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향과 전망 : 개념으로서의 "불온"

        임유경 ( Yukyung Lim ) 한림과학원 2015 개념과 소통 Vol.0 No.15

        이 글은 그간 ‘불온’을 중요한 키워드로 제시한 연구들의 성과를 참조하는 가운데 해당 언어가 어떻게 연구의 대상이자 학술적 용어로 정착될 수 있을지에 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탐색의 일환으로 개념사적 접근의 유용성을 검토해 볼 것이다. 불온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과업이 역사의 동력학(dynamics)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현재’의 질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추적하는 일을 가능케 한다는 문제의식을 좀 더 구체적인 맥락에서 제기하는 한편, 유용하고도 효과적인 접근법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이 탐색의 과정이 갖는 의미가 있다면, 그것은 ‘불온’이라는 언어를 매개하여 한국의 역사에 접속할 때 얻어지는 이점과 효과가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는 자리를 마련한다는 데 있다. 개념사가들의 표현을 빌려 부연하자면, 이 글은 ‘불온’이라는 “개념의 지속과 변화를 통시적으로 주목”하는 일뿐 아니라, ‘불온하다’는 말이 “특정한 경우에 발설되었을 때 그것이 지니는 특정한 효력”까지 더불어 논의하는 일의 필요성을 제기할 것이다. 즉 ‘불온’이라는 개념에 관한 연구는 의미의 축적과정에 대한 통시적이고도 객관적인 고찰과 함께, 해당 언어가 ‘통치언어’로서, 또는 ‘비평언어’로서 작동할 때 발생하는 이데올로기적 효과에 관한 탐구가 수반될 때 비로소 그 의미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usage of ‘ Buron(不穩)’ as an academic term, applying the methodology of conceptual history. Analyzing the dynamic history of the concept of ‘Buron’ helps to shed some light on the origins of contemporary governmentali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the meaning of ‘ Buron’ changed with time, and the consequent ideological implications of using this term. Thus, studying the conceptual history of ‘ Buron’ provides some insights into the language used by authority and by critics thereof.

      • 실시간 상태 공유를 위한 비대면 스터디 애플리케이션

        임유경(Yukyung Lim),김소연(Soyeon Kim),박윤우(Yoonwoo Park),김재희(Jaehee Kim),임지훈(Jihoon Lim),서연주(Yeonju Seo),임준규(Junkyu Lim),이태현(Taehyun Lee)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코로나19로 인해 업무, 여가 생활 등의 주된 활동 장소가 주거 공간으로 바뀌었다. 특히 학교, 학원, 독서실, 카페와 같은 기존의 학습 공간 또한 주요 학습 환경이 주거 공간으로 변하며 타인의 시선을 통해 적절한 긴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전과 달리 생활 공간과 분리되지 않아 생기는 집중 저해 요소 때문에 학생들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학생들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듯한 긴장 수준을 제공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을 활용하여 각자의 실시간 학습 상태를 공유하고 학습 몰입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디지털 경험 제공을 위해 머신 러닝을 활용한 실시간 상태 공유 비대면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변화된 환경 속에서의 학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 인터뷰와 에스노그래피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실시간 상태 공유 방식을 발견했고, 이를 바탕으로 주거 공간에서도 학습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비대면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여 변화된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 만족을 경험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불고지죄와 증언

        임유경(Lim, Yukyung) 역사비평사 2017 역사비평 Vol.- No.119

        This article examines the phenomena of anti-communism in Korean history by analyzing the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 of 1967. 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Cheon Sang-byeong(1930~1993), a poet who was known to have been involved in the incident and was falsely charged. Cheon’s case is significant because it reveals not only the structure of power but also the legal legitimacy of false charges in Korea at that time. The following issues are discussed. First, the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 enabled anti-communism to become a fundamental ideology with which to suppress other values in the 1960s. Anti-communism was not merely a political ideology but a life discipline infiltrated into all the aspects of Koreans’ everyday life. Second, the penal punishment given to Cheon Sang-byeong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 In its broad context, Cheon’s conviction was obtained by a false charge and enforcement of ‘Korean national emotion’ and ‘anti-communism.’ In the same context, Park Soon-nyo’s novel fictionalizing the spy incident proves that an ‘act of testimony’ can elucidate the structure of power which works through a false charge and that it is also the response of power. In short, the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 needs to be re-evaluated in terms of the meaning of ‘anti-communism’ in the 1960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false charge and act of testimony. is incident confronts us with the hysteria of power that caused chronic anxiety which produced obsessive suspicion of all people and relationships through the logic of anti-communism.

