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전부문] 북미 후방충돌 법규 강화 예시안 대응위한 승용차의 후방 충돌 해석

        임희진(Heejin Im),홍성오(Sungoh Hong),홍석길(Seokgil Ho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1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1 No.11_2

        FMVSS NO.301 upgrade NPRM was annolU1ced in last year. The rule was changed full rear impact test procedure with an offset rear impact test procedure. The barrier speed was increased from 48km/h to 80km/h. According to the new rule, test and F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FE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with test result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get minor injury base on the results

      • 예비 중등교사의 기초학습부진학생 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동일(Dongil Kim),김희은(Heeeun Kim),임희진(Heejin Im),장혜명(Hyemyoung Jang),이연재(Yeonjae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학생 교육봉사경험이 갖는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서울 소재 S대학 사범대 학생 6명을 대상으로 40~60분의 집단 면담을 2회 실시하고, 내러티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쨰, 기초학습부진학생의 학업적 및 정서·행동적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게 되었고, 둘째, 기초학습부진학생 학업적 및 정서·행동적 지도의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교사의 기초학습부진학생 역량이 강화되고, 예비 중등교사가 기초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초학습주진학생이 다양한 가정환경 및 또래관계에 놓여 있으며, 기초학습부진학생 지원과 관련된 학교 교육 체계의 문제점을 이해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 중등교사가 경험하는 초등학교 기초학습부진학생 지도 경험이 갖는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기초학습부진학생 지원 현황 및 방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난독증 선별을 위한 RTI 적용

        김동일(Kim, Dongil),김희주(Kim, Heeju),안예지(An, Yeji),안성진(Ahn, Sungjin),임희진(Im, Heejin),황지영(Hwang, Jiy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난독증 고위험군 학생들에게 다층 체계를 기본으로 하는 RTI 교육 서비스 내에서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학습 진전도에 따라 난독증 학생을 선별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6년도 경기도 난독증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으로 선정된 ‘경기도 난독증 아동청소년 지원프로그램 대상자’ 중 RTI 체계 내에서 읽기 유창성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22명의 초등학생 1-5학년 학생들이다. 연구대상에게 증거기반 읽기 교수 학습 전략에 따른 개별화된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약 3개월간 8-10회기 제공하고, 총 3회의 진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읽기 유창성 중재를 받은 22명의 학생들을 관심군, 향상군, 이중불일치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중불일치군으로 분류된 3명의 학생들을 잠재적 난독증 집단으로 정의 내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향후 난독증 학생에 대한 교육적 진단과 효과적인 중재 적용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icate systematic RTI educational service by providing reading fluency program to identify high-risk students with dyslexia of a shadow zone based on their growth rate. Twenty-two students of 1st to 5th grader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rough “2016 Kyungi-Do Project of the Dyslexia Excellence Program”. An individualized reading fluency program was provided through 8-10 sessions over a period of 3 months.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vidence-based reading strategies with the consideration of each student’s educational needs. As results,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with their learning growth rates: concerned, improving, and discrepancy groups. The study identified three students in a discrepancy group as students with dyslexia.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educational identification process along with effect programs we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 다양성 지표 개발 연구

        김동일(Dongil Kim),안예지(Yeji An),금창민(Changmin Keum),임희진(Heejin Im),곽다은(Daeun Kwa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Diversity is an important value in the knowledge-based and globalized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diversity indicator to contribute to the acceptance and enhancement of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a diversity framework and its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garding university and diversity related indicators. The indicator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and thre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indicator, which consists of 14 evaluation areas and 34 specific indicators, was finalized. Indicators are both descriptive and normative in a way that they objectify and quantify the social phenomenon, and also show changes in them. This diversity indicator will offer an abundancy of valuable information that will be needed to maintain education quality and help set university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a time of change. 본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 글로벌 사회에서 교육의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장애, 성, 문화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성 지표를 개발하여 기관의 다양성 수용 및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표의 틀과 문항을 구성하였고,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설문조사와 3차례에 걸친 집단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총 14개의 평가영역과 34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된 다양성 지표가 확정되었다. 지표는 현상을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기술적 성격과 변화를 나타내는 규범적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양성 지표가 대학 교육의 질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학의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적 변화의 흐림 속에 대학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