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간호업무성과와의 관계

        임민숙(Min-Suk Im),박경희(Kyung-Hee Park),최은경(Eun-Kyung Choi),김원순(Won-Soon Kim),최은정(Eun-J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수준 높은 간호 지식과 탁월한 업무수행능력이 요구된다. 특히 업무 특성상 여러 전문적 종사자들, 환자·보호자들과 상호작용 속에서 다른 어떤 직종보다 언어폭력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언어폭력은 환자 간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스트레스 또한 높으며 간호업무성과와도 관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간호업무성과와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 과 정도를 분석한 결과 언어폭력 경험과 간호업무성과(r=-.099, p=.146)는 관계가 없었고, 언어폭력 경험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r=.234,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r=-.254, p<.001)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일반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언어폭력 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고, 간호업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It is required for nurses to have a high quality nursing knowledge and an excellent nursing performance ability to provide high quality nursing. It is natural for nurses to be exposed on verbal abuse due to the relations among various expert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Verbal abus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has affect on not only takig care of patients but also nursing performance. Nurses exposed by verbal abuse tended to respond negatively and undergo a lot of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 among nurses verbal abuse, psychosocial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This study shows that verbal abuse was not related to nursing performance(r=-.099, p=.146). The performance of nurse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verbal abuse and psychosocial stress(r=.234,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r=-.254, p<.001). It is requested for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ogram reducing psychosocial stress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 KCI등재

        형제에 대한 상호작용 기술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경임 ( Kyung Im Han ),임민숙 ( Min Suk 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보완대체 의사소통(AAC)은 일반적인 구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 과정과는 달리 독특한 의사전달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AAC를 사용하는 장애 아동뿐 아니라 의사소통 상대방에 대한 교육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AC 사용 뇌성마비 아동의 형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의사소통 상대방 훈련이 AAC 사용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10세-13세의 AAC를 사용하는 뇌성마비 아동 3명과 각 아동의 형제 3명이었다. 의사소통 상대방에게 의사소통 상호작용 기술인 메시지 확인하기, 모델링 제공하기, 잠깐 멈추고 기다리기의 세 가지 기술을 사용하도록 지도함에 따라 AAC 사용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역할, 의사소통 기능, 의사소통 성과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ystem. Subjects were three nonspeak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ged from 10 years to 13 years and their non-handicapped siblings aged from 8 years to 15 years.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was to teach three interaction strategies : modeling with an AAC aid, Confirming of message of chrildren using AAC and waiting with pause time.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AAC using children-their siblings.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siblings acquired communication interaction strategies easily and used them effectively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ir sister or brother using AAC. Second, the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increased the variety of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using AAC. Third, the communication partner traing on the siblings increased the initiative communication role of children using AAC. Fourth, the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on the siblings increased successful communication outcomes of children using AAC.

      • KCI등재

        고등학생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영향요인

        이영은,김미경,최은아,임민숙,Lee, Young Eun,Kim, Mi Kyung,Choi, Eun Ah,Im, Min Su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3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인 실업계(남자, 여자) 2곳, 인문계(남자, 여자) 2곳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229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5월 1일부터 동년 5월 31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i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고등학생의 호스피스 인식은 성별(t=-3.377, P=0.001), 주관적 건강상태(t=3.334, P=0.001), 주관적 학교생활만족도(t=3.233, P=0.001), 부직업(t=2.393, P=0.018), 호스피스 사전인지경험(t=-7.181, P<0.001), 호스피스, 죽음 관련 교육경험(t=-2.120, P=0.03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내 몸에 대한 태도와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호스피스 인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호스피스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호스피스 사전 인지 경험,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 주관적 학교생활 만족도, 성별로 총 설명력은 34.5%였다. 결론: 고등학생의 호스피스 인식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죽음준비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를 높여줄 수 있는 좋은 죽음 및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s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hospic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9 students in four high schools in B city from May 1, 2015 through May 31, 2015.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ternal review board.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hospice percep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previous recognition of hospice (${\beta}=0.412$, P<0.001), attitude towards death preparation among sub-variables of attitude towards death (${\beta}=-0.244$, P<0.001), subjective school life satisfaction (${\beta}=-0.215$, P<0.001), and sex (${\beta}=0.191$, P<0.001).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s my body after death and that towards death preparation was,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for hospice wa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34.5%. Conclusion: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hosp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a hospice education program to help them with their attitudes towards death preparati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hosp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