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모달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병렬 모달리티 입력방식 및 입력 동기화 방법 설계

        임미정,박범,Im, Mi-Jeong,Park, Beom 대한인간공학회 2006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5 No.2

        Multimodal interfaces are recognition-based technologies that interpret and encode hand gestures, eye-gaze, movement pattern, speech, physical location and other natural human behaviors. Modality is the type of communication channel used for interaction. It also covers the way an idea is expressed or perceived, or the manner in which an action is performed. Multimodal Interfaces are the technologies that constitute multimodal interaction processes which occu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while communicating between human and computer. So input/output forms of multimodal interfaces assume different aspects from existing ones. Moreover, different people show different cognitive styles and individual preferences play a role in the selection of one input mode over another. Therefore to develop an effective design of multimodal user interfaces, input/output structure need to be formulated through the research of human cogn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uman modality and suggests combination types of modalities, dual-coding for formulating multimodal interaction. Then it designs multimodal language and input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granularity of input synchronization. To effectively guide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multimodal interfaces, substantially cognitive modeling will be needed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emantic relations between different modalities, their joint functionality, and their overall potential for supporting computation in different forms. This paper is expected that it can show multimodal interface designers how to organize and integrate human input modalities while interacting with multimodal interfaces.

      •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임미정(Mi-Jeong Im)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2 사회복지상담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의 관계를 규명하고, 성취동기가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설계되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에서 6차연도(2016년)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1,635명의 자료중 결측치(306명)를 제외한 1,329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성취동기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동기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수준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find practical ways for multicultural teenagers to enhance their self-determination capability over future careers. Specifically,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capability. Finally, I am going to demonstrate how achievement motivation works as a mediation effect in between the above two factors: career barrier recognition and career self-determination. To conduct this study, data from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year(2016) of Korea Youth Policy Institute's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has been used, and 1,329 data out of 1,635 (306 were missing)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