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상악(金相岳)의 『산천역설(山天易說)』에 나타난 한역적(漢易的) 성격

        임재규 ( Im Jaekyu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6

        본 연구는 金相岳의 『山天易說』에 대한 검토를 통해 『山天易說』의 漢易的 성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필자는 『山天易說』에 나타난 한역적 성격을 크게 두 가지로 보았다. 하나는 『山天易說』이 한역의 학설 중 五行說, 納甲說, 互卦說, 爻變說, 旁通說, 消息說등의 상수학설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山天易說』이 取象 방법으로 伏體, 變體, 互體, 反體, 交體등을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尹定鉉의 『山天易說』에 대한 평가에서도 알 수 있듯이, 『山天易說』은 송역과 한역의 두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金相岳은 『周易』을 해석함에 있어서 한역과 송역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았다. 다만 본 연구가 『山天易說』의 한역적 성격에 주목한 것은 조선후기 역학사의 흐름에서 있어서 송역에서 한역으로의 과도기적 성격을 나타내주는 대표적인 역학서로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역에서 한역으로의 과도기적 성격을 보여주는 金相岳의 『山天易說』은 조선후기 역학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며, 이런 점에서 『山天易說』에 대한 본 연구는 조선후기 역학사 연구의 토대적인 연구가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Han Yi(漢易) in Shantianyishuo(山天易說) of Kim Sang-ak(金相岳). I have seen two major characteristics of Han Yi(漢易) in Shantianyishuo(山天易說). One is that Shantianyishuo(山天易說) takes Image-Number theories of Han Yi(漢易) such as Wu-xing Theory(五行說), Na-jia Theory(納甲說), Hu-gua Theory(互卦說), Yao-bian Theory(爻變說), Fang-tong Theory(旁通說), Xiao-xi Theory(消息說). The other is that Shantianyishuo(山天易說) uses methods of Qu-xiang(取象) such as Fu-ti(伏體), Bian-ti(變體), Hu-ti(互體), Fan-ti(反體), Jiao-ti(交體). Of course, as can be seen from the evaluation of Yoon Jeong-hyun(尹定鉉), Shantianyishuo(山天易說) contains both elements of Song Yi(宋易) and Han Yi(漢易). In the interpretation of Zhouyi(周易), Kim Sang-ak(金相岳) did not deviate to either Han Yi(漢易) or Song Yi(宋易). However,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Han Yi(漢易)’s characteristic of Shantianyishuo(山天易說) because it is a representative book that show the transition from Song Yi(宋易) to Han Yi(漢易) in the flow of Yi-Studi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fundamental work in the study of the Zhouyi of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이학휘편(理學彙編) 경적전(經籍典) 역경부(易經部)에 대한 시론적 고찰

