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선 :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위헌성과 그 개편방향

        임재홍 ( Chae Hong Lim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1 민주법학 Vol.0 No.46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현행 사립학교법상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위헌성을 검토하는 작업이고(2), 다른 하나는 사학분쟁의 조정 특히 임시이사의 임면과 임시이사 파견 사립학교의 정상화 즉 정이사 선임의 권한을 누가 행사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의 문제로서 행정형 시스템과 사법형 시스템을 소개하는 부분이다(3). 현행 사립학교법은 학교법인에 대한 통제방법으로 행정형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럼에도 임시이사의 임면과 임시이사 파견 사립학교의 정이사 선임권은 사학분쟁조정위원회라는 별도의 합의제 의결기관에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사학분쟁조정위원회는 공법이나 사회법의 논리를 등한시하고 민사법의 논리를 들어 정이사 선임원칙을 정하고 이에 따라 정이사를 선임함으로써 헌법이 예정하고 있는 학교의 공공성원리에 정면으로 반하는 위헌적인 결론을 내고 있다. 따라서 위헌적인 사분위의 결정을 무효화하고 사립학교법 개정을 위한 재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사법형보다는 관할청인 교육과학기술부가 권한을 갖는 행정형 시스템을 기본 축으로 하되 의결기구인 사분위를 폐지하고, 자문기구로서 학교법인이사선임위원회를 신설할 것을 내용으로 하는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revised Private School Act of 2007 introduced the Private School Dispute Resolution Committee(PSDRC). The legal status of the PSDRC appointed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Parliament, President and the Supreme Court, i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committee, a decision making agency. The task of the PSDRC is the nomination of board trustees from a temporary status to a permanent one at private schools. In Korea, if a board trustees of a private school fails to fill a vacancy in the directorate, and therefore, is deemed incapable of running the school proper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an dispatch Government nominated (Temporary) trustees to form a temporary board trustees and run the school. For the normative normaliza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man who is willing to nurture sound citizens and realizes the ideology of hongikingan (meaning "broadly benefiting all-mankind") should become the new director of the school foundation. But the PSDRC set Criteria which gives former trustees the right to run a school regardless of whether a resolution of disputes between parties has been reached or not. In order to justify its stance, the PSDRC wrongly applied and distorted the Sangji University case(2006Da19504, May 17, 2007). The fact that the PSDRC could apply such standards and normalization principle is attributable to a lack of regulations governing private school board trustees` normalization. So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to improve the public character of the private school, is necessary. Persons with high ethical standards and credibility, who are capable of running the school within the spirit of educational laws and school missions, should be nominated as permanent trustees. As such, a normalization of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standards thereof, and qualifications of trustees should be legislated into the Private School Act as specifically as possible. Now we must re-start education reform to promote the basic rights of students, the independence of the schools and university autonom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사립대학의 위기와 대학정책

