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행평가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증진 방안 모색: 미국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행평가제

        임혜성 ( Haesung 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부터 미국에서 시행되기 시작한 미국의 예비교사를 위한 수행평가인 edTPA의 전반적인 구성 원리를 알아보고, 특히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수행평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edTPA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edTPA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의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수행평가항목(rubric)을 제시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비디오클립과 구조화된 반성적 기록물을 작성하도록 하여 예비유아교사가 자신의 교수행위와 실천적 지식을 연결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새롭게 시행되기 시작한edTPA를 둘러싼 찬반론과 대학 등의 교사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체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edTPA가 우리나라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평가와 관련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dTPA(teacher performance assess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 candidat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evaluation of teaching practic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edTPA-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es high and rigorous teaching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candidates, which works as a criteria for self-reflection and teacher evaluation on the cycling process of planning-instruction-assessment. Moreover, conceptual tools such as video-recordings of classroom interactions and written commentaries enabled teacher candidates to connect their teaching practices with their practical teacher knowledge and theories on teaching and learning, which works as a catalyst for enhancing teacher reflection. After discussing the pros and cons of this newly adopted policy, as well as examining the various forms of support and changes i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U.S., this paper ultimately discusses some of the ways in which edTPA can be incorporat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Korea as a means for promo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candidate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부모의 의사소통,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수학 흥미: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임혜성 ( Im Haes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의사소통,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질과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유아의 수학 흥미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4-5세 유아의 부모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 흥미가 높았으나,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질(과정 지향형 vs 성취 지향형 상호작용)은 유아의 수학적 흥미를 예측하지 못했다. 둘째, 기관-부모의 의사소통은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예: 간단한 덧셈하기, 숫자 이름 익히기 등)에 직접 효과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부모의 의사소통이 많을수록 부모들은 유아와 수학적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였고, 이러한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유아의 수학 흥미를 완전 매개하였다. 논의에서는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및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ath interest.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how preschool-parent contact is associated with children’s math interest mediated by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A total of 204 parents of children aged 4-5 years completed a parental survey.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frequenc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i.e., learning simple sums, and naming written numbers) predicated children’s math interest, but the qualit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did not predict children’s math interest. Furthermore, the frequenc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ath interes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system that supports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호작용 중심의 교사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영유아 교사들의 탐구중심 과학 활동의 이해와 실제

        임혜성(Im, Hae-sung),류승희(Ryu, Seung-hee),선미니(Seon, Mi-n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작용 중심의 교사교육 과정에서 영유아 교사들의 탐구중심과학 활동의 이해와 실제에 대한 반성적 사고과정을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7명의 경력 영유아 교사들은 14주 동안 생물과학, 지구과학, 물리과학 중 한 개의 영역을 선정하여 3회에 걸쳐 계열성 있게 탐구중심의 과학 활동을 계획-실행-평가 하고, 이를 동료 교사들과 토론한 뒤,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영아 교사들은 영아를 위한 탐구중심 과학교육에 대해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였다. 유아 교사들은 자신이 교사주도의 과학 활동을 하는 경향성을 발견하고 의도적으로 유아주도의 탐구중심 과학 활동을 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사들은 자신이 계획했던 과학 활동에서 벗어나더라도 유아에게 ‘가르칠 수 있는 순간’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영유아의 탐색과 교사의 개입 사이에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갔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교사들의 탐구중심 과학 활동에 대한 이해와 실제의 간극을 줄이고,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ualizations of inquiry-based science activities and their classroom practices during the Teaching through Interaction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Seven experienced teachers facilitated three sequential inquiry-based science activities in life science, earth science, and physical science. These teachers engaged with the process of video analysis, discussion, and portfolio writing during the 14-weeks. Finding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reached a new understanding of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eachers also realized that their classroom science activities tended to be teacher-led and deliberately conducted inquiry-based science activities led by children. In this process, teachers tried to find a ‘teachable moment’ for young children even if it deviated from their activity plans and also tried to find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exploration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 interven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ways to reduce the ga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inquiry-based science activities and support their reflective thinking.

      • KCI등재

        한국아동패널(PSKC)을 활용한 연구동향: 복합자료(Complex Sampling Survey Data) 분석의 방법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임혜성 ( Hae Sung 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을 이용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학술등재지에 게재된 170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설계에 기반한 접근법(design-based approach)을 분석틀로 하여, 기존의 논문들이 복합자료의 특성을 방법론적으로 고려하였는지에 주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아동패널을 활용한 연구는 종단연구보다는 횡단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주제로는 부모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이 영·유아였으며, 사회적 지원이나 육아지원기관에 관한 연구는 극히 소수였다. 또한 소수 연구자들이 다수의 논문을 쓰는 편향현상도 발견되었다. 방법에 있어서는 복합자료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중치(sampling weight)를 적용하였거나 결측치(missing data)를 현대적인 통계방법으로 처리한 사례가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에 기반한 접근을 통해 복합자료의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whic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data was employed. The study subjects included 170 journal articles from 2011 to 2015. With design-based approach,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whether the journal articles took th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analyzing complex sampling survey data structure into account. The findings suggested that 85.3% of research was conducted with cross-sectional design while 14.7% was longitudinal studies. Moreover, majority of studies took model-based approach, which specified statistical models without considering the complex sampling survey data structure (e.g., unequal selection probabilities, stratification and clustering). Specifically, most of the studies did not apply sampling weight, nor did they apply modern missing data handling techniqu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hat promote design-based approach for analysis of complex sampling survey data a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지원을 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 연구: 수학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를 중심으로

        류승희(Ryu, Seung Hee),이주영(Lee, Ju Young),박소민(Park, So Min),임혜성(Im, Hae S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1

        본 연구는 상호작용 교수이론(Teaching through Interaction)에 근거하여 학습지원을 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빈도와 질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9명의 교사로부터 만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수학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나누기 동영상 27편을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교실관찰척도체계(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의 틀을 수정ㆍ보완하였고,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의 경우 교사의 질 높은 상호작용은 적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쉬운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유아에게 단순 수세기를 시켰으며, 개념발달을 촉진하는 데 유의미한 실생활과의 연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질 높은 피드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은 유아의 사고과정보다 정답에 관심을 보였으며, 유아의 사고를 확장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자주 제공하지 않았다. 셋째, 교사들은 유아의 응답을 반복하여 반응하였으나, 확장하거나 고급어휘를 사용하는 등의 언어 모델링은 적게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가 질 높은 학습지원을 위한 상호작용을 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instructional support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ith the Teaching through Interaction framework. We collected 27 classroom videos recorded by nine preschool teachers of children aged from 4 to 5 during the group-work time after reading math picture books. The data was coded based on the Classroom Assessment Scoring System using mixed method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for concept development, the interaction of high quality was less. Specifically, teachers tended to set low-level learning goals and ask for simple counting almost without meaningful real-world application that promotes children’s concept development. Second, the quality of feedback was rarely observed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Teachers tended to focus on children’s correct answers rather than their thinking processes. Furthermore, teachers did not provide information to expand children’s thinking. Third, while teachers tended to repeat children’s words, they used less language modeling to extend children’s verbal comments. Finally, We discussed the urgent need to develop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o enhance teachers’ instructional support quality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