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 청소년의 자살경향성에 관한 혼합연구 : Visible minority, Invisible minority 관점의 적용

        장대연 ( Jang Daeyeon ),김준범 ( Kim Joonbeom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9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9 No.-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생활 경험과 자살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한 혼합연구이다. 이에 양적연구를 위해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Visible minority(이하 VM)의 관점을 중심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자살경향성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질적연구를 위해 3명의 VM 다문화 청소년과 4명의 Invisible minority(이하 IV) 다문화 청소년을 모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자살경향성과 관련된 생활 경험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 결과, 비다문화 청소년에 비해 다문화 청소년일수록 자살경향성이 높았으며 특히, 자살계획, 자살시도, 치명적 자살시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연구 결과, VM 집단 뿐만 아니라 일부 IM 집단도 자살경향성에 있어 취약성을 보였다. 이는 자살경향성에 대한 취약성의 근간이 VM 여부뿐만 아니라,IM 집단일지라도 사회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국가에도 투영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VM 관점뿐만 아니라 저평가된 IM 집단까지 모두 포괄 할 수 있는 새로운 인종 차별주의(new racism) 관점에 입각한 “인종화(racilization)”의 개념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전반적으로 다문화 청소년이 일상생활 속에서 경험한 차별은 자살경향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자살경향성 완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①examin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tatus based on visible minority (hereafter VM) perspective on their suicidality utilizing a quantitative data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2018, and ②explore specific life events associated with suicidality by interviewing VM and invisible minority (hereafter IM) adolescents. A total of seven participants (3 visible minority, 4 invisible minority)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M and IM accounted for each of 0.36%, 0.74% of quantitative data, but both had greater risk of overall suicidality other than suicidal ideation. Second, both VM and IM showed higher level of suicidal attempts than monocultural adolescents, it was more plausible that applying for “racialization“ perspective based on “new racism“ which including not only VM perspective but also under-estimated IM groups. Third, Both IM and VM were more vulnerable for 'ideation-to-action transition' issues which implied greater risk of suicide death. Additionally, VM and part of IM was less associated with suicide plan but more linked to lethal suicide attempts which may be attributed to impulsivity based on adverse life events. Based on these results, poli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Visible minority 관점을 적용한 다문화 청소년의 자살경향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어머니를 둔 청소년을 중심으로

        장대연(Jang, Daeyeon),김준범(Kim, Joonbeo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visible minority 관점을 중심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자살 경향성(우울감,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치명적 자살시도)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을 외모의 가시성에 따라 가시적 소수자와 비가시적 소수자로 구분하고 한국단일가정에서 출생한 비다문화 청소년과 비교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제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다문화 청소년 639명, 비다문화 청소년 57,595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비율은 가시적 소수자와 비가시적 소수자가 각각 0.36%, 0.74%에 불과하였으나, 다문화 청소년일수록 자살계획, 자살시도, 치명적 자살시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시적 소수자는 비다문화 청소년에 비해 자살시도의 위험 승산비가 2.46배 더 높고, 치명적 자살시도 위험 승산비는 14.3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살생각의 세 집단(가시적 소수자 집단, 비가시적 소수자 집단, 비다문화 청소년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살계획은 비다문화 청소년에 비해 비가시적 소수자 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자살경향성에 대한 취약성의 근간이 가시적 소수자 여부뿐만 아니라 비가시적 소수자일지라도 사회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국가에도 투영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자살경향성 완화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실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uicidality which include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s, suicide attempts and lethal suicide attemp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 visible minority perspective.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ir visibility,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lassified into “visible minority” (hereafter VM) and “invisible minority” (hereafter IM), and compared with korean monocultural adolescents. Data was obtained from 13th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S) and the subjects consisted of 639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57,595 monocultural adolescen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M and IM accounted for each of 0.36%, 0.74%. but both had greater risk of overall suicidality other than suicidal ideation. Second, VM had 2.46 times higher risk odds for suicide attempts and 14.39 times higher risk for lethal suicide attempts than monocultural adolescents. Third,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VM, IM, and monocultural adolescents) of suicidal ide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suicide pla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IM group than mono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poli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to reduce suicidalit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아르바이트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음주 및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김재엽 ( Kim Jae Yop ),장대연 ( Jang Daeyeon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1

        연구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실태를 확인하고 아르바이트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음주빈도와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인문계고등학교 곳에 재학 중인 865 명의 학생으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얻어진 데이터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Macro Process v.2.13 을 사용하였으며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전체의 16.1%로 나타났다 둘째 아르바이트 경험은 음주빈도에 음주빈도는 공격성에 공격성은 학교부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르바이트경험은 학교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아르바이트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음주빈도와 공격성은 이중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와 시사점에 초점을 바탕으로 아르바이트로 인한 학교생활에서의 부적응을 낮출 수 있는 실천적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maladjustment and its intervention strategies by examining the effect of part-time job on school maladjustment, an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alcohol drinking and aggression on adolescents in this relationship. The survey is targeted to 865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double mediation analysis, SPSS Macro Process v.2.13 was used, and the result follows. First, 16.1 percent of adolescents responded that they had at least one part-time job until now. Second, the negative effects were measured on part-time job to alcohol drinking, alcohol drinking to aggression on adolescents, and aggression on school maladjustment, but there was no direct effect on part-time jobs on school maladjust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time jobs on school maladjustment, double mediation effect of alcohol drinking and aggression on adolescents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mportance of improved job’s environment and necessity of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methods to alcohol drinking and aggression on adolescents.

