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름 색 오버레이의 광학적 특성과 사용자 선택을 반영한 컴퓨터 구현성 분석

        장영건,박찬곤,Jang, Young-Gun,Park, Chan-Kh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1

        광과민성 증후군자를 위한 가상 색 오버레이의 구현성을 검토하고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대표적 필름 오버레이 2 종류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그 특성을 구현하여 컴퓨터 및 모바일 IT기기에 구현할 ${\alpha}$값과 원 색도를 도출하였다. 주변조명을 암실환경과 명실환경으로 구분하여 주변조명이 가상 색 오버레이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나의 원 색도(CIE Luv)를 만족하는 ${\alpha}$와 RGB값의 조합이 다수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사용자는 눈의 편안함과 선명도를 기준으로 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주변조명은 100 lx차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도변화는 거의 없으나, 밝기 차이가 평균 $37.8395cd/m^2$(표준편차 2.0059) 발생하였다. The feasibility of a virtual colored overlay is based on constraints of computer and user preference and it is evaluated for people with Scotopic Sensitivity Syndrome. We draw ${\alpha}$ and chromaticities of virtual colored overlay which will be implemented on IT devices by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2 representative film overlays and simulating them.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two illuminating conditions on the virtual colored overlay. We find that it is possible to get the multiple combinations of alpha and source RGB values to match a chromaticity which is presented in CIE-Luv color space under ideal white condition of display, a user can select one among them with respect to clarity and comfort. Under 100 lx difference of illumination conditions, the changes of chromaticities are negligible, but luminances are increased $37.8cd/m^2$ average(std 2.006) at high illumination condition.

      • KCI등재

        전자문서용 색각 장애 보정 소프트웨어 개발

        장영건,Jang, Young-G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0 No.5

        본 연구는 컴퓨터에서 칼라 전자문서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색맹 및 색약 장애자의 혼란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보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조 기술을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즈를 256색 모드로 사용할 때로 제한하였으며, 여러 개의 창을 열었을 때 나타나는 색의 왜곡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색맹 및 색약 장애자용 팔레트는 christine이 표준으로 제안한 웹에서 안전한 216색상의 팔레트론 기준으로 모든 전자 문서에 적용한 수 있도록 256색 팔레트로 확장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색각 보정 소프트웨어를 적록색맹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시험한 결과 색각 보정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구현된 색각 보정 S/W는 전자문서의 설계과정에서 사용하면 좀 더 큰 색각 보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 assistive technology which reduces color blinds´s confusion when they access electronic documents including color objects in their computers. In this study, 1 restrict the assistive technology would apply to windows operating system, 256 color mode and implement to minimize color distortion which occurs in multi window environments because of color approximation process. As a basic palette, I use a 216 colors web safe palette which the Christine proposed as a standard for color blind, expand it to 256 colors to apply all computer displays using Microsoft Windows as its operating system and implement it as windows application. To test its effectiveness, I use a simulator for dichromats, as results of the test, the developed color vision deficiency correction S/W is effective to reduce the confusion.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implemented S/W in both of design and client process for electronic documents.

      • KCI등재

        내장 문자와 사전 구조 지식을 이용한 HTMLtoVXML 변환 에이전트 개발

        장영건,Jang, Young-G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2

        본 연구는 음성 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기존의 HTML 컨텐츠를 자동으로 VXML 컨텐츠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서 변환은 HTML 문서의 해석과 내용 분리에 앞서 컨텐츠의 선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만, 이미 알고 있고, 관심이 있는 내용의 집단적 선택에 대하여는 아직까지 좋은 해법이 없어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비구조적 데이터로 구성된 웹 문서로부터 필요한 정보 묶음을 선택하기 위하여 웹 문서에 포함된 문자열, 구조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지식을 상호 반응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구현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제안하는 방식은 기존의 구조적 방식에 의한 선택보다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며, 문서 표현의 구현 기법의 변화에 강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컨텐츠 분리 측면에서는 XML또는 XHTML 문서변환을 중간 과정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간적으로 빠르며, 변환 과정의 부담이 작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agent which convert HTML contents to VXML contents automatically for voice services via web. In this paper, I propose an interactive hybrid sequential contents selection method to select desired contents fast and robustly from known web pages. It uses real time structural features as well as embedded text and/or priori structural knowledge such as link symbol position.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 full agent system is implemented and tested. The method reflects user intention more accurately than conventional selections using structural features and is more robust to variations of HTML programming techniques. The agent is fast and has less computational burden than methods use XML or XHTML conversion as intermediate stage.

