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중기 조경(趙儆)영정의 보존 및 제작기법 연구

        장연희,유혜선,황유정 국립중앙박물관 2008 박물관보존과학 Vol.9 No.-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에서는 서화유물도록 발간 사업의 일환으로 초상화 3점을 보존처리 하였다. 그 중 조경영정은 조선 17세기 대표적인 선무공신상(宣武功臣象)으로 1997년 기증된 유물이며, 견본채색 전신상으로 족자표장이 되어 있다. 이 영정은 화견(畵絹)이 배접지와 완전히 들떠 있으며, 안료의 박락 등 열악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에 보존처리 전 과학적 조사(현미경 조사, XRF, X-ray)를 통해 제작기법 및 재질을 조사하고 해체, 클리닝, 배접지 제거, 결손부 보강, 배접, 마무리 순으로 보존처리 하였다. Conservation science tea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conducted conservation treatment for 3 pieces of portraits as a part of project for publishing illustration book of relics of paintings and writings. Among them, portrait scroll of Jo Gyeong is a representative portrait of Seonmoogongsin rank in 17th century of Joseon, which was donated in 1997 and its whole body painted on silk was scrolled. This portrait was in poor state including the silk of portrait got loose from lining paper completely and exfoliation of the pigments. Accordingly before preservation treatment, production technique and the quality of the material lining were surveyed through scientific study(investigation through microscope, XRF, X-ray) and preservation treatment was conducted in order of disassembly, cleaning, removal of lining paper, infiling of the missing parts, lining, finishing.

      • KCI등재후보

        심희수 초상의 재료와 제작기법에 대한 과학적 조사

        장연희,윤은영,김수연 국립중앙박물관 2014 박물관보존과학 Vol.15 No.-

        심희수 초상화는 조선 17세기 공신상이며 ‘종가 보존본’과 ‘차종손댁 보존본’ 2본으로 1980년에 기증되었다. 기존 장황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으나 화견의 결손 및 수해에 의한 얼룩 등 손상 상태가 매우 심각하여 보존처리를 진행하여 원형을 살리도록 복원하였다. 또한 X-ray 촬영 및 XRF, XRD, 그라프 “C” 정색반응 등 다양한 과학적 조사를 통해 재료 및 제작 기법을 조사하였다. 바탕 직물은 정련된 견섬유로 씨실 2줄이 한 쌍으로 날실 1줄로 이루어진 평직으로 되어 있었다. 배접지 분석 결과, 1차 배접지는 대나무 섬유의 중국지, 2차 배접지는 닥나무 섬유의 한지로 확인되었다. 안료는 연백, 주사, 연단, 아타카마이트, 먹, 석청, 은, 금 등 다양한 전통 안료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채색기법을 조사한 결과 흰색(연백)·녹색(아타카마이트)·주황(연단)·흑색(먹)·황색(금) 등의 색을 사용하여 배채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X-ray 투과사진에서 먹이나 염료와 함께 연백을 혼용하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Portrait of Sim Huisu is a seventeenth-century Joseon portrait of a meritorious vassal.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urrently owns two portraits of Sim Huisu, which are the eldest son’s family and by the eldest grandson of the family’s second eldest son. Both were donated in 1980. Portraits were still in its original mounting, but the supporting silk had been damaged and stained in a flood. Conservation treatment was undertaken to restore the original style, and scientific analysis, such as, X-ray, XRD, XRF and Graff "C" stain, was conducted to study the materials and painting techniques. The support silk was found to be refined fibroin and a plain weave consisting of two weft threads and one warp thread. The lining papers were found to be bamboo fiber paper of first layer in China and Korean traditional mulberry paper in second. Various pigments were identified in the painting, including white lead, cinnabar, atacamite, ink stick, azurite, silver, and gold. The study also confirmed the use of the back painting, with colors such as white(White Lead), green(Atacamite), orange(Minium), black(Ink Stick), and yellow(Dye). Also, it was found that stick ink or dye was used with white l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