        임재홍(Lim, Chae-ho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2

        이 글은 지방사립대학의 위기상황과 이에 대한 대학정책을 다룬다. 지방사립대학은 이미 위기에 빠졌고, 이제 시급한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방대학은 지방의 고등교육 기반이자 지역경제를 유지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즉 지역대학의 퇴출이 있게 된다면 지역사회의 활력도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회생을 위해 지역대학의 안정적 존립의 보장 방안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의 정책적 공적 개입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개입의 방안으로 공영형 사립대학 육성과 사립대의 공립화를 통한 무상교육의 실시 방안을 제시한다. 공영형 사립대학 육성정책은 다수의 정책연구를 통해 구체화된 부분이 많고 사학혁신 지원사업이라는 형태로 변형되어 지원공고까지 진전되어 있다. 우리나라 공사립대학 간의 불균형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서 의미가 있다. 반면 지방사립대학의 공립화를 통한 무상교육의 실시 등은 이제 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서는 추후 연구가 더 필요하다. 물론 이러한 논의 말고도 지방 대학의 육성을 위한 논의는 많다. 특히 대학균형발전을 위한 특별법의 한시적 운영이나 고등교육세 신설 등은 우리나라 고등교육 발전에 의미있는 정책대안이다. 지방대학의 육성이라는 맥락 속에서 다양한 논의를 통해 지방사립대학 정책의 흐름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risis situation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policy. Local private universities are already in crisis, and urgent policies are needed now. Local universities are the foundation of local higher education and hav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local economy. In other words, if the local university is withdrawn, the vitality of the local community will also de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stable existence of local universities for local rehabilitation. In this context, the state"s policy and public intervention is necessary. In this article, as a means of such intervention, a plan for the promotion of government-dependent privat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free education through publicization of private universities is presented. The public-private university promotion policy has many parts that have been embodied through a number of policy studies, an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rivate school innovation support project, and has advanced support announcements. On the other hand, the implementation of free education through the publicization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needs to be discussed now. Of course, besides these discussions, there are many discussions for fostering local universities. In the context of fostering local universities, I hope that the policy flow of local private universities will be created through various discussions.

      • KCI등재

        한국 사회의 법과 인권, 민주주의: 이명박 정부 5년에 대한 평가 ;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에 대한 평가와 과제 -신자유주의 고등교육정책을 중심으로-

        임재홍 ( Chae Hong Lim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2 민주법학 Vol.0 No.50

        국립대학인 서울대학교의 법인화를 내용으로 하는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반값 등록금을 요구하는 촛불시위는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정책과 그에 대한 대중의 저항을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국립대학의 법인화정책을 포함한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신자유주의 경쟁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명박 후보의 교육공약 중 특징적인 것은 ‘취업후 학자금 상환제’ 정도이다. 그러나 이 역시 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많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이를 제외하면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은 김대중 정부나 노무현 정부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즉 국립대자율화조치로서 법인화정책, 사립대자율화정책과 부실 사립대 퇴출정책을 그대로 승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교과부가 추진하는 국립대 법인화정책과 사립대 구조조정정책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통해 법인화정책은 국립대를 사립대학으로 만드는 공교육 포기 정책이고, 사립대 자율화정책은 사립대학에 대해서는 더 많은 자유와 특권을 보장하려는 정책으로 공적 관리의 포기 정책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신자유주의정책에 대한 대중적 저항을 기반으로 공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 출발점은 고등교육비의 국가부담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국공립대학 위주의 고등교육 설계 방안으로 ‘정부책임형 사립대학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In this Paper, I intended to analyze a series of new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of Lee Myung-bak government. They are commonly characterized by ``marketization`` and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higher education. The ``marketization`` was an extensiv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mechanism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and ``University autonomy and accountability`` was privatization. Public education system will be threatened if higher education services are included in neo-liberalistic moves. The right to get a good education becomes more and more a question of mone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mphasize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But in my opinion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y did not justify the new higher education reform policies. Becaus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n the national level does not become the goal of public higher education. We want an education system for people, not for profits, which has been shown at a series of student demonstrations such as “tonsure protests” by university students. This also brought criticisms from the opposition, the Democratic Party. In Korea students have to pay tuitions and fees to colleges or universities. Pay increases have caused chronic controversy. Household spending on higher education has been rising inexorably over the past few years, aside from a temporary dip during the financial crisis. Significant progress is necessary in the restructuring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Korean higher education shows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when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First of all, the major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87%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private. About 78% of university students and 96% of professional school students enrolls in private institutions. As private institutions rely heavily on tuition revenue, their fees are considerably high. Even public universities in Korea charge substantial tuition, because governmental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 Korea is too small. Public financial expenditures on higher education as a percentage of GDP are very low at 0.3%. The net result is that the household sector bears the bulk of the financial burden for higher education. The proportion of governmental subsidies was limited to 22.3%, much lower than the OECD average(68.9%)(Education at a Glance 2011). Partly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supply has started to exceed the demand. In spite of the outward goal i. e., strengthen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Science And Technology has focused on shutdown of private institutions. The government has launched a campaign to restructure universities by weeding out financially-week private schools and merging state-run ones. The government`s move to weed out underperforming schools is tied to its tuition-cut drive. Korea needs to reform the universities with reviewing ways to lower tuition. But the proper way of higher education reform should begin to subsidiz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e government needs to increase financial subsidy rather than weeding out substandard schools to upgrade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Korea`s public education spending per student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other OECD member stat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s 2011 edition of Education at a Glance. Under purchasing power parity(PPP), the conversion index used to compare price levels for different countries, Korea`s public education spending per student stood at $9,081 for higher education school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of $13,717. The government did not invest properly in higher education. We point out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spend more on public education.