      • KCI등재

        외설과 법, 판례의 탄생 ― 1960년대 ‘문예 재판’과 외설 담론 연구 ―

        임유경 ( Yukyung Lim ) 한림과학원 2018 개념과 소통 Vol.0 No.21

        이 논문의 목적은 1960년대에 접어들어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시작하는 ‘문예 재판’들과 이를 둘러싸고 형성되었던 ‘외설과 예술’ 관련 담론의 사회적·문화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은 1960년대에 들어선 군부정권이 문화·예술을 관리하는 데 있어 어떤 제도적 변화들을 모색하였는지 살피고, 그러한 통치방식의 전환이 낳은 효과와 문제점은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예술과 외설’을 둘러싼 오랜 논쟁들이 반복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물음들이 당대 한국사회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구체화되고 어떤 종류의 세부 논쟁들을 낳았는지 고찰하는 일을 동반할 것이다. 1960년대는 ‘판례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재판이 열렸다. 한국의 역사상 문화·예술작품의 외설성을 다루는 ‘문예 재판’이 처음으로 열린 것도 이 시기에 접어들어서이다. ‘문예 재판’은 예술과 법이 새롭게 조우하는 장면들을 연출하였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분석할 만한 가치가 있는 논의대상이다. 문예 재판은 “문학 논쟁을 법정으로 가져”오게 하고, 이로써 법정을 “비평-법률적 토의”의 장이 되게 했다. 그뿐만 아니라 ‘외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폭넓게 형성되고 유관 담론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1950~1960년대에는 외설 재판과 유관 담론의 창출이 하나의 문화적 현상이 되어 세계 여러 곳에서 동시적으로 발생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한국사회는 서구나 일본과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이 현상을 경험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보편적 현상이 한국사회에서는 어떻게 경험되고 또 전개되었는지를 관찰하고자 한다. 1960년 영국에서 열린 ‘채털리 부인 재판’을 지켜보며 리처드 호가트가 “우리 시대의 한 단면을 상징하는 사건”이라고 말했듯이, 한국에서의 문예 재판 역시 상징적 의미를 갖는 사건으로 수용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 문예 재판들은 1960년대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던 정치적 상황과 사회적 변동의 한 모습을 가장 극적인 형태로 드러내 준 문화사적 사건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literary trials’ of the 1960s, and the discourses concerned with ‘obscenity and art’ to which they gave rise. The backgrounds of the ‘literary trials’ are examined, together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way in which the trials have changed the prevailing perception of ‘art and obscenity.’ More broadly, I consider how the questions which were raised repeatedly by the debates on ‘art and obscenity’ have shaped attitudes toward controversial matters in Korean society. A variety of trials were held in the 1960s which thus came to be called ‘the era of precedents.’ It was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that criminal trials had been held which dealt with the alleged obscenity of cultural and artistic works. These ‘literary trials’ are worth analyzing in their own right, for the insights they provide on the meeting between the arts and the law. The trials brought a literary controversy to court, thereby making the court a forum for a “critical-legal” discussion. In addition, a social interest in and broad understanding of ‘obscenity’ was formed, and the trials were also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bstantial expansion of the discourse on obscenity. It should be remembered, however, that during the 1950s and 1960s, obscenity trials and the concomitant discourses occurred around the world, becoming a significant cultural phenomenon. In fact, such trials were taking place in Korea at more or less the same time as similar prosecutions in the West and in Japan.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henomenon developed, and how it was experienced in Korean society. Remarking on the Lady Chatterley’s Lover trial in England in 1960, Richard Hoggart said, “It is a phenomenon that symbolizes an aspect of our time,” and the literary trials in Korea should be seen in the same light, as a symbolic watershed. Indeed, this series of trials was a historic cultural event which most clearly demonstrates the very dramatic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facing Korean society in the 1960s.

      • KCI등재

        한국전쟁과 문학적 자기 기술 - 박완서와 이청준의 ‘말년의 서사’를 중심으로 -

        임유경 ( Lim Yukyung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 사이 Vol.29 No.-