      • KCI등재

        Effects of Neglectful Parenting o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이진석(Jeensuk Lee),장대연(Daeyeon Jang),최선아(Sunah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glectful parenting on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ident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The research data included 1,160 respons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ollected by the Year 6 (2018) and Year 7(2019) data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analyzed. Multiple regression and dual med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showed that 37.7%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d neglectful parenting from their parents. Second, neglectful parenting had a direct and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ful parenting and life satisfac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had not been verified. Fourth, in the path from neglectful parenting to life satisfaction,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were significant. It can be interpreted that neglectful parenting reduces self-esteem and increases social withdrawal, consequently undermining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prevent the harmful effects of neglectful parenting and promote life satisfaction for multicultral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소년이 인지한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6, 7차 두 개년도(2018, 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16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및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대상자의 37.7%가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를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사회적 위축은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넷??,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방임적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이는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켜 삶의 만족도를 저해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부모로부터 방임적 양육태도를 경험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저하를 낮출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기복무 기혼 제대군인의 경제스트레스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 가족 간 긍정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박재홍(Jae-Hong Park),장대연(Daeyeon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communication among famil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experienced by married military veterans who have served in the military for more than 10 years. A survey was conducted on married military veterans using the Military Service Support Center. The survey period is 5 months from February 2019, and 355 data collected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74.6% of veterans were exposed to economic stress. Second, among the control variables set, living standard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found to affect marital satisfaction. Third, economic str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communication among families has been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a policy plan through the military authorities that could improve the economic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discharged soldiers.

      • KCI등재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 고립감의 매개효과와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재엽 ( Kim Jaeyop ),김동현 ( Kim Donghyeon ),장대연 ( Jang Daeyeon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립감의 매개 효과와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육군, 해군, 공군에 속해 있는 장기근속 장교 및 부사관과 군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1,000여 명의 사례가 조사되었다. 이 중 장기근속 직업군인의 여성 배우자 237명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7.0과 Process Macro의 모델 4와 1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Process Macro 모델 4를 통해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에서 고립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Process Macro 모델 14를 통해 이러한 매개효과가 긍정적 의사소통(TSL)에 의해 조절되는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군인 아내의 25.1%(58명)는 지난 1년간 배우자폭력 피해 경험이 있었으며, 배우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직업군인 아내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우울 증상이 2배 이상 높았다. 둘째, 직업군인 아내의 고립감은 배우자폭력 피해와 우울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셋째, 배우자폭력 피해가 고립감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의사소통(TSL)에 의해 조절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직업군인 아내의 배우자폭력 피해가 고립감을 거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 의사소통(TSL)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군인 아내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배우자폭력과 고립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긍정적 의사소통(TSL)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isol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ed effects of positive communication (TS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spouses of professional soldiers who have served over 5 years in the Army, Navy, or Air Force. A total of 237 ca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the SPSS Process Macro. Results: First, 25.1% of spouses were exposed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the past year, and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was more than twice as high compared to those who were not exposed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Second, iso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Third, the impact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depression through isolation was moderated by positive communication (TSL). The association between isolation and depression weakened with increased positive communication.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impact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depression through isol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positive communication (TSL) among spouses of professional soldier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치매노인의 증상정도가 부양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재엽(Kim, JaeYop),김준범(Kim, JoonBeom),장대연(Jang , DaeYeon),송인한(Song, InHan)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본 연구는 부양자가 인지한 치매노인의 증상 정도와 치매노인 부양자의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부양부담의 하위 요인을 세분화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치매노인 부양자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현재 서울시, 경기도와 부산의 각 지역에서 데이케어센터 및 요양기관을 이용하는 치매노인 부양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428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들 중 응답이 부실한 13부을 제외한 415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고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 부양자 중 최근 1년간 자살에 대한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부양자는 21%로 나타냈다. 둘째, 치매노인의 증상 정도는 부양부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양자의 부양부담은 부양자가 인지한 치매 노인의 증상정도와 부양자의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고 이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부양자의 자살생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양부담을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서 치매노인과 부양자에 대한 접근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사회복지 중심의 프로그램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caregiver burden’s segmentalized sub factors between dementia caregiv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extent of dementia patients and Suicidal Ideation of dementia caregiver, and suggesting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thods for dementia caregiver The survey is targeted to demented elderly people and caregivers, and currently using medical care institution and day care center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Pusan city. As a result of the survey, 415 cases were col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In data analysis process, we used SPSS 21.0 for the mediation effect of conversational satisfaction and its significance,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21% of the caregivers responded that they had thoughts of suicide in the past year. Second, Symptom extent of dementia patients was positively related to caregiver burden. Third, worse in family relationships, which is sub factors of mediate variable, has partial mediate effect on the model. Based on these outcomes, we sugges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mproved approach about dementia elderly and caregiver between elderly couple as way to reduce caregiver burden and proposed social work-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enhancing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