      • 히스토그램과 퍼지 기법을 이용한 레이저 용접 결함 인식에 관한 연구

        장영건,Jang, Young-Gun 한국전기전자학회 200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5 No.2

        본 논문은 용접이상을 검출하기 위한 특징벡터의 선택과 퍼지 기술을 사용한 용접이상 분류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용접이상 특징 벡터로써 시간 영역에서 절대적분치, 영교차수를, 주파수 영역에서 파워 스펙트럼 계수를, 두 영역 모두를 고려하여 히스토그램을 비교하였다. 그래프 분석에 의하여 특징벡터로서 히스토그램을 선택하였고, 상대 히스토그램의 최대 빈도수와 대응 구간 값이 정상 용접과 용입불량을 구분하는 데 가장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특징 벡터를 사용하여 퍼지 용접이상 분류기를 구현하였고, 695개의 용접 데이터 프레임에 대하여 시험하여 정분류율이 92.96%을 보여, 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실험실에서의 결과로써 실제적인 산업용 레이저 용접 검사기로써 상대적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퍼지 용접이상 분류기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addressed to welding defect feature vector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welding defect classifier using fuzzy techniques. We compare IAV, zero-crossing number as time domain analysis, power spectrum coefficient as frequency domain, histogram as both domain for welding defect feature selection. We choose histogram as feature vector by graph analysis and find out that maximum frequent occurrence number and section of corresponding signal scale in relative histogram show obvious difference between normal welding and voiding with penetration depth defect. We implement a fuzzy welding defect classifier using these feature vector, test i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695 welding data frame which consist of 4000 sampled data. As result of test, correct classification rate is 92.96%. Lab experimental results show a effectiveness of fuzzy welding defect classifier using relative histogram for practical Laser welding monitoring system in industry.

      • KCI등재

        난독증 학습장애인을 위한 가상 색 오버레이 연구

        장영건,최훈일,연제용,Jang, Young-Gun,Choi, Hoon-Il,Yeon, Che-Y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6 No.3

        색 오버레이는 난독증을 완화시키는 보조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종의 가상 색 오버레이가 개발되었다. 기존의 가상 색 오버레이는 색상이 제한되어 최적의 색상 선택을 할 수 없고, 오버레이 창과 겹쳐지는 다른 창을 제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색상이 제품마다 조금씩 다르며, 그 값이 정확히 공개되지 않아 구현상에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키보드 후킹과 트레이 아이콘을 통해 가상 색 오버레이를 이동시키지 않고 겹쳐진 창을 제어할 수 있는 가상 색 오버레이를 구현하였다.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필름 오버레이의 색도 정보와 투과율을 측정하여 가상 색 오버레이에 적용할 색상 정보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오버레이 색상을 좀 더 세분하여 구현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의 가상 오버레이의 문제점이 모두 해결되었다. 따라서 WRRT의 진단 결과를 컴퓨터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A film colored overlay has been used as an assistive device for dyslexics, Recently, several virtual colored overlays which can be used in computer were developed. But existing virtual overlays have some drawbacks which have limited colors and limited control capability over overlapped window by the overlays. Limited colors may prevent optimum color selection and limited control capability can obstruct to transfer keyboard and mouse operation to the overlapped window.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n overlay function which controls an overlapped window under the overlay window by using keyboard hooking and tray icon. We propose a method to determine the source color of a virtual overlays by estimating alpha value of alpha blending algorithm through measurement of the chromaticity and transmissivity of film overlays and implemented all colors which we can produce colors by using Intuitive Overlays. Test results of the developed virtual overlay show that all mentioned drawbacks of existing virtual overlays were eliminated. Therefore we can employ a result of WRRT to use the developed overlays.

