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후반의 세계체제와 경제성장

        장덕진(Dukjin Chang)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6

        세계체제론과 연결망 이론은 상당한 정도의 논리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유사성의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밝히고 난 후, 이 논문은 1995~1999년 기간의 국제무역 연결망 자료에 대한 분석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로, 1990년대 후반에 세계체제는 존재하는가? 둘째로, 아시아 경제위기를 전후해서 세계체제에 변화가 있었는가? 셋째로, 세계체제 변수와 근대화론, 경제학적 발전론 등의 변수를 함께 포함할 때 이 기간 동안 각국의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분석결과 1990년대 후반에도 뚜렷한 세계체제가 존재하며, 이것은 아시아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견고하게 존재하고 있다. 세 가지 서로 다른 이론을 대표하는 변수들을 포함한 회귀분석 결과 세계체제를 반영하는 변수의 영향력이 가장 강력하고 일관되게 나타난다. 가치관 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경제성장의 단계에 따라 특정적인 것으로 보이며, 경제개방성은 세계체제 내 위치와 가치관 변화의 영향력이 통제된 후에야 비로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다. 끝으로 이러한 양적 분석결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세계체제론의 이론적 성공인지 아니면 연결망 자체의 특성인지는 좀더 신중히 연구되어야 한다고 보는 근거들을 제시한다. The similarity between the logic of world system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has been acknowledg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fter delineating this similarity in more theoretical terms, this paper analyzes the international trade network data for 1995-1999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as there an identifiable world-system in place in the late 1990s? Second, was ther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world system due to the Asian Crisis of 1997? Third, what factors explain the speed of economic growth for this period when variables from world-system, modernization, and economic theories of development are included simultaneously? World system is firmly in place in the late 1990s and is very robust despite the huge crisis. The OLS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of the variables representing the three different theories, world system variables are strongest in their impact and most consistent across different models. The effect of value change seems contingent on the stage of economic growth. Economic openness begins to exert its influence only after the effects of world system prominence and value change are controlled for. Despite the size and consistency of world system effects foun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very cautious interpretation is called for because it has yet to be answered whether world system theory or the network dynamics regardless of the network substance is responsible for the empirical results.

      • KCI등재

        한국인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학

        장덕진(Dukjin Chang),김기훈(Ghi-Hoon Gh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1 언론정보연구 Vol.48 No.1

        이 연구는 한국인 트위터에 대한 연결망 분석을 통해 트위터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학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2010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1,133,365개의 한국인 트위터 계정을 모두 크롤링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반부에서는 한국인 트위터 네트워크의 일반적 특성과 더불어 많이 RT 되는 글들의 특성과 url 링크 현황을 분석하였다. 후반부에서는 트위터에서 이슈가 되었던 추석 폭우 사태와 이념적 소비 발언 관련 트윗의 전파과정을 분석하였다. 아직은 발견적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중요한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기본적으로 트위터는 소통과 담론의 공간이며, 많이 알려진 멱함수분포를 사회과학적으로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트위터는 오프라인의 전통매체에 대응하는 대안매체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낸다. RT는 의견과 정보를 전파하는 수단인데, 재난 상황에서의 RT와 정치사회적 사건에 대한 RT는 상당히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트위터에서의 논쟁은 같은 범주에서의 반대 개념을 사용하는 방식과 새로운 범주를 도입하는 방식이 함께 사용되고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delineate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Korean Twitter network. After identifying 1,133,365 Twitter accounts who were presumably Koreans, we crawled information including tweets, bios, followings, replies, and retweets through Twitter API for the period 1 August 2010 through 30 September 2010, which was then put into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paper is largely divided in two parts. The first half repor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witter network, together with characteristics of most­retweeted tweets and use of url links. The second half contains two case studies which became huge social issues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heavy rain during the Chuseok holiday season and the ‘ideological consumption debate’ regarding the sale of pizzas at Emart, a large supermarket chain. Despite this is still a heuristic research, we were able to come up with a few theoretical implications. Twitter is basically a space for communication and discourse. Caution should be used when interpreting the widely­known power­law distribution in terms of social science research. Twitter delineates a strong inclination toward becoming an alternative media vis­a­vis offline traditional media. While RT is a tool for spreading opinions and information, the use of RT is different in a disaster situation from that regarding a socio­political issue. When a debate goes on in Twitter, there are two major strategies. One is to use opposite concepts in the same discourse category, and the other is to bring in a new discourse category which has not been used by the contending party.