        임재규 ( Im Jaekyu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6

        본 논문은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에 대한 초탐의 성격을 지닌 글이다. 아직까지 중국 역학계나 한국 역학계에서 연구되지 못한 미개척의 분야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 학계에 새로운 자료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는 易經部彙考, 易經部總論, 易經部藝文, 易經部紀事, 易經部雜錄, 易經部外編, 易經部易學別傳으로 구성되어 있다. 易經部彙考는 청초까지의 『역(易)』 관련 문헌 기록, 서, 목록서를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總論은 청초까지의 『역(易)』 관련문헌 중 총론에 해당하는 글을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藝文은 역대의 『역(易)』 관련 문헌 중 시, 부 등의 문학적 글을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紀事는 역대의 『역(易)』 관련 문헌 중 역사적 글을 수집 정리한 것이고, 易經部雜錄은 앞의 易經部彙考, 易經部總論, 易經部藝文, 易經部紀事에 수록된 내용을 제외하고 기타 문집류 등에 기록되어 있는 『易』관련 내용을 수집한 것이고, 易經部外編은 전통적이고 주류적인 『易』과 관련한 내용을 제외한 기타 『易』관련 기록을 수집한 것이고, 易經部易學別傳은 경학적 성격의 역학서로 볼 수 없는 역학서를 수집 정리한 것이다. 이상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의 易經部彙考, 易經部總論, 易經部藝文, 易經部紀事, 易經部雜錄, 易經部外編, 易經部易學別傳에 대한 초보적인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대략 다음과 같은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의 특징 및 의의를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는 청초까지 수집 정리된 최고의 역학 관련 자료 집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易經部總論은 중국의 기타 유서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역학에 대한 총론적 성격의 자료집성이라 할 수 있다. 둘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는 청초까지 수집 정리된 최고의 역학 관련 목록학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수록된 역학 관련 목록은 청초까지 발행된 역학 관련 거의 대부분의 목록서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셋째, 『古今圖書集成』 理學彙編 經籍典 易經部 易經部易學別傳에 수록된 9종의 역학 문헌은 발간 시기로 볼 때 『四庫全書』에 수록된 동일 문헌보다 더 판본상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This is an article with the character of first exploration on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As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new data and new perspectives to our academia.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are composed of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Yijing Bu Zalu(易經部雜錄), Yijing Bu Waibian(易經部外編),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records, books, and lists of literature related to Yi(易) up to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and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articles that correspond to general discussions among the literature related to Yi(易),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literary texts such as poetry among the literature related to Yi(易),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historical texts among the literature related to Yi(易), Yijing Bu Zalu(易經部雜錄) collects the contents related to 『易』, which are recorded in other writings, except for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and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Yijing Bu Waibian(易經部外編) is a collection of other records related to Yi(易) except for traditional and mainstream Yi(易),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is a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Yixue(易學) books that cannot be seen as Jingxue(經學). Through a study on Yijing Bu Huikao(易經部彙考),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Yijing Bu Yiwen(易經部藝文), Yijing Bu Jishi(易經部紀事), Yijing Bu Zalu(易經部雜錄), Yijing Bu Waibian(易經部外編),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I was able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following. First,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is the best data collection of Yixue(易學) ever collected and compiled up to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In particular, Yijing Bu Zonglun(易經部總論) can be said to be a generalization of data on the Yixue (易學)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Leishu(類書) in China.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Yijing Bu(易經部) of Gujin Tushu Jicheng(古今圖書集成) is the best catalogology of Yixue(易學) that has been collected and organiz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The list of Yixue(易學) included here is considered to have very high academic value in that it contains almost all of the lists of Yixue(易學) publish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Qing Dynasty. Third, 9 kinds of Yixue(易學) documents in Yijing Bu Yixue Biezhuan(易經部易學別傳) are more valuable in edition than the same ones in Siku Quanshu(四庫全書).

      • KCI등재

        이병헌(李炳憲)의 공자(孔子) 십익지설(十翼之說) 비판 -강유위(康有爲)의 『신학위경고(新學僞經考)』의 영향을 중심으로

        임재규 ( Im Jaekyu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종교와 문화 Vol.0 No.34

        Confucius‘s Shi yi(十翼) has been accepted as a traditional orthodoxy of Confucianism for about 2,000 years after Liu xin(劉歆)’s Qi lue(七略). However, due to the influences of the Song’s school of suspecting the ancient (疑古學), the Qing’s Textual Criticism(考證學) and School of Gongyang(公羊), Confucius‘s Shi yi(十翼) was criticized by many scholars. In this context, Yi Byeongheon, who lived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seems to have attempted a reasonable check on the author of Shi yi(十翼). And the purpose of a reasonable check on the author of Shi yi(十翼) is to upgrade Tuan(彖)·Xiang(象)·Wen Yan(文言)·the front part of Shuo Gua(說卦) created by Confucius to the position of The Scripture. Especially, in the point that the core idea of Confucian Religion Movement by Yi Byeongheon(李炳憲) is the way of god(神道) theory in Tuan(彖), the author of Tuan(彖) must be Confucius, and Tuan(彖) also must be the position of The Scripture. Yi Byeongheon's criticism of Confucius’s Shi yi(十翼) can be regarded as basically influenced by Xin xue wei jing kao(新學僞經考) of Kang You-Wei(康有爲), a scholar of JinWenXue(今文學) in late Qing Dynasty. Of course, Yi Byeongheon did not accept the point of view of Kang You-Wei(康有爲) uncritically. It is Yi Byeongheon's unique viewpoint that the front part of Shuo Gua(說卦), that is from ‘昔者聖人之作易’ to ‘成言乎艮’ is the work of Confucius.

