 디자인사고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Problem solving approaches in design discipline has recently attracted much interest from managemen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because modern managers are required to think in creative and innovative ways in which designers are regarded to do. To find the feasibility of mutual learning from both disciplines this study first reviews thesimilarity of the problems that designers and managers confront. It is found that the problems are both wicked or wicked problems. The designers approaches to wicked problems "design thinking" is then analysed and compared with the methodology of "problem structuring method" the systematic approaches to wicked problems developed by management researchers and used by practitioners.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of two approaches found in this study may be a basis for mutual learning and mixed use of two seemingly different but astonishingly similar discipline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