      • KCI등재

        사이버 공간의 공동체와 연결망

        장덕진(Dukjin Chang),배영(Young Ba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9 No.1

        본 연구는 인터넷의 등장으로 가능하게 된 사이버 공간에서의 사회적 관계를 다양한 실험적 방법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잇이즈콤의 회원들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커뮤니티의 활성화에는 정서적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것은 순전히 도구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커뮤니티라 할지라도 마찬가지이다. 둘째, 사이버 커뮤니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자본은 ‘완성적 사회자본’과 ‘도구적 사회자본’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온라인 상에서 하는 행동의 가장 미시적 단위인 ‘클릭’에도 뚜렷이 구분 가능한 패턴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온-오프라인 상호작용, 정서적 만족감, 연령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1인 미디어를 통한 친구 맺기의 경우 행위자의 적극적 태도나 접촉의 정도와 같은 요소가 관계망의 형성과 유지에 있어서 중요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1인 미디어에서의 친구 맺기 유사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주로 친구 연결망에서의 위치와 관련되어 있으며, 사이버 커뮤니티의 경험이나 클릭 패턴의 차이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난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relations in the cyberspace with the help of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developed in the social sciences. Detailed micro-level data used for the analyses came from the membership database of Itiscom Inc., a well-known Internet service company. The analyses have retur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motional element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activation of cyber communities, even in those with purely instrumental goals. Secon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social capital from cyber communities into consummatory and instrumental social capital. Third, there exist clearly identifiable patterns in the most micro behavior in the cyberspace, i.e., clicks. These pattern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variables such as on-and-offline inter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and age. Fourth, positive attitude and frequency of contact seem to be important i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ties. Fifth, the similarity of friendship ties in the personal media space is mostly related to the actors' position in the friendship network, while at the same time pervious experiences of cyber communities and the similarity of click patterns can also be significant.

      • KCI등재

        17대 국회 법안표결의 정치경제학

        장덕진(Dukjin Chang),김란우(Lanu Kim),박기웅(Kiwoong Park)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1

        이 논문은 17대 국회에서의 146개 쟁점법안에 대해 정치학에서 발전된 법안표결 분석방법인 NOMINATE 분석을 적용하여, 노무현과 열린우리당이 실패한 원인을 찾으려는 시도이다. 분석결과 두 개의 주요한 차원이 드러났다. 첫 번째 차원은 여당 대 야당의 차원, 혹은 정쟁의 차원이고, 두 번째 차원은 정책과 이념의 차원이다. 여당 대 야당의 대립은 정당정치에서 불가피하고 정상적인 부분이라고 본다면 실패의 원인은 두 번째 차원에 있을 것이다. 노무현 정부가 집권 후 매우 빠른 시간 안에 지지기반을 잃었고, 그 원인/결과로서 일정한 보수화 경향을 보여주었음을 감안한다면 두 번째 차원은 초기의 노무현과 중반 이후의 노무현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고 혹은 노무현의 꿈과 노무현의 현실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분석결과는 열린우리당 내의 친노세력과 운동권 출신 의원들은 노무현의 현실을, 그로부터 이탈한 지지층은 노무현의 꿈을 택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failure of Rho Moo Hyun and Uri Party by applying NOMINATE to 146 roll-call voting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re were two significant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is the one between the incumbent and opposition parties, or in other words, political competition. The second one is the dimension of policy and ideology. Admitting that political competition is normally expected and inevitable in any political system, the reason for the failure has to be sought in the second dimension. The political support for Rho Moo Hyun administration quickly began to subside after Rho"s inauguration, which in a way forced Rho a series of choices toward conservative policy, which in turn sped up the dismantling of his political support. Given this observation, the second dimension seems to represent the tension between his ideals and his realities.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pro-Rho faction and politicians with movement background chose Rho"s realities, while those who had supported Rho but then felt betrayed wanted to stick to his ideal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산업연관구조 하에서의 기업집단 다각화 전략

        장덕진(Chang Dukjin)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2

        한국 재벌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비관련다각화를 주요 특징으로 지적하고 있으나 기업집단이 추구하는 다각화의 논리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것은 다각화의 정도와 양상을 측정하는 다각화 지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기존 지수들은 산업연관구조나 재벌 계열사들간의 연결망 경쟁을 포착하는데 실패하였다. 이 논문은 복수의 시장에서 접촉하는 기업집단들이 서로의 선택을 고려하는 전략적 합리성을 가지고 재벌간의 연결망 경계를 의식하면서 다각화를 추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각화의 대상이 되는 시장 위치를 네 가지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두 개의 가설을 수립하였다. 하나는 재벌은 상대방의 시장권력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클리크 내부로 다각화 할 것이라는 가설이고, 다른 하나는 시장 선점을 위해 등위집단 외부로 다각화할 것이라는 가설이다. 1985년 산업연관표에 대한 연결망 분석을 통해 산업간 응집도와 등위거리를 파악한 후, 1986년 10대 재벌의 재무자료를 분석하여 위의 두 가지 가설을 검증한 결과 두 개의 가설을 모두 지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기존 연구들이 대답할 수 없었던 ‘어느 산업으로의 다각화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할 수 있고, 다각화된 사업부문간의 관련성을 단순한 이산변수가 아닌 다차원적 연속변수로 취급할 수 있으며, 생산자들이 서로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서로에게 준거틀과 역할구조를 제공하는 경제사회학적 시장 개념을 반영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분석과정에서 기업집단 내의 산업별 매출액 비중을 반영할 수 없었던 것은 이 논문의 한계이며 향후 보완되어야 할 과제이다. Although most existing research on Korean chaebol has pointed out unrelated diversification as one of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little attemp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e logic behind business group diversification. Also, existing diversification indices successfully capture neither input-output structure of industries nor the network competition among chaebol business groups. Assuming that business groups which encounter one another in multiple markets act with both strategic rationality and recognition of network boundaries, this paper distinguished four different market positions as potential diversification targets. Two hypotheses could be drawn from this distinction. First, chaebol business groups will diversify into industry cliques in order to be autonomous from market power of competing chaebol. Second, chaebol business groups will diversify out of equivalent industries to preempt new markets ahead of competing chaebol. Results from a network analysis of 1985 input-output table and financial statements of 10 largest chaebol in 1986 strongly support both hypotheses. This result has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it can provide answers to the so-far unasked question, “diversification into which industries?” Second, it makes it possible to treat the relatedness between industries as a multi-dimensional continuous variable, rather than as a discrete variable, as is assumed in existing indices. Third, it reflects the market imagery of economic sociology, which sees the market as providing a frame of reference and role structure to producers who keenly observe each other’s behavior. However, an apparent shortcoming of this paper is its failure to reflect each industry’s differing relative contributions to the total sales of a business group.