        이 논문은 한국전쟁 체험 세대가 말년에 겪게 되는 시대 전환의 경험에 주목하면서 해당 세대에 속하는 작가들이 남긴 텍스트가 일종의 ‘문학적 자기 기술’로서 어떠한 사회적․문화적 의미를 지니는지를 고찰한다. 이 논문의 주된 문제의식은 평생을 바쳐 소설 쓰기에 전념한 몇몇 작가들이 말년에 이르러 그들의 소설이 시작된 시점인 ‘한국전쟁’으로 다시 돌아가고자 했던 이유가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이 논문에서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은 일찌감치 ‘전쟁’이라는 원체험을 자기의 문학적 근원으로 삼았던 대표적 작가인 박완서와 이청준이다. 분단 문제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던 작가들이 1990년대에 접어들어 시대적 전환을 목격하며 한 세대의 일원이자 작가로서 자기의 삶을 반추하고 ‘문학적 자기 기술’을 시도한다는 점은 주의 깊게 관찰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정치적 역변과 문학적 변전이 급속하게 이루어졌던 1990년대에 ‘생애의 역사화’를 통해 ‘전쟁 세대’로서 자기를 재인식했고 이 과정에서 새롭게 대면하게 된 문학적 딜레마를 그들 나름의 방식으로 감당하고자 했다. 이 작가들이 말년에 남긴 글들은 전쟁에 대한 증언을 여전히 시도하면서, 동시에 자기 변호적 서사를 구축하는 일을 수행한다. 전쟁 서사를 쓺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해 서술하고 세대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들의 작품은 냉전체제의 해체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던 역사적 전환의 시대에 특정 세대 작가들이 봉착하게 된 새로운 딜레마가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자, 그들이 가졌던 시대 인식의 논리와 모순을 함축적으로 담아내고 있던 문화적 산물로서 재해석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llustrates the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of the Korean War generation, and examines the social and literary meanings by analyzing literary self-descriptions which had been written in their later years. The problem of this paper begins by asking why some writers, who devoted their lives to writing novels, tried to go back to the Korean War at their later years.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ve writers who used the experience of Korean War as their literary genesis, such as Park Wan-seo and Lee Chung-ju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 that writers who had focused on the issue of division started to reflect on their lives as writers in the 1990s and try to describe themselves in the form of literary self-description. In the 1990s, when political and literary field had been changed rapidly, they recognized themselves as a “war generation” in terms of historicization of their lives, and tried to confront a new literary dilemma which could be correlated with generational gap. The writings left by these writers in their later years still attempt to testify of war, while at the same time constructing a self-defensive narrative. In this regard, their works are examples of historical dilemma confronted by the writers of the war generation, which indicate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which had been triggered by the end of the Cold War. Furthermore, their work needs to be reinterpreted as a cultural product that implicitly contained the logic and contradictions of the perception of the times that the writers of the war generation had.

      • KCI등재

        문학이라는 행위 -1960~70년대 문학과 이청준의 「소문의 벽」-

        임유경 ( Lim Yukyung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3 사이 Vol.34 No.-

        이 논문은 1960~70년대의 시대 현실 속에서 당대의 문학이 정치와 맺었던 관계를 이청준의 「소문의 벽」을 매개하여 새롭게 조명한다. 이 소설은 당대 권력의 통치 방식을 ‘심문’이라는 형식을 통해 형상화하고 있으며, 작가들이 경험하고 있던 노이로제가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형성된 것인지를 인상적인 방식으로 그려내고 있어 주목된다. 당대의 여러 작가들이 작품 창작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다룬 바 있으나, 이청준만큼 작가들이 경험하고 있던 심리적 억압과 창작의 자유를 둘러싼 문제들을 밀도 있게 사유하고 또 소설로 구현한 사례는 많지 않다. 특히나 이청준은 손쉽게 해석되지 않는/않을 텍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역설적이게도 ‘쓸 수 있는 권리’를 모색하고자 한 작가라는 점에서 흥미로운 논의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억압과 저항’이라는 분명한 틀로는 충분히 포착되지 않는 장소에서 문학이라는 행위가 내포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함으로써 ‘문학행위’가 일종의 ‘사유의 운동’으로서 의미화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이청준의 소설은 문학이라고 하는 것이 체제에 대한 저항으로 끝나는 것도 아니며 권력의 힘을 증언하는 희생물로서만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는 한편, 특정한 세계를 만들어내는 행위를 문학이 어떻게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를 제공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특징들을 196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이청준의 소설 쓰기가 가지는 당대적 의미를 새롭게 규명하고, 나아가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사유하는 데 그의 문학이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during the 1960s and 1970s by examining Lee Cheong-jun’s “The Wall of Rumors.” The novel portrays the way power was exercised during that period through the form of ‘interrogation’. Notably, the novel offers a fascinating portrayal of the context in which the writers were experiencing the formation of neurosis. While many writers of the time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in various ways through their works, few explored the issues surrounding psychological oppression and creative freedom with the same intensity as Lee Cheong-jun, and incorporated them into their novels. Lee Cheong-jun is a particularly intriguing subject of discussion because he sought to explore the ‘right to write’ by creating texts that cannot/should not be easily interpreted, paradoxically experimenting with the various possibilities that the act of literature can imply in places not adequately captured by the obvious framework of ‘oppression and resistance’. Furthermore, Lee Cheong-jun wanted to demonstrate that the ‘act of literature’ can be understood as a kind of ‘movement of thought.’ His novels underscore that literature does not only end with resistance to the system, nor does it exist merely as a sacrifice that testifies to the existence of power. They also offer an interesting perspective on how literature can act to create a particular world. By revisiting these features in the context of the 1960s, this article seeks to provide a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Lee Cheong-jun’s fiction writing and to consider the contribution of his literature to think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