      • KCI등재
      • 대학 인권교육의 현황과 과제

        임재홍 ( Lim Chaeho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10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1 No.2

        공공부문을 포함한 국가와 시민사회에 대한 인권교육이 중요한 만큼 대학생에 대한 인권교육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대학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미래의 엘리트들 즉 정치가, 미래의 행정관료, 교육자, CEO 등을 배출하기 때문이다. 대학은 교과목 개설, 연구 및 교육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기 때문에 인권교육이라는 목적에 기하여 교육을 행할 때 내 · 외부적인 제약 없이 언제든지 실현이 가능한 곳이다. 대학은 학생자치가 허용된 곳이고, 자유로운 영역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대학에서의 학생인권은 충분히 존중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의 인권교육은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지 않다. 실태조사결과가 이를 보여준다. 또한 체계적인 인권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심지어 대학생 시기에 오히려 인권인식이 후퇴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며, 인권교육을 하더라도 인권태도에 대한 변화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연구물도 있다. 이런 논란 자체가 인권교육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매우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의 실태조사결과를 보면 대학생들의 소속 계열이나 전공에 따라 인권의식이나 태도가 매우 다르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고, 그 이유는 인권교육이나 인권에 대한 관심이 주요한 요인이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대학생 인권 친화적 태도를 위해 체계적인 인권교육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글에서는 대학에서의 인권교육의 방향으로 인권교육의 공식적인 제도화, 전문 인력과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지적하는데, 이는 영남대학교 인권교육의 경험을 토대로 제안하는 바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HRE) in University and the necessity of the HRE in University. HRE is a general process with a universal fervor for human rights, and thereby seek for changes that will allow us better prospects and behaviors. HRE is at the core of nurturing democratic citizenry, in that the education, as the learners comprehend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secures a social solidarity based on co-existence and communication, and raises public citizens.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HR) was reaffirmed by the United Nations in the 1993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The World Conference on Human Rights in the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1993) stated that HRE training and public information were essential for the promotion and achievement of stable and harmonious relations among communities and for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tolerance and peace. This paper looks at HR and the composition of HRE, and critically investigates the limitations of HRE system and its programs in university. As the paper will show, HRE, except for some formal education, lacks well-organized system and orientation. Responding to these current limitations, the paper will seek for alternative HRE. For its methodology, the paper employs the idea that human rights education is action-disposition and utilizes cognitive abilities related to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And the professional and vocational training programmes and institutions should be encouraged and assisted in developing HR curricula and corresponding teaching and resource materials, with the help of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donors and programmes. The active engagement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grassroots organizations, professional associations and interested individuals shall be encouraged to assist in the realization of the goals of the HRE. To that end, the Univ. should be given the full support of national programmes, and others to assist them in their human rights educational activities, both through technical assistance and training and through financial support to aid them in strengthening their role in University. State will be requested to draw up a plan of action for HRE, reflecting the principles and objectives of this HRE plan and forming an integral part of a comprehensive national plan for human rights including manuals, handbooks, curricula, audiovisual tools and other such materials, concurrent with his preliminary, mid-term and final repor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