      • KCI등재

        『주역(周易)』의 역사(易詞) 형성과 서법(筮法)의 상관관계

        임재규(Jaekyu Im) 한국종교학회 2018 宗敎硏究 Vol.78 No.2

        This paper inquiries into relations between the formation of the main text of the Zhouyi(周易) and divination methods. How the main text of the Zhouyi and statements of the hexagrams and lines were formed is a crucial question. First. we conjecture that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current names of the lines were not used and instead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was likely used. Thus. we can conjecture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appeared prior to the statements of lines in the Zhouyi. I conclude that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was the basis of formation of the statements of the lines. Second. while the names of lin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ok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the current formula of names of lines—like the first. the second. the third. the fourth. The fifth and the Nine on the top—appear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emergence of the current form of naming lines was a critical event in the history of Zhouyi studies because the emergence names of lines is novel ground for interpreting the Zhouyi. Wang Bi rejected the divination method in interpreting the Zhouyi and considered the place of lines and the yin/yang line as crucial to its interpretation. Third.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divination method appeared in the the shiyi 筮儀 of the Zhouyi benyi and in the mingshice 明蓍策 and the Gaobianzhan 考變占 of the Yixue qimeng. Zhu Xi’s divination method has been understood as the same as that of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What then is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divination method and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my view. Zhu Xi sees no relations between them. For Zhu Xi. the statements of the hexagrams and lines were formulated in observation of the hexagrams without zhigua. In this regard. he agrees with Wang Bi. Fourth. Dasan’s understanding of the divination method appears in the sigwejeon 蓍卦傳 of the Juyok sajeon. Rejecting Zhu Xi’s method. Dasan created an original method in which the most important idea is ilhyobyeon 一爻變. that only single line changes appeared. According to Dasan. the Duke of the Zhou created statements of the lines based on biangua using ilhyobyeon. For Dasan. the divination method is intertwined with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divination method and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 I conclude as follows. Plausible relations existed between them. If we can conjecture the names of the lin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ok the form.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there should be a necessary relation between them. With the emergence of the current system of naming lines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impact of the divination method up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ements declined. We can understand Wang Bi and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Zhouyi in this context.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과 주진(朱震)의 『주역(周易)』해석 방법론 비교

        임재규 ( Im Jaekyu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6 No.-

        필자는 서론에서 정약용이 지은 「정헌묘지명(貞軒墓誌銘)」의 내용을 인용하면서 다산과 정헌의 역학에 관한 문답에 등장하는 중국역학사의 주요 저작 네 가지, 즉 래의선의 『역주』, 오징의 『역찬언』, 주진의 『한상역』, 이정조의 『집해』을 언급했다. 이 중에서 래의선의 『역주』, 오징의 『역찬언』, 이정조의 『집해』는 다산의 역학 저작인 『역학서언』의 각각 「래씨역주박(來氏易註駁)」, 「오초려찬언론(吳草廬纂言論)」, 「이정조집해론(李鼎祚集解論)」에서 다산의 평가를 살펴볼 수 있다고 했지만 주진의 『한상역』에 대해서는 따로 논평이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를 통해 다산의 역학에 미친 이 네 저작 중 『한상역』이 다른 세 저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영향이 작을 것으로 판단했다. 이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내용적인 측면에서 볼 때 주진의 『한상역』이 다산 역학에 미친 영향이 위의 세 저작에 비해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본론에서 살펴보았지만 『주역』해석 방법론에 있어서 주진과 정약용은 놀라울 정도로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즉 정약용은 그의 역학의 총결이라 할 수 있는 「사전소인(四箋小引)」에서 ‘추이(推移)’, ‘호체(互體)’, ‘효변(爻變)’ 이 세 가지 방법을 『주역』해석의 핵심적인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고, 주진은 그의 역학을 총결한 「주역집전서(周易集傳序)」에서 ‘동효(動爻), 괘변(卦變), 호체(互體)’를 『주역』해석의 핵심적인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의를 통해 우리는 주진의 역학이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정약용의 역학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본론에서도 살펴보았듯이 각론에 있어서 정약용의 역학과 주진의 역학이 서로 다른 점이 노정되고 있지만, 이는 서로의 영향 관계를 논하는 데에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In the introduction, I cited Jeong Yak-yong's "Jeong Heon Epitaph(貞軒墓誌銘)" referring to four major works of Chinese Yi-ology that appear in the dialogue about Yi-ology of Dasan and Zheng Heon. The four books are Lai Zhide’s Yijing Jizhu(易經集注), Wu Cheng’s Yizuanyan(易纂言), Zhu Zhen’s Hanshang Yizhuan(漢上易傳), Li Dingzuo’s Zhouyi Jijie(周易集解). Among them, Lai Zhide’s Yijing Jizhu(易經集注), Wu Cheng’s Yizuanyan (易纂言), and Li Dingzuo’s Zhouyi Jijie(周易集解) were reviewed in Jeong Yak-yong’s Yixue Xuyan. But There was no work on Zhu Zhen’s Hanshang Yizhuan(漢上易傳). In this way, it was concluded that Hanshang Yizhuan(漢上易傳) of these four works on Dasan's Yi-ology was relatively less influential than the other three works. This is a fact that can not be denied in terms of formality, but from the aspect of the contents, the influence of Zhu Zhen’s Hanshang Yizhuan(漢上易傳) to the Dasan's Yi-ology is not small compared with the three works above. As we have seen in the body, Jeong Yak-yong and Zhu Zhen share a surprisingly consistent view in interpretations of the Zhouyi. In other words, Jeong Yak-yong presents “Tuiyi(推移)”, “Huti(互體)”, “Yaobian(爻變)” as the key methods of his Yi-ology in the SiJian Xiaoyin(四箋小引), and Zhu Zhen also presents “Dongyao(動爻)”, “Guabian(卦變)”, “Huti(互體)” as the key methods of analyzing the Zhouyi in his Zhouyi Jizhuan Xu(周易集傳序). Therefore, through this discussion, we can see that the Yi-ology of Zhu Zhen are passed on to the Yi-ology of Jeong Yak-yong beyond the ages and regions. Although Jeong's Yi-ology and Zhu’s Yi-ology are different in the details, as we have seen in the body, this is unlikely to have much effect on discuss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m.

