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양하천습지의 식생유형과 분포양상

        안경환 ( Kyunghwan Ahn ),임정철 ( Jeongcheol Lim ),이율경 ( Youlkyung Lee ),최태봉 ( Taebong Choi ),이광석 ( Kwangseok Lee ),임명순 ( Myoungsoon Im ),고영호 ( Youngho Go ),서재화 ( Jaehwa Suh ),신영규 ( Youngkyu Shin ),김명진 ( My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6 환경영향평가 Vol.25 No.2

        Damyang riverine wetland was designated as a wetland protected area in 2004; that is located in the Yeongsan river mainstream. Total 30 phytosociological releves at field studies were classified with 22 vegetation types including of 101 species (unidentified 1 species). Legends of actual vegetation map were separated by 6 types; riparian forest, substitute vegetation, synanthropic vegetation, wet meadow vegetation, open water, an area of wetland vegetation is about 35 % (386,841.86㎡). Results of this study area as follows. The plant society of Damyang riverine wetland was conjectured that it was formed by rapidly water environment change with installed weir on the upstream of protected area and operating of Damyang dam on top of the basin. Until recently,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was used to cultivate, but that would be formed fallow vegetation scenery on riverfront caused by no cultivation after designated protected area.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designated as invasive alien plant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was widely developed and Myriophyllum spicatum unrecorded in the country as newly alien species was discovered in the study zone. The plants as lapped over developing environment for Leersia japonica must be occupied habitat of native plant species having similar niche. The various plant society in Damyang riverine wetland should be developed because of environmental changes, disturbances and damages of stream.

      • KCI등재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사회 특성

        안경환 ( Kyunghwan Ahn ),임정철 ( Jeongcheol Lim ),한창욱 ( Changuk Han ),이윤경 ( Yunkoung Lee ),조항수 ( Hangsoo Cho ),서재화 ( Jaehwa Suh ),서민환 ( Minhwan Suh ),신영규 ( Youngkyu Shin ),김명진 ( Myung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5 환경영향평가 Vol.2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providing basic ecology informations based for heronries. We investigated the 25 heronries sites to have more than a hundred nests in the country. The vegetations of heronries were arranged 8 plant communities that consisted of 60 families, 129 genuses and 167 species including 17 species of exotic species. The communities of heronries were composed of high NCD (Net Contribution Degree) of plants, such as pokeberry (Phytolacca americana), japanese chaff flower (Achyranthes japonica), asiatic dayflower (Commelina communis) including diagnosis species, that was heliophilous and tolerance of eutrophic and/or acidic soil condition, and had the highest composition with the annual plants. As locational condition, they were distributed a favorite feeding place (rice field, stream etc.) inside 0.5 km radius, and located on the eastern slope of the mountain. The vegetative composition among plants in the heronries didn’t have plant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ites. But generally, they had trends in floristic composition like the areas of polluted soil, open canopy and disturbance.

      • KCI등재

        하구역 생태계 보전 및 관리강화를 위한 조사사업 개선방안

        임정철 ( Lim¸ Jeong-cheol ),안경환 ( Ahn¸ Kyung-hwan ),최병기 ( Choi¸ Byeong-ki ),이경연 ( Lee Gyeong-yeon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환경부는 2004년부터 자연성이 높은 하구역 보전을 위해 매년 2~3개 하구역을 정밀조사 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 하구역 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누적된 현황자료는 우리나라 전반의 하구역 현황과 환경 특성에 대한 궁금증뿐만 아니라 생태계가 우수한 하구역에 대한 보전 논리를 제시하기에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인식 발전에 비해 하구역이라는 생태적 공간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수집체계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정책 지원과 생태계 우수 하구역 보전이라는 근본적인 조사목적 달성이 미흡했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생태계 보전 및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자연성이 우수한 하구의 보전과 훼손된 하구역 복원 및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전략 제시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전세계의 자연환경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물론 생태계 변화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현황 파악과 모니터링, 정밀조사 등이 이어지면서 적극적인 생태계 관리를 통한 완만한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기후 변화에 따른 하구역 생태계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그동안 한국의 자연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대한 인식은 크게 발전했지만 하구역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보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일부 지역의 자료만으로 기후변화와 도시개발, 환경오염 등 생태계 변화 양상과 추이 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 자연성이 우수한 하구의 보전과 훼손된 하구역 복원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전략 제시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 하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는 우리나라 생태계 보전 및 관리 정책을 질적으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진 하구역 생태계 조사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하구역 생태계 조사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다양한 환경조건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변화하는 생태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륙습지의 일부분으로서 타 조사사업과의 통합적인 관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 조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준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하는 새로운 조사체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제안을 토대로 하구역 특성과 연계된 조사사업을 지금부터 철저하고도 체계적으로 준비할 것을 주장한다. 계획을 세우고 조 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도 따르겠지만, 철저하고도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소중한 자연생태계의 훼손 방지와 보전을 위한 발전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Since 2004,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surveying 2∼3 estuaries every year to preserve the estuaries with high ecological value. However, it is insufficient to present the preservation logic for the estuaries with excellent ecosystems as well as foster curiosity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stuari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Korea. Despite the increasing awareness of Korea's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h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for the estuaries was in a state of stagnation. In fact, it was evaluated that the achievement of the fundamental research objectives of supporting estuary ecosystem management policy and preserving estuaries was insufficie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s increasing. In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estuary ecosystem management will be more emphasized,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resent an active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of estuaries with excellent nature with solid plans for the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damaged estuar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survey system for the estuary ecosystem. First, as part of the "Inland Wetland" scheme, it was proposed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estuaries by integrating them with other wetland research projects. 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urvey system,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a new survey system involving semi-professionals and citizens. Based on the above proposal, it is strongly urged that preparing a thorough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project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stuaries is established from now on. Although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implementing a plan,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vent and preserve the natural ecosystem through a thorough and systematic prep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