      • KCI우수등재

        경제위기 이후 기업구조조정 프로그램의 사회학적 분석

        장덕진(Chang Dukjin)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4

        97년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기업구조조정은 대단히 비효율적이고 소모적인 양상으로 진행되어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게 된 원인을 찾기 위해 두 가지의 주장을 제기하였다. 첫째로, 기업구조조정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사회학적 시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다. 경제위기 이후 시장담론이 지배하게 되면서 과거 존재하던 이론의 다양성이 사라졌지만, 구조조정을 주도하였던 금융감독위원회가 공식적으로 채택한 구조조정의 기본 원리는 런던 어프로치로서 연결망중심적-사회학적 시각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는 정책원리이다. 둘째로, 영국과 한국에서 런던 어프로치가 적용된 맥락을 비교해보면 한국의 경우 과다신뢰의 방향으로 신뢰구조를 왜곡시키는 여러 요인들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신뢰에 기반한 런던 어프로치 그 자체의 문제점은 아니지만 그것의 한국적 적용은 신뢰 오용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It is widely agreed that Korea's corporate restructuring since the Asian economic crisis of 1997 has been a very inefficient and dissipative process. This paper attempts to delineate the underlying causes for this inefficiency by suggesting two arguments. First, I suggest that sociological perspective is indispensable for a proper analysis of corporate restructuring. Much of the theoretical diversity has disappeared since the 'crisis, leaving market-centered explanation the only discourse on corporate restructuring. However, a close examination of the restructuring program officially announc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ttee reveals that the basic principle - i.e., the London Approach - can be best explained by a network-centered/sociological perspective. Second, when we compare the British and the Korean experiences across several important contexts in which the London Approach was applied, we can find that in case of Korea there were factors distorting the structure of trust toward over-trust. Consequently, I conclude that Korea's corporate restructuring has exemplified the misuse of trust, although the trust-based London Approach itself cannot be blamed.

      • KCI등재

        웹사이트 이용자의 클릭패턴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장덕진(Dukjin Chang) 한국사회학회 2005 韓國社會學 Vol.39 No.4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의 모든 클릭을 기록하고 있는 클릭 스트림 데이터와 사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결합하여 분석한 이 논문은 사용자들의 클릭 행동에 특정한 패턴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만약 그러한 패턴이 존재한다면 특정 클릭 패턴을 발전시키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들의 클릭 행동에는 뚜렷이 구분할 수 있는 몇 가지의 패턴이 존재하였으며, 여기에는 온-오프라인 경험의 상호작용, 자신이 소속된 사이버 커뮤니티에 대한 정서적 만족감, 그리고 연령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의 익명성과 개인의 원자화에 대한 일반적 우려와는 달리 무심코 하는 클릭 행동에서조차도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이버 공간에서 맺어지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만족감은 도구적 행동을 자제하도록 만들고, 잘 알지 못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이타적 행동을 하도록 하기도 한다. 또한 특정 웹사이트를 열성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한 도구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단기시장보다는 오히려 안정적인 거래의 연결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판단할 때,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일어나는 사회적 관계의 실종에 대한 우려는 과장되었다고 보이며, 사회적 관계는 실종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변형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분석하고 있는 극소단위 자료는 향후 사이버 공간의 사회학을 위한 중요한 지렛대가 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By combining survey results and click-stream data which record every click visitors have made in a particular web site, this paper attempts to find if there are identifiable patterns in the clicks visitors make and, if so, factors affecting people to develop a certain click pattern. The result shows that there do exist clearly identifiable click patterns. The experience to meet with online friends offline, the satisfaction people feel with the cyber community they belong to, and age a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people to develop a certain click pattern. People satisfied with the online social relationship tend to not only abstain from egoistic instrumental behavior but even behave altruistically to the people they do not really know in person. Heavy users of the web site prefer stable transaction networks to an arm's length market. Judging from these results, the popular diagnosis that the spread of the Internet leads to the vanishing of social relations seems exaggerated. Social relations are not vanishing, but being transformed. The author also would lik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click-stream data, which is the most detailed data one can imagine on people's online behavior, for the sociology of cyber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