      • KCI등재

        오징(吳澄)의 『주역(周易)』 해석 방법론

        임재규 ( Im Jaekyu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1

        오징의 『역찬언외익(易纂言外翼)』의 『주역(周易)』 해석 방법론 중에서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방법론은 괘변(卦變), 변괘(變卦), 호괘(互卦)이다. 괘변(卦變)은 괘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이고, 변괘(變卦)는 효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이며, 호괘(互卦)는 괘사와 효사를 해석하는 데 모두 활용되는 방법론이다. 이 세 가지 방법론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방법론은 호괘(互卦)라 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방법론 외에 괘통(卦統)과 괘대(卦對)는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해석하는 데 쓰이는 방법론이 아니고 64괘의 순서와 구조에 대한 해석이라 할 수 있으며, 괘주(卦主)는 각 괘의 여섯 획 중 하나의 획이 그 괘의 주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힌 것이고, 상례(象例), 점례(占例), 사례(辭例)는 64괘 괘사와 384효 효사 전체를 분석하여 상사와 점사 그리고 상사와 점사로 분류하기 어려운 사례로 나누어 분류한 것이고, 변례(變例)는 괘를 얻기 위해 시행되는 서법을 설명한 것이고, 역원(易原)은 『주역(周易)』이 형성되기 이전 8괘와 64괘의 괘획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기원을 밝힌 것이고, 역류(易流)는 『주역(周易)』 형성 이후 『주역(周易)』을 모방한 지류를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아홉 가지 방법론은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방법론과 달리 『주역(周易)』 괘효사의 해석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방법론은 아니다. 그러므로 오징의 괘변(卦變), 변괘(變卦), 호괘(互卦) 이 세 가지 방법론은 오징의 『주역(周易)』 해석 방법론 중 가장 중심적인 방법론이며, 이 세 가지 방법론은 결국 『주역(周易)』 괘효사의 `상(象)`을 찾기 위한 수단에 해당하며, 이러한 점에서 오징의 역학은 `상학(象學)`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오징이 『주역(周易)』 해석에서 이처럼 `상(象)`을 강조한 것은 주희가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지은 의도와 같이 『주역(周易)』의 원래적 의미를 찾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주희의 역학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도 오징과 같이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상(象)과 점(占)의 구조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징의 역학은 큰 틀에서 보자면 주희의 역학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리고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상과 점의 구조로 보는 관점은 조선후기 다산 정약용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오징의 역학은 조선조 역학사에 있어서도 주희 역학과 함께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Wu Cheng(吳澄) is a great Confucian Scholar in the Yuan Dynasty. He wrote Yizuanyanwaiyi(易纂言外翼, Further Interpretations to the Commentaries and Supplements to Yi), which is a his representative work about Yi Studies. In Yizuanyanwaiyi(易纂言外翼, Further Interpretations to the Commentaries and Supplements to Yi), Wu Cheng classfied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Zhou yi into 12 methods as follows. 1. Guatong(卦統), 2. Guadui(卦對), 3. Guabian(卦變), 4. Guazhu(卦主), 5. Biangua(變卦), 6. Hugua(互卦), 7. Xiangli(象例), 8. Zhanli(占 例), 9. Cili(辭例), 10. Bianli(變例), 11. Yiyuan(易原), 12. Yiliu(易流). In these 12 methods, Main methods for interpretation of Zhouyi are Guabian (卦變, transformation between the hexagrams), Biangua(變卦, transformed hexagrams), and Hugua(互卦, interlocking trigrams or hexagrams). Guabian is a theory of interpreting Guaci(卦辭, hexagram statesment), and Biangua is a theory of Yaobian(爻變), which is a method of interpreting Yaoci(爻辭, six line statements). Hugua is a theory of interpreting Guaci and Yaoci, which play a key role in the interpretation of Guayaoci in the Wu Cheng`s Yi Studies. These 3 major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Zhouyi are central theories of Wu Cheng`s Yi Studies, and these 3 major theories eventually are methods of taking images. So we can define that Wu Cheng`s Yi Studies as a image-orientated system. Through these studies, Wu Cheng wanted to trace back to the original meanings of Yi. From this standpoin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Wu Cheng succeeded Zhu xi(朱熹)`s Yi Studies. And we also can imagine that Wu Cheng`s Yi Studies exerted a favorable influenc upon Cheong Yakyong(丁若鏞)`s Yi Studies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중국 역학의 새로운 분류체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진몽뢰의 『주역천술』을 중심으로 -

