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탄소절감정책에 관한 연구

        임재욱(Jaewook Lim)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1 경영경제연구 Vol.33 No.2

        일본은 온실가스절감에 있어 선도적인 국가로 온실가스 1톤당 감축 비용이 가장 높은 국가로 평가받고 있는 바, 일본은 탄소관련정책은 지난 2009년 9월 22일 유엔 기후변화 정상회의에서 일본의 하토야마 유키오 전임총리가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1990년 대비 25% 삭감하겠다는 소위 ‘하토야마 구상’고 밝혀 각 국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바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이러한 탄소절감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바, 이는 일본의 에너지 효율성이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하여 추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여지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산업계의 강한 반발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일본내에서는 온난화 외교 분야에서 보텀업(bottom up) 어프로치의 포기, 공평성에 관한 인식의 결여, 경제와의 양립을 무시한 정책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일본의 저탄소 관련 정책과 이에 대한 일본 사회 내의 논란을 정리하고, 향후 일본의 온실가스 감축논의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의 저탄소 관련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실질소득의 감소와 에너지 가격의 상승, 산업생산의 감소 등 향후 일본경제가 입게 될 타격을 고려하여 볼 때, 일본 산업의 강력한 반발을 어떻게 막느냐 하는 것이 일본의 저탄소 관련 정책이 직면한 문제이며, 이의 해결과정은 한국사회와 탄소관련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Hatoyama government of Japan, one of leading country in energy section, has been paid attention from the world having announced new carbon related plan to reduce Japanese carbon emission by 25% compare to 1990 by 2020 which abrogate the existing plan of 15% carbon emission reduction compared to 2005. Hatoyama’s epoch-making reduction plan has roused public opinion and criticism in Japan and Japanese industries has noticed to economic disadvantage to achieve the mid-term carbon emission reduction objective. The present Japanese Prime Minister Kan Naoto in succession to former Prime Minister Hatoyama Yukio has preserved the existing Democratic party’s policy. This article aims to arrange discussion of Japanese society and to prospect the way Japan develope debates about this issue hereafter. Japan seems to agree that 25% carbon emission reduction goal compare to 1990 is hard to achieve in view of Japanese energy reduction effort and energy efficiency that Japan has been doing all this time. It is interesting to watch that how Democratic government overcome the opposition of Japanese society previewed to be stronger in the future, with expected reduce of real income, rising of energy price and reduce of industrial production, specially with a presentation of political goal in the way of top-down instead of bottom-up approach. It is a suggestion to carbon reduc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 also.

      • KCI등재

        PHIL 모의시험을 이용한 다중 컨버터로 연결된 LVDC 그리드용 Test-bed 시스템 개발

        임재욱(Jae-Wook Lim),허경욱(Kyung-Wook Heo),전찬오(Chan-o Jeon),김호성(Ho-Sung Kim),정지훈(Jee-Hoon Jung) 전력전자학회 2023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28 No.5

        In this paper, a power hardware-in-the-loop (PHIL)-simulation-based test-bed was proposed to verify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a low-voltage direct current (LVDC) grid comprising multiple converters. The test-bed comprised a source converter and a load converter with constant power load characteristics. The impedance interaction between the source and load converters was analyzed using the extra element theorem to assess the stability of the LVDC grid. Moreover, considering the non-ideal elements of the PHIL simulation system, an accurate PHIL simulation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stability of the LVDC grid comprising multiple converter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HIL simulation test-bed was demonstrated using a real-time simulator, an Opal-RT OP5700, a power interface, and a 0.5 kW dual-active-bridge converter. The validity of the test-bed was also verified by experiments and analysis using stability criteria.

      • KCI우수등재
      • 노후 창호의 방풍재 적용에 따른 기밀성능 및 실내 공기질 개선효과

        임재욱(Jae Uk Lim),김성준(Seong Joon Kim),박경순(Kyung Soon Park) 대한설비공학회 201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

        Recently, worsening outdoor air environment due to high concentration of outdoor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And students who do not have a fully developed immune system spend most of the day indoors. Because of that, we need to make efforts to maintain a pleasant air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outdoor air quality affects indoor air quality through deteriorated windows. Accordingly, this study were applied two types of windbreak to the deteriorated windows of the education facilities to measure and analyze air tightness and air quality.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air tightness and air quality of the coking-type windbreak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but sealing-type windbreak was greatly improved. However, in case of ultrafine dust 0.3μm particle, it was similar to outdoor air regardless of the application of windbreak, so regular cleaning or air purifier is required.