      • KCI등재

        색 온도 느낌을 고려한 색 대비 평가 알고리즘

        장영건,Jang Young-G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4

        웹 접근성 평가를 위하여 기존의 문서의 배경색과 문자 색 사이의 색 대비 정의에 대한 알고리즘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색 조합에 대한 기존의 색 대비에 대한 정량적 정의는 가독성 측면에서 불완전하며, 사용자에 대한 시험 평가에서도 무시하지 못할 불일치를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W3C와 미국 토양조사센터(NSSC)의 색 대비 평가 알고리즘을 웹 안전 색의 조합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위하여 NSSC의 알고리즘을 실수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W3C의 알고리즘을 보완하여 색 온도 느낌을 고려한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해당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시험 결과 W3C의 알고리즘과 NSSC의 알고리즘은 모순된 결과가 없었으나, W3C의 기준이 미국 토양조사센터의 기준보다 너무 엄격하며, 전체 색조합의 94.7%가 부적절한 색 대비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색 대비 알고리즘은 W3C의 방식에 비하여 색 대비와 가독성의 관계 사이의 선형성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색 대비의 정량적 요소로써 색 온도 느낌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색 대비 알고리즘에 색 온도 느낌에 대한 최적의 반영 비율 및 가독성을 보장하는 적장 값의 설정은 좀 더 연구가 필요하며, 문자의 스타일과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색 대조 정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색 대비는 일반 데스크톱 컴퓨터에서의 색에 의한 화면 접근 장애뿐만 아니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형화에 따른 가독성 저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면서 더욱 중요한 접근성 지표가 될 것이다. In this paper, two color contrast evaluation algorithms, W3C and NSSC algorithms are compared and investigated to select proper criteria of the color contrast of text-background color combinations in web docum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contrast defined by existing formula and the readability rating is not perfect and there is quite a bit of variance, in particular, there is some substantial outlier. I modify the NSSC algorithm to apply all colors and compare the two algorithms to apply same color combinations of web safe colors. A new algorithm considering color temperature feeling as a component of the color contrast is proposed and implement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isting two algorithms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82% of all color combinations of web safe colors are not proper combinations according to W3C guide which provide severe restriction to select colors in web documents compared to NSSC algorithm. Experimental test shows proposed algorithm is superior to the W3C algorithm with respect to the linearity of relationship between color contrast and readability rating. It means a color temperature feeling is an effective component of a color contrast. But to determine best contribution ratio of the color temperature feeling, further study is required and it is related to Hangul font style and size. The more popular a mobile color display is used, the more important accessibility factor a color contrast will be.

      • KCI등재

        색각이상자를 위한 맞춤형 보조기술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장영건 ( Young Gun J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세계적으로 색각이상 보정을 완벽하게 제공하는 기술은 아직까지 나타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색각이상자들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자신의 색각 특성에 적합하게 그래픽 콘텐츠를 보정할 수 있는 맞춤형 보조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이시하라 검사와 일반사진에 적용하여, 각각 시험통과율과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적색과 녹색 계통의 색 범위에 대하여 2개의 보정규칙을 규정하여 ICC프로파일을 생성하였다. 이시하라 플레이트 10개를 대상으로 적색각, 녹색각 이상자 각각 5명. 15명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시험 통과율이 99.5%였다. 적색과 녹색 계통을 모두 포함하는 일반 사진 10장에 대하여 보정한 결과, 사진의 자연스러움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69였고, 매우 부자연스럽다는 비율도 10.5%였다. 보정을 많이 한 사람일수록 만족도는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은 색 혼란은 거의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지만, 일반 사진에 대한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색각 보정기술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면 혼란을 일으키는 사진과 그렇지 않은 사진에 대한 적응적인 보정 기술이 필요하다. There is no perfect technology to correct all graphic contents for CVD in the sense of pass rate and preference of correc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customized assistive technology to correct a graphic digital content adapted to various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CVD by himself. An ICC profile was generated with 2 correction rules for a green color range and a red color range, I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technology to apply 10 Ishihara plates and 10 general color photos to the participants, 5 protanomalies and 15 deuteranomalies.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pass rate of Ishihara test was 99.5%, average preference score for 10 general photos was 2.69 with 5 maximum and 10.5% of participants replied very unnatural. The more correct sample Ishihara plate, the less they satisfied for 10 general photos. To rise the preference score, we may need adaptive correction technology to identify whether the contents can produce color confusions or not and correct differently according to it.

      • 고속전철용 Cab Cubicle의 이상검출과 고장부위 추정에 관한 연구

        장영건(Jang Young-gun),조경환(Jo Kyong-hwan),박계서(Park Gye-Seo),최권희(Choi Kwon hee) 한국철도학회 2000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is study is about fault detection and fault area detection of LV circuit in Cab Cubicle system which have control of train to keep safety in High Speed Train. LV circuit is operated with diagnosis system like safety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a design and an implementation method to detect fault or to detect fault area automatically about LV circuit. The implemented system is tested successfully after implementation of some function. We expect reduction to diagnosis area or repair time by fault area module.

      • 신뢰성 평가를 위한 LV 회로 분석시뮬레이터 구현에 관한 연구

        장영건(Jang Young-gun),조경환(Jo Kyong-hwan),박계서(Park Kei-Seo),최권희(Choi Kwon-hee) 한국철도학회 2000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sis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LV circuit in Cab Cubicle system which controls train to keep safety in High Speed Train. LV circuit is operated with diagnosis system as safety system. In this paper, we suggest a design and an implementation method to analyze LV circuit or trace fault area in LV circuit. This simulator uses 28 package modules and examines input and output by equations. So, user can trace where is fault area. The implemented system can be expected to be useful for long term test and evaluation of circuit in high speed train systems. We expect reduction to diagnosis area or repair time by this simul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