        임재규 ( Im¸ Jaekyu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0 종교와 문화 Vol.0 No.39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Yijing (Book of Changes) commentaries in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 (四庫全書總目提要) has become the dominant classification system used for Chinese Yijing studies. This method divides them into six types, namely: "Image and Number" (象數) from the Han Dynasty, “Extraordinary Phenomena” (災異) from the Han Dynasty, “Study of charts and books” (圖書學) from the Song Dynasty, “Daoism,” “Confucianism,” and “History.”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is classification of Chinese studies of the Yijing has become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since the creation of the Siku Quanshu (四庫全書)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However, there is no satisfactory theory to explain this six-fol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 (四庫全書總目提要),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suitable for the main commentarial works on the Yijing. For example, it poses difficulties when trying to fit Zhu Xi’s Zhouyi Benyi (周易本義) and Jeong Yak-yong’s Zhouyi Sijian (周易四箋) into the six-fold classification system. In view of this problem, I reviewed the possibility that the “Li (理)·Shu (數)·Xiang (象)·Zhan (占)” four-fold classification system of Chinese Yijing commentaries proposed in Chen Menglei’s (陳夢雷) Zhouyi Qianshu (周易淺述) could replace the six-classification system of the Siku Quanshu Zongmu Tiyao (四庫全書總目提要).

      • KCI등재

        정약용과 래지덕의 효변설 비교

        임재규(Im, Jaekyu)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8 No.-

        다산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효변설은 매우 중요한 이론이다. 그런데 다산은 1808년에 지은『주역사전』과 1821년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역학서언』에서 효변설의 역사적 전승과 관련해 서로 다른 언명을 하고 있다. 즉 『주역사전』에서는 효변설이 한대(漢代) 이후로 전승이 끊어졌다고 언급했지만, 『역학서언』에서는 이와 상반된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역학서언』의 래씨역주박(來氏易註駁) 이 한 예이다. 이처럼 『주역사전』과 ?역학서언?에 나타나는 효변설의 역사적 전승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대체로 『주역사전』과 『역학서언』의 성립 연대가 다르기 때문일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다산의 효변론의 의의가 퇴색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다산의 효변론과 래지덕의 효변론은 효변의 본질이라는 측면에서는 같지만, 그 실제 적용에서는 다른 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산은 효변의 적용에 있어서 ‘변괘위주(變卦爲主)’의 효변론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는 래지덕의 ‘변상위주(變象爲主)’의 효변설과는 다른 측면이다. 이 점은 다산 역학의 창조적 측면으로 볼 수 있으며, 효변설에 있어서 다산 역학이 가지는 중요한 의의라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reviewed Cheong Yakyong(丁若鏞)’s Yaobian(爻變) theory in comparison with Lai Zhide(來知德)’s Yaobian theory. Tasan’s theory of interpretation of Zhouyi(Book of Changes) is Yilisifa(易理四法, Four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Zhou yi), that is, Tuiyi(推移, Hexagrams transformation), Wuxiang(物象, Image of things), Huti(互體, Interlocked body), Yaobian. Lai Zhide’s theories of interpretation of Zhouyi are Quxiang(取象), Cuozong(錯綜), Yaobian(爻變), Zhongyao(中爻). Cheong Yakyong’s Yaobian theory and Lai Zhide’s Yaobian theory are similar in the essential part. But Both theories are different in the specific applications. Cheong Yakyong’s Yaobian theory is a Biangua(變卦)-oriented, but Lai Zhide’s Yaobian theory is a Bianxiang(變象)-oriented. Thus I think that the Biangua-oriented theory is a creative feature of Tasan’s Yaobian the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