      • KCI등재

        항공사 공급력과 외래 관광객 유치 효과분석-한국 항공시장을 중심으로-

        임재욱 ( Jae Wook Lim ),라미진 ( Mi Jin Ra ),윤문길 ( Moon Gil Yoon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2 No.5

        외래 관광객의 유치는 관광산업뿐만 아니라 항공산업 등 유관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외래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도외래객 입국이 1,100 만명을 넘어서고 있으나, 보다 적극적인 외래객 유치를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외래객 입국의 92%이상이 항공교통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항공부문의공급력은 외래객 유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항공 공급력은 항공자유화 국가이외에는 국가 간의 항공협정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객 입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찾아보고, 그 중 항공정책에 의해 영향 받는 항공 공급력이 외래객 유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항공 공급력과 외래객 유치와의 관계는 외래객 입국이 많은 주요 14개 국가를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국가별 차별적인 항공정책 수립 방향을 도출한다. 본 연구결과는 외래객 유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국가별 차별적 항공정책을 수립하여 관광수요 뿐만아니라 항공수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Air transport and tourism are intricately linked and have a strong reciprocal and symbioticrelationship. Tourism is a driving factor for and a stimulator of change in air transport. Due toa positive effect on a national economy of foreign tourists, most countries have attempted lots ofpolicies to increase the in-bound tourists. In Korea, more than 11 million foreigners have beenvisited and most of them have used airlines for their travels. Since, in general, the capacity andfrequency have been restricted by bilateral agreement on air transport markets between twocountries, tourist flow can be restricted by the capacity, the total number of seats, of air transportmarket.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irline capacity and the tourist flow. With the empirical analysis for major 14 countries, we will find the impact on in-bound touristflow of each airline capacity by country. The result will be helpful to build a differential airtransport policy by country for encouraging the visit of foreign tourists.

      • KCI등재

        국내 항공사 부가서비스에 대한 고객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재욱 ( Jae Wook Lim ),윤문길 ( Moon Gil Yoon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1

        항공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항공사는 다양한 비즈니스 혁신을 통한 생존방안을 모색해 왔다. 항공권판매에 의존하던 수익원을 다양한 비항공권 수익을 개발하게 되었고, 대표적인 것이 저비용 항공사에 의해 도입된 상품분할에 의한 부가수익의 창출이다. 즉, 기존의 항공권에 포함하여 무상으로 제공되던서비스에 대하여, 최소한의 항공운송과 관련된 서비스만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기타 서비스는 고객의선택에 따라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같은 부가수익은 최근의 항공사수익창출에서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저비용 항공사뿐만 아니라 기존항공사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도입되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이 가치를 인지하고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할 의도가 있는 서비스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일괄서비스로 제공되던 항공사의 서비스를 개별 서비스로 분할하고, 각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인지가치와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이용하려는 수용의도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항공사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면서 판매 가능성이 높은 개별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항공사의 부가수익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With fierce competition in airline markets, airlines have developed various innovative business models to survive in the market and to generate new revenues from non-ticket sources. De-bundling services which were formerly offered free of charges by airlines within the ticket price are most popular ones providing individual services with additional fees. Ancillary revenues have begun playing a major part of airline revenues with the significant growth during the last few years. In the early stages, ancillary revenues were mainly focused on LCCs, but nowadays, they are becoming a necessary one adopted by both LCCs and full-service carriers(FSCs) for increasing revenue effective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fine which services are acceptable and what is the value of each service for passengers. In this paper, we focus on analyzing the perceived value and the service acceptance with an additional cost on each individual service for passengers in airlines. The result may be applied to develop a new services providing resonable value